창세기 1장 26 - 31절 6일째(2) 사람을 창조하고 축복하다
Ἑβδομήκοντα(O')(헤브도메-꼰따) : 칠십인경
Γένεσις(게네시스) : 창세기
Κεφάλαιον α' (께팔라이온 쁘로-똔) : 제1장
* O' = 70
(공동번역) 하느님께서는 "우리 모습을 닮은 사람을 만들자! 그래서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 또 집짐승과 모든 들짐승과 땅 위를 기어 다니는 모든 길짐승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직역) .... ⓐ 바다의 물고기들과 ⓑ하늘의 날짐승들과 ⓒ또한 모든 땅위의 걷는 동물들과 ⓓ땅 위에서 기어다니는 모든 기는 동물들을 다스리게 하라...
(어휘) καὶ(그리고) εἶπεν(에이뻰, 말하였다, 무정시제 직설 능동 3인칭 단수) ὁ θεός(테오스, 신은) Ποιήσωμεν(뽀이에-소-멘, 만들자, 무정시제 접속법[의지] 능동 1인칭 복수) ἄνθρωπον(안트로-뽄, 사람을, 남성 대격 단수) κατ’ εἰκόνα(에이꼬나, 이미지를 따라, 여성 대격 단수) ἡμετέραν(헤-메떼란, 우리의,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그리고) καθ’ ὁμοίωσιν(호모이오-신, 닮음,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그리고) ἀρχέτωσαν(아르케또-산, 그들이 다스리게 하라, 현재 명령법 능동 3인칭 복수) ⓐ τῶν ἰχθύων(이크튀온-, 물고기들의, 남성 속격[목적어] 복수) τῆς θαλάσσης(탈랏세-스, 바다의, 여성 속격 단수) καὶ(그리고) ⓑ τῶν πετεινῶν(뻬떼이논~, 날짐승의, 중성 속격[목적어] 복수) τοῦ οὐρανοῦ(우-라누~, 하늘의, 남성 속격 단수) καὶ(그리고) ⓒ τῶν κτηνῶν(끄떼-논~, 걷는 동물들의, 중성 속격[목적어] 복수) καὶ(또한) πάσης(빠세-스, 모든 , 형용사 여성 속격 단수) τῆς γῆς(땅의, 여성 속격 단수) καὶ(그리고) ⓓ πάντων(빤똔-, 모든, 형용사 중성 속격 복수) τῶν ἑρπετῶν(헤르뻬똔~, 기는 동물의, 중성 속격[목적어] 복수) τῶν ἑρπόντων(헤르뽄똔~, 기어다니는, ἕρπω의 현재분사 능동 중성 속격 복수) ἐπὶ τῆς γῆς(에삐 떼~스 게~스, 땅 위에서).
ㅇ ποιέω(만들다)의 무정시제 접속법 능동
☞ 단수: ποιήσω, ποιήσῃς, ποιήσῃ(1인칭, 2인칭, 3인칭 순)
☞ 복수: ποιήσωμεν, ποιήσητε, ποιήσωσι(ν)
ㅇ εἰκών, εἰκόνος, ἡ 이미지, 상(3변화 명사)
ㅇ ὁμοίωσις, ὁμοιώσεως, ἡ 닮음, 동질, 외관(3변화 명사)
ㅇ ἡμέτερος, ἡμέτερα, ἡμέτερον, 우리의 (형용사)
ㅇ κατ’ εἰκόνα ἡμετέραν καὶ καθ’ ὁμοίωσιν ( ἡμετέραν) 우리의 모습에 따라 그리고 (우리와) 같은 종류로
ㅇ ἄρχω(다스리다+속격목적어)의 현재 명령법 능동
☞ 2인칭 : ἄρχε(단수), ἄρχετε(복수), ἄρχετον(쌍수)
☞ 3인칭 : ἀρχέτω(단수), ἀρχέντων 또는 ἀρχέτωσαν (복수), ἀρχέτων(쌍수)
☞ 기본형 ; ἄρχω, ἄρξω, ἦρξα, ἦρχα, ἦργμαι, ἤρχθην
(참고) ἀρχόντων : 지도자들의, 통치자들의
기본형 : ἄρχων, ἄρχοντος, ὁ
τινος τῶν ἀρχόντων τῶν Φαρισαίων
바리새파 지도자들 중의 한 사람이
τῶν ἀρχόντων τοῦ αἰῶνος
이 시대의 지도자들 중에서
ㅇ ἰχθῡ́ς(이크튀-스), ἰχθύος(이크튀오스), ὁ, 물고기 (3변화). 문맥상 ‘바다생물’을 의미
ㅇ πετεινόν, πετεινοῦ, τό, 날짐승, 날개달린 동물, 새
ㅇ κτῆνος, κτῆνους, τό, 걷는 동물, 가축, 짐승. 주로 물건을 나르는 동물.
ㅇ ἑρπετόν, ἑρπετοῦ, τό, 기는 동물. 영어에서 이를 파충류(reptile)로 번역한 것은 부정확함. 도마뱀이나 공룡처럼 걷는 파충류도 있음. * 구약을 쓸 당시는 파충류라는 생물학적 개념이 형성되기 전이었음.
ㅇ καὶ, 또한, 심지어(부사)
ㅇ ἑρπόντων(기어가는 ἕρπω의 현재분사 능동 중성 속격 복수)
☞ 동사기본형 : ἕρπω, ἕρψω, ἧρψα, —, —, — : 기어가다,
☞ 현재분사 능동형 : ἕρπων, ἕρπουσᾰ, ἕρπον(남성 여성 중성)
(의견)
ㅁ τῶν κτηνῶν καὶ πάσης τῆς γῆς ; 또한 모든 땅의 걷는 동물들의(공동번역의 집짐승과 들짐승은 셉투아긴타 본문과는 좀 다름)
ㅁ 발음:
ⓐ κατ’(까ㄸ) εἰκόνα(에이꼬나) : 까 떼이꼬나(형상에 따라)
ⓑ καθ’(깥) ὁμοίωσιν(호모이오-신) : 까 토모이오-신(같은 종류로)
ㅁ 고대 문헌을 번역할 때 범하는 오류
'기는 동물'을 파충류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파충류 개념은 근대에 형성되었다. 도마뱀이나 공룡은 걷는 동물이지만 '파충류'에 속한다. 고래는 바다동물이지만 '물고기'는 아니다. 고대 문헌은 가능하면 당시의 뜻으로 번역해야 글쓴이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κτῆνος, κτῆνους, τό, 걷는 동물
ἑρπετόν, ἑρπετοῦ, τό, 기는 동물
πετεινόν, πετεινοῦ, τό, 나는 동물
ἰχθῡ́ς, ἰχθύος, ὁ, 바다 동물, '수생동물'
☞ (참고) 아오리스트 시제(무정시제)에 대하여
아오리스트 시제, 무정 시제, 부정과거 시제, 단순과거 시제 -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 어학적인 관심으로 풀이를 하였으며, 정식 번역은 공동번역이나 다른 성경책을 참고하시기 바람.
(공동번역) 당신의 모습대로 사람을 지어내셨다. 하느님의 모습대로 사람을 지어내시되 남자와 여자로 지어내시고
(직역) 하느님은 인간을 지어내셨다(ἐποίησεν ὁ θεὸς τὸν ἄνθρωπον), 신의 모습대로 인간을 지어냈는데(κατ’ εἰκόνα θεοῦ ἐποίησεν αὐτόν),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지어내셨다(ἄρσεν καὶ θῆλυ ἐποίησεν αὐτούς).
(어휘) καὶ(까이) ἐποίησεν(에뽀이에-센, 만들었다, 무정시제 3인칭 단수) ὁ θεὸς(신은) τὸν ἄνθρωπον(안트로-뽄, 인간을, 남성 대격 단수), κατ’ εἰκόνα(에이꼬나, 이미지를 따라, 여성 대격 단수) θεοῦ(테우~, 신의) ἐποίησεν(만들었다, 무정시제 단수) αὐτόν(아우똔, 그를 = 인간을, 남성 대격 단수) ἄρσεν(아르센, 남성인, 형용사 중성 대격 단수) καὶ(와) θῆλυ(텔-뤼, 여성인, 형용사 중성 대격 단수) ἐποίησεν(에뽀이에-센, 만들었다) αὐτούς(아우뚜-스, 그들을, 남성 대격 복수).
ㅇ ἄρσην, ἄρσεν, 남자의, 남성의 (형용사 3변화, 2어미)
ㅇ θῆλυς, θήλεια, θῆλυ, 여자의, 여자다운 (형용사 1-3변화, 3어미)
ㅇ αὐτός, αὐτή, αὐτό, 그, 그것, 그 남자, 그 여자, 바로 그, 그 자체
(의견)
ㅁ ἄρσεν καὶ θῆλυ(목적보어) ἐποίησεν(동사) αὐτούς(목적어) 인 듯.
☞ ἄρσεν καὶ θῆλυ는 중성 대격이고 αὐτούς는 남성 대격이므로 수식관계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ㅁ καὶ ἐποίησεν ὁ θεὸς τὸν ἄνθρωπον κατ’ εἰκόνα θεοῦ, ὁ θεὸς δὲ ἄρσεν καὶ θῆλυ ἐποίησεν αὐτούς. 이렇게 쓰면 더 자연스러워 보인다. 더 원문에 가까웠을 것 같다.
(공동번역) 하느님께서는 그들에게 복을 내려주시며 말씀하셨다. "자식을 낳고 번성하여 온 땅에 퍼져서 땅을 정복하여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 위를 돌아다니는 모든 짐승을 부려라!"
(직역) 그리고 하느님은 그들에게 축복하시면서(무정시제) 말씀하셨다. “ 너희들은 성장하라(현재시제), 그리고 수를 늘려라(현재시제), 그리고 땅을 채워라(무정시제), 그리고 땅을 지배하라(무정시제), 그리고 바다의 물고기들과 하늘의 새들과 심지어 모든 땅의 모든 '걷는 동물'들과 땅위에서 기어다니는 모든 '기는 동물'들을 다스려라(현재시제)
* 현재시제와 무정시제의 뜻을 알면 이 문장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어휘) καὶ(그리고) ηὐλόγησεν(에-울로게-센, 축복하였다, 무정시제 3인칭 단수) αὐτοὺς(아우뚜-스, 그들을, 남성 대격 복수) ὁ θεὸς(호 테오스, 신은) λέγων(레곤-, 말하면서, 현재분사 능동 남성 주격 단수) Αὐξάνεσθε(아욲사네스테, 너희들은 성장하라, 현재 명령법 중동태 2인칭 복수) καὶ(그리고) πληθύνεσθε(쁠레-튀네스테, 수를 늘려라, 현재 명령법 중동태 2인칭 복수) καὶ(그리고) πληρώσατε(쁠레-로-사떼, 채워라, 무정 명령법 능동태 2인칭 복수) τὴν γῆν(겐~ ; 땅을,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그리고) κατακυριεύσατε(까따뀌리에우사떼, 주인이 되어라, 무정 명령법 능동 2인칭 복수) αὐτῆς(아우떼~스, 그것[땅]의, 속격 목적어, 여성 속격 단수) καὶ(그리고) ἄρχετε(아르케떼, 다스려라, 현재 명령법 능동 2인칭 복수) τῶν ἰχθύων(잌튀온-, 바다의 동물들, 속격목적어, 남성 속격 복수) τῆς θαλάσσης(바다의, 여성 속격 단수) καὶ(와) τῶν πετεινῶν(뻬떼이논~, 나는 동물들, 속격목적어, 중성 속격 복수) τοῦ οὐρανοῦ(하늘의, 남성 속격 단수) καὶ(와) πάντων(모든, 형용사 중성 속격 복수) τῶν κτηνῶν(끄떼-논~, 걷는 동물들, 속격목적어, 중성 속격 복수) καὶ(또한) πάσης(모든, 형용사 여성 단수 속격) τῆς γῆς(땅의) καὶ(그리고) πάντων(모든, 형용사, 중성 속격 복수) τῶν ἑρπετῶν(헤르뻬똔~, 기는 동물들, 속격목적어, 중성 속격 복수) τῶν ἑρπόντων(헤르뽄똔-, 기어다니는, 현재분사 능동 중성 속격 복수) ἐπὶ τῆς γῆς(땅위에서, 여성 속격 단수).
ㅇ εὐλογέω(축복하다, 칭찬하다) : εὖ(좋게) + λέγω(말하다)
☞ 무정시제 변화
ⓐ 단수 : ηὐλόγησα, ηὐλόγησας, ηὐλόγησε(ν)
ⓑ 복수 : ηὐλογήσαμεν, ηὐλογήσατε, ηὐλόγησαν
☞ 기본형 : εὐλογέω, εὐλογήσω, ηὐλόγησα, εὐλόγηκα, εὐλόγημαι, ηὐλογήθην
ㅇ κατακυριεύω + 속격 : 구부리다, 지배하다(κυριεύω 주인이 되다, 다스리다)
ㅇ ἄρχομαι + 속격 : 다스리다(ἄρχω [시작하다, 다스리다] 의 중동태)
ㅇ αὐξάνω : 성장하다, 자라다, 성장시키다. 자라게 하다
(공동번역) 하느님께서 다시, "이제 내가 너희에게 온 땅 위에서 낟알을 내는 풀과 씨가 든 과일 나무를 준다. 너희는 이것을 양식으로 삼아라.
(어휘) καὶ(그리고) εἶπεν(말하였다, 무정 3인칭 단수) ὁ θεός(신은) Ἰδοὺ(이두~, 보아라) δέδωκα(데도-까, 나는 준다, 완료, 직설법, 능동, 1인칭 단수) ὑμῖν(휘민~, 너희들에게, 여격 복수) πᾶν(빤~, 모든, 중성 대격 단수) χόρτον(코르똔, 풀, 남성 대격 단수) σπόριμον(스뽀리몬, 씨가 있는, 형용사 남성 대격 단수) σπεῖρον(스뻬이론, 뿌리는, 생산하는, 현재분사 중성 대격 단수) σπέρμα(스뻬르마, 씨앗을, 곡식, 중성 대격 단수), ὅ(호, 관계대명사) ἐστιν(에스띤, ~이다) ἐπάνω(에빠노-, ~위에) πάσης τῆς γῆς(모든 땅, 여성 속격 단수), καὶ(그리고) πᾶν(모든, 중성 대격 단수) ξύλον(끄쉴론, 나무, 중성 대격 단수), ὃ(호, 관계대명사=나무) ἔχει(에케이, 가지고 있다) ἐν ἑαυτῷ καρπὸν(엔 헤아우또~ 까르뽄, 과일 자체에) σπέρματος(스뻬르마또스, 씨앗, 중성 속격 단수) σπορίμου(스뽀리무-, 뿌려지는, 중성 속격 단수) – ὑμῖν(휘민~, 너희들에게) ἔσται(에스따이, ~일 것이다. 3인칭 단수) εἰς βρῶσιν(브로~신, 양식, 여성 단수 대격)
ㅇ χόρτος, χόρτου, ὁ, 풀, 초원, 들판, 목초지, 음식, 풀이 자라는 곳
ㅇ σπόριμος, σπόριμον 씨가 있는, 씨뿌리기에 적합한(형용사)
ㅇ χόρτον σπόριμον : 씨가 있는 풀을, 낟알을 맺는 식물(명사구, 남성 대격 단수)
ㅇ σπεῖρον σπέρμα ; 씨를 뿌리는, 낟알을 내는 (분사구, 중성 대격 단수)
ㅇ ἐπάνω + 속격 : ~ 위에
ㅇ ξύλον, ξύλου, τό 목재, 나무
ㅇ καρπός, καρποῦ, ὁ 열매
(의견)
ㅁ 29 절에서는 χόρτον이 ‘풀’이라는 뜻으로 ξύλον(나무)과 대비를 이루고 있다. 11절에서는 βοτάνην χόρτου(초원의 풀을)의 βοτάνην이 ‘풀’이라는 뜻으로 쓰이면서 ξύλον κάρπιμον(열매를 맺는 나무를)의 ξύλον(나무)과 대비를 이루었고, χόρτου는 ‘풀이 자라는 곳(초원)의’라는 의미로 쓰였다.
(공동번역) 모든 들짐승과 공중의 모든 새와 땅 위를 기어 다니는 모든 생물에게도 온갖 푸른 풀을 먹이로 준다." 하시자 그대로 되었다.
(어휘) καὶ(그리고) πᾶσι(빠~시, 모든, 중성 여격 복수) τοῖς θηρίοις(테-리오이스, 들짐승, 중성 여격 복수) τῆς γῆς(땅의, 여성 속격 단수) καὶ(과) πᾶσι(모든, 중성 여격 복수) τοῖς πετεινοῖς(뻬떼이노이스, 새들, 중성 여격 복수) τοῦ οὐρανοῦ(우-라누~, 하늘의, 남성 속격 단수) καὶ(그리고) παντὶ(모든, 중성 여격 단수) ἑρπετῷ(헤르뻬또~, 움직이는 생물, 중성 여격 단수) τῷ ἕρποντι(헤르뽄띠, 기어다니는, 현재분사 능동 중성 여격 단수) ἐπὶ τῆς γῆς(땅위의), ὃ(호, ~인, 그런데 그것은, 관계대명사, 중성 주격 단수) ἔχει(가지고 있다) ἐν ἑαυτῷ(헤아우또~, 그 자체에, 남성 여격 단수) ψυχὴν(쁘쉬켄-, 호흡을, 여성 대격 단수) ζωῆς(조-에~스, 생명의, 여성 속격 단수), πάντα(빤따, 모든, 남성 대격 단수) χόρτον(코르똔, 풀을, 남성 대격 단수) χλωρὸν(클로-론, 초록의, 형용사, 남성 대격 단수) εἰς βρῶσιν(브로~신, 먹이 ;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그리고) ἐγένετο(되었다) οὕτως(그렇게).
ㅇ 29절의 동사 δέδωκα(내가 주노라, 완료)의 여격 목적어가 30절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 δέδωκα + τοῖς θηρίοις(들짐승들에게) + χόρτον(풀을) + εἰς βρῶσιν(먹이가 되는) : 나는 들짐승들에게 풀을 먹이로 주노라
ㅇ χλωρός, χλωρά, χλωρόν 푸른, 초록의
ㅇ Χλόη(클로에-), Χλόης(클로에-스), ἡ 초록의 새싹
(의견)
ㅁ 관계대명사 번역의 문제
” , ὃ ἔχει ἐν ἑαυτῷ ψυχὴν ζωῆς,” 에서 보듯, 관계대명사 절 앞뒤에 쉼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말로 옮길 때는 “~인”으로 번역해서 앞의 선행사를 수식하거나, 삽입구처럼 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 예) παντὶ ἑρπετῷ(모든 생물들에게, 선행사), ὃ ἔχει ἐν ἑαυτῷ ψυχὴν ζωῆς,
ⓐ 수식구 “~인”으로 번역 : 자체적으로 생명의 호흡을 가지고 있는 모든 생물들에게
ⓑ 삽입구로 번역 : 모든 생물들에게, 그런데 그것은 자체적으로 생명의 호흡을 가지고 있는데, ~
(공동번역) 이렇게 만드신 모든 것을 하느님께서 보시니 참 좋았다. 엿샛날도 밤, 낮 하루가 지났다.
(직역) 그리고 신은 자신이 만들었던 그렇게 많은(ὅσα) 모든 것들을 보셨다. 그리고 보아라, 그것은 매우 좋구나! 그리고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여섯번째 날이다.
(어휘) καὶ(그리고) εἶδεν(보았다) ὁ θεὸς(신은) τὰ πάντα(모든 것들을, 중성 대격 복수), ὅσα(호사, 그렇게 많은, 관계대명사, 중성 대격 복수) ἐποίησεν(에뽀이에센, 그가 만들었다, 무정시제 3인칭), καὶ(그리고) ἰδοὺ(보아라, 감탄사, 원래는 명령법) καλὰ(좋다) λίαν(리안, 매우). καὶ(그리고) ἐγένετο(에게네또, 되었다, 무정시제 중동태 3인칭 단수) ἑσπέρα(헤스뻬라, 저녁이, 주격 여성 단수) καὶ(그리고) ἐγένετο(에게네또 ; 되었다) πρωΐ(쁘로-이, 새벽이, 이른 아침이, 주격 여성 단수), ἡμέρα(헤-메라, 날, 주격 여성 단수) ἕκτη(헦떼-, 여섯번째).
ㅇ ὅσος, ὅση, ὅσον (관계대명사, 관계형용사) 그 만큼 많은, 얼마나 많은
☞ τὰ πάντα ὅσα ἐποίησεν : 그가 만든 그렇게 많은 모든 것들을(관계대명사절)
τὰ πάντα(선행사, 중성 대격 복수)
ὅσα(관계사, 중성 대격 복수)
(의견)
ㅁ ἰδοὺ καλὰ λίαν : 보아라, 그것은 매우 좋도다(그리스어는 주어와 εἰμί 동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헬라어 성경 > 셉투아긴타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2장 01절 - 03절 - 셉투아진타 헬라어 성경 원문과 해석 (0) | 2021.07.30 |
---|---|
창세기 1장 헬라어(그리스어 원문) _ 읽기 연습용 (0) | 2021.04.28 |
창세기 1장 24절-25절 6일째(1) 육상동물을 만들다 (2) | 2021.04.26 |
창세기 1장 20-23절 5일째 _ 셉투아진타 헬라어 성경, 그리스어 성경 (17) | 2021.04.13 |
창세기 1장 14절-19절 4일째 해와 달과 별을 만들다 (0) | 2021.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