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대 희랍어41

연결모음, 어간모음, 테마어간모음, 어간형성모음, 매개모음 연결모음, 어간모음, 테마어간모음, 어간형성모음, 매개모음 1) 연결모음(connecting vowel) 연결모음, 어간모음, 테마어간모음, 어간형성모음, 매개모음, 테마어간형성모음 위 용어들은 모두 같은 내용에 대한 서로 다른 명칭이다. 연결모음(connecting vowel)은 흔히 테마어간모음(thematic vowel or theme vowel)이라고 하는데, 어근(root)과 어미(ending)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어간(stem)의 일부에 속하므로 어간모음 또는 어간형성모음이라고도 부르는 접사(suffix)의 일종이다. 어간모음(stem vowel)이라는 용어는 영미인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듯하다. 테마어간(theme, 뒤에서 설명)은 항상 모음으로 끝나지만, 어간(stem)은 자음으로 끝.. 2024. 1. 12.
두음중복(reduplication)에 대하여 두음중복(reduplication) 1) 두음중복(reduplication)이란 두음중복은 완료시제 등에서 보이는 엡실론 두음중복(epsilon reduplication)과 미동사의 현재시제와 일부 오동사의 현재시제에서 보이는 이오타 두음중복(iota reduplication)이 있다. 2) 두음중복 (엡실론 두음중복) λε-, πε, … 등과 같은 두음중복을 엡실론 두음중복(reduplication with epsilon)이라고 한다. 가)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사 (1) 자음+ε 추가 단자음으로 시작되는 동사와 2개의 자음이 연속되는 동사 중 정지음 + 유비음으로 시작되는 동사는 자음+ε(엡실론 두음중복)을 어두에 추가한다. 나머지는 두음확장과 변화가 같다. ① 자음+ε를 어두에 추가한다. 기식음은 같.. 2024. 1. 12.
두음확장(augment) - 시제 접두모음 ε 추가 유형과 두음 장음화 유형 두음확장(augment) - ①시제 접두모음 ε 추가형과 ② 두음 장음화형 1) 두음확장(augment)의 뜻과 종류 두음확장(augment)은 그리스어를 포함한 일부 인도유럽어에서 과거를 나타내기 위하여 어두에 음절을 추가하거나 어두의 음을 늘이는 것(modification)을 뜻하기도 하고 그 결과로 형성된 접두어(prefix)를 뜻하기도 한다. 그리스어 시제에서는 미완료, 무정, 과거완료 등에서 쓰인다. 그리스어 동사의 두음확장은 2가지 방식이 있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동사는 시제접두모음 ε를 어두에 추가하여 음절 두음확장(syllabic augment)을 한다. 그리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는 어두의 음을 길게 늘리는 증음 두음확장(temporal augment)을 한다. 음절 두음확장은 음절의 .. 2024. 1. 5.
낱말 첫머리에 오는 σ의 생략 - 고대 그리스어, 희랍어, 헬라어 낱말 첫머리에 오는 σ의 생략 - 그리스어 그리스어 낱말 중에는 원래는 σ로 시작되었으나, σ가 생략되고 뒤에 있는 모음은 기식음으로 바뀐 어휘가 일부 존재한다. 어두의 시그마가 생략된 후 기식음이 추가되지 않는 예외도 있다. 소금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할스 ἅλς’와 라틴어 ‘살 sal’과 영어의 ‘솔트 salt’는 조상이 서로 같다. 이를 통해 볼 때 ἅλς는 원래 σάλς였던 것으로 보인다. 원시 인도유럽어는 séh₂ls라고 한다. 1) 시그마가 생략 후 뒤에 있는 모음에 기식음이 추가된 어휘 아래에 라틴어와 더불어 예시를 든다. 라틴어에서는 s가 생략되지 않고 남아있어 비교해 볼 수 있다. ὑπέρ (휘뻬르) ~위에 라틴어 : super(수뻬르) ~위에 ἅλς (할스) 소금. * 그리스에서 -λς.. 2023. 12. 19.
기본형(Principal parts)과 표제형(lemma)이라는 문법용어에 대하여 기본형(Principal parts)과 표제형(lemma)에 대하여 1) 문제제기 - ‘기본형’이라는 용어의 2가지 쓰임새 영어 문법 용어에 익숙한 우리는 ‘기본형’을 사전의 ‘표제어’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영어에서 동사의 기본형은 ‘원형부정사(bare infinitive)’을 말하며, 이를 사전의 표제어로 사용한다. 이와는 달리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말하는 ‘기본형’은 그 의미가 좀 다르다. 이들 언어의 문법에서 말하는 ‘기본형’은 사전의 항목에 등장하는 ‘표제형’보다 더 넗은 개념이다. 명사는 단수 주격을 기본형(표제형)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단수 주격과 속격을 나란히 제시하고 이를 기본형이라고도 한다. 형용사는 단수 주격의 남성형, 여성형, 중성형을 나란히 배열하고 이를 기본형이라고 한다... 2023. 8. 28.
여성 접미사 -ια와 -σα, -σσα, -ττα, -ζα, -ιρα, -ινα 여성 접미사 -ια와 -σα, -σσα, -ττα, -ζα, -ιρα, -ινα 접미사는 어근과 결합하여 어간을 형성한다. 여성 접미사는 대표적으로 장모음은 -ᾱ와 -η, -ιᾱ 등이 있고, 단모음은 ια가 있다. 여기서는 단모음 ια의 변화를 살펴본다. 1) 여성 접미사 -ια →-ια, -σα, -σσα, -ττα, -ζα, -ιρα, -ινα * 장모음 어간을 구성하는 여성 접미사 ίᾱ와는 다름. ⓐ ια는 그 자체로 쓰이거나 σα 등으로 변하여 쓰인다. ⓑ ια의 ι는 앞에 자음이 오면 반자음 ι̯로 바뀌며, 원시 그리스어에서 앞에 오는 자음에 따라 구개음화되거나 변화를 겪어 -σα, -σσα, -ττα, -ζα, -ιρα( 2023. 7. 6.
자음 + 이오타(ι)의 변화 - ‘이오타의 마술 magic iota’ 자음 + 이오타(ι)의 변화 1) 이오타의 마술('매직 이오타' magic iota) 모음 ι는 뒤에 모음이 이어지면 자음으로 기능하는 ι̯(자음성 모음 ι)로 발음이 변하며, 특정 자음이 앞에 있으면 몇 가지 변화를 유발한다. 이오타는 큰 소리는 내지 못하지만 그 존재감은 막강하다. 잘 생략되지도 않고, 축약과정에서 없어지지도 않으며, 조건에 따라 변신에도 능하다. 이오타 하기(iota subscript)로도 쓰이고, 다른 자음을 변화시키며 스스로 다른 자음으로 변하기도 한다. 이오타는 여러 모로 시그마와 대비된다. 시그마는 앞에 오는 자음을 무수히 생략시키면서도 스스로도 잘 생략된다. 참고: 시그마와 생략 "트러블 시그마(trouble sigma" 문법에 대한 글은 재미있다고 느껴질 때 읽으면 된다... 2023. 7. 6.
명사 3변화 - 불규칙 ι, υ 어간명사와 οι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ι, υ 변형 어간과 οι 어간 명사 1) οι 어간 명사 οι어간 명사는 단수 호격에만 원형이 남아있고, 나머지 변화에서는 ι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단수 변화만 있다. πειθώ, πειθοῦς, ὁ : 설득 ἠχώ, ἠχοῦς, ὁ : 메아리, 에코, 반사음 Λητώ, Λητοῦς, ὁ : 레토 여신 * 호격과 여격이 서로 같다. (1) πειθώ(설득)의 단수변화 주격 : πειθώ ← πειθό 속격 : πειθοῦς ← πειθό +ος 여격 : πειθοῖ ← πειθό + ι 대격 : πειθώ ← πειθό + α (?) 호격 : πειθοῖ ← πειθοῖ + 무 * πειθώ ← πειθό + α : 액센트 규칙상 곡강세가 와야하므로 불확실함 (2) ἠχώ(메.. 2023. 1. 12.
Ζεύς, Διός, ὁ 제우스 신. 명사 3변화 ευ 변형어간 Ζεύς, Διός, ὁ 제우스 신. 명사 3변화 ευ 변형어간 1) Ζεύς의 표준적인 어형변화 (1) Ζεύς, Διός, ὁ : 제우스 신(Zeus). 명사 3변화 어간 : Ζευ-, Διϝ- * 라틴어 Deus, Iovis, Diovis(Old Latin)와 같은 어원. Proto-Indo-European *dyḗws * Ζεύς는 어형변화에 3개의 어간(Ζευ- Ζην-, Δι-)이 쓰이고 있다. Ζηνός보다는 Διός가 더 일반적으로 쓰인다. 복수형은 없다. Ζεύς : 제우스 신이 Διός : 제우스 신의 Διί : 제우스 신에게 Δία : 제우스 신을 Ζεῦ : 제우스 신이여! (2) 어형변화 설명 * 주격 Ζεύς ← Δι̯εύς ← Διϝ + ς (Διϝ가 0등급에서 ε등급으로 바뀌고.. 2023. 1. 11.
ναῦς (배, 선박, 3변화)의 어형 변화 살펴보기 ναῦς (배, 선박, 3변화 αυ 어간)의 어형 변화 살펴보기 (1) αυ 어간 명사 ναῦς의 어형변화에 대하여 고대 그리스어를 처음 공부한 사람에게 ναῦς는 좀 당혹스러운 단어일 수 있다. 이형이 많아서 어형변화가 매우 번잡스럽기 때문이다. 일단 표준적인 변화를 먼저 보고 여러 이형변화들을 살펴본다. 아래에 제시한 표준 변화표에서 괄호 안에 흐릿하게 있는 것은 이중모음 어간 명사의 일반적인 규칙에 해당하는 것이다. 괄호안의 어형 역시 표준형은 아니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었던 형태이다. 이런 변화과정을 이해하면,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2) 표준 어형 익히기 ναῦς, νεώς, ἡ, 배, 선박 (3변화) 어간 : ναυ- (νη-, νε-) ㅇ 어형 변화표 설명 일반적으로 ναῦ.. 2022. 10. 6.
아이스킬로스, 에우리피데스, 에우리피데스 등의 이름의 의미 아이스킬로스, 에우리피데스, 에우리피데스 등의 이름의 의미 고대 그리스의 3대 비극 시인들의 이름을 살펴보았다. 고대 그리스 인들은 아이가 태어나면 10일째 되는 날, 어머니쪽과 아버지쪽 친척들을 초대하여 데카테(δεκάτη 데까떼-, '열흘쨋날')라는 잔치를 열어, 아이의 아버지가 공식적으로 아이의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이 이름들이 모두 데카테 날에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다. 1) Αἰσχύλος 아이스퀼로스 (아이스킬로스) 기원전 525년/524년 - 기원전 456년/455년 이형 : Αἴσχυλλος [어원] 어원이 불명확하다. 다음과 같은 추측성 설명이 있지만(윅션너리) 의문스럽다. * ἀ- (부정을 나타내는 접두어) + ἰσχύς (힘, 활력) + -ος(2변화 명사 형성 접미사) 지금부터는 .. 2022. 9. 26.
유추에 의한 동화(assimilation) 유추에 의한 동화(assimilation) 1) 유추에 의한 동화의 뜻 유추에 의한 동화는 문법규칙을 따르기보다는 비슷한 다른 활용예를 모방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스어의 불규칙 어형을 설명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다른 언어에서도 흔하게 보이는 현상이다. 동화(assimilation)는 자신의 형태를 버리고 다른 것과 조화를 이루거나 닮아가는 것을 의미하며, 규칙적인 변화일수도 있고 불규칙적인 변화일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는 모음동화와 자음동화 등이다. 2) 유추에 의한 동화가 일어나는 과정 Εὐρῑπίδης(에우리피데스)의 대격은 Εὐρῑπίδην이다. Σωκράτης(소크라테스)의 대격은 Σωκράτη이지만 Σωκράτην(불규칙)도 쓰인다. Εὐρῑπίδης 뿐만 아니라 명사 1, 2변화의 대격.. 2022. 7. 6.
명사 3변화 - ευ, αυ, ου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ευ, αυ, ου 어간 명사 Consonant-Declension Nouns: stems in ευ, αυ, or ου 1) 기본 특징 * ευ, αυ, ου 등의 어간은 뒤에 모음이 오면 υ가 생략된다. * ευ어간 명사는 ⒜단수 주격 호격과 ⒝복수 여격에 이중모음이 있다. 나머지 격에서는 ευ가 ε나 η로 바뀐다. * αυ, ου 어간 명사는 ⒜단수 주대호격과 ⒝복수 여격 대격에서 이중모음을 사용한다(단수 주격과 복수 대격이 서로 같다, 쌍수 제외). 나머지 격에서는 αυ는 ᾱ, η, ε 등으로 바뀌고, ου는 ο로 바뀐다(실제 변화 참고). ευ → ε, η αυ → ᾱ, η → ε ου → ο * 장단모음전이가 일어난다. (ἱππέως, νεώς, ἱππέᾱ ← ἱππῆος, ν.. 2022. 6. 17.
생략과 축약의 예외 -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생략과 축약의 예외 고전 그리스어는 낱말의 철자가 축약되거나 생략되는 일이 흔하다. 그러나 간혹 축약이나 생략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눈의 띄는 것 몇 가지를 정리한다. 1) 전치사 합성어 자음으로 끝나는 전치사와 다른 낱말이 합성될 때, 생략의 조건이 발생하여도 생략되지 않는다. προς, δυς, εἰς 등 자음으로 끝나는 전치사는 합성어가 되어도 ς가 생략되지 않는다. (1) νσ의 예외 ἔνστασις, ἔνστασεως, ἡ, 기원, 시작, 방식(어원 : ἐν '밖으로' + ἵστημι '세우다' + -ις 명사화 어미) ☞ νσ는 거의 같이 쓰이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ν가 생략되며, 단어 끝에서는 σ가 생략되기도 한다. (2) σν의 예외 δυσνομία : 무법(δυς 잘못된, 나쁜 .. 2022. 6. 17.
모음강약변화(Ablaut) - 모음강화, 모음약화, 모음소실 모음강약변화(Ablaut) - 모음강화, 모음약화, 모음소실 아블라우트(Ablaut)는 독일어에서 온 말이며, '소리의 단계적 변화(sound gradation)'라는 뜻이다. 모음이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단계적 변화를 의미하므로 '모음강약변화' 정도가 적절해 보인다. * 최근 문법서에서는 Ablaut를 vowel gradation이라고 한다. 영어권에서는 문법용어를 꾸준하게 영어화시키고 있다. 1) 모음강약변화(Ablaut) 모음강약변화는 영어의 sing - sang - sung에서 보이는 i, a, u 등의 모음변화 현상을 말한다. 낱말이 다른 뜻이나 다른 문법적 기능을 가질 때 모음강약변화가 일어난다. 동일한 어근이나 어간을 가진 서로 다른 낱말 사이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고대 그리스어에는 모음강화,.. 2022. 6. 13.
자음모음도치- 모음성 자음의 변화 자음모음도치- 모음성 자음의 변화 1) 자음모음도치(자모도치) - 모음성 자음 한 단어 안에서 모음과 자음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한다. 뜻에는 변화가 없다. ☞ 어근이 유사한 소리를 내는 다른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원래는 원시 그리스어에서 쓰이던 모음성 자음 ρ가 자음 ρ로 바뀌는 과정에서 그 앞 또는 뒤에 모음이 추가되는 현상이다. καρδίᾱ, καρδίᾱς, ὁ : 심장, 마음 κραδίᾱ, κραδίᾱς, ὁ : 심장, 마음 (시어) κάρτος, κάρτεος, τό : 힘 κράτος, κράτεος, τό : 힘 (호머) καρτερός, καρτερή[καρτερᾱ́], καρτερόν : 강한, 힘있는, 폭력적인 κρατερός, κρατερή, κρατερόν, 힘있는 : 강한.. 2022. 6. 13.
모음도치 - 모음의 위치 변화 모음도치 - 모음의 위치 변화 1) 모음도치의 뜻 모음도치란 모음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한다. 그리스어에도 모음도치 현상도 종종 보이는데, 특히 희구법 3인칭에서 자주 보인다. 장단모음전이와는 다르다. 장단모음전이(Metathesis in Quantity)는 νεώς(신전) ← νηός(신전)과 같이 음절의 길이가 서로 바뀌는 것이며 음절이 서로 교환되는 것은 아니다. 2) 모음도치의 예 흔히 접할 수 있는 모음도치는 희구법 무정시제 3인칭 복수 어형이다. τελέσειαν = τελέσαιεν : 이루어주시기를! λῡ́σειαν = λῡ́σαιεν : 풀어주시기를! τίσειαν = τίσαιεν : 대가를 치르게 해주시기를! δαμάσειαν = δαμάσαιεν : 덮치기를! * 뒤에 있는 .. 2022. 6. 13.
장단모음전이(Quantitative metathesis) 장단모음전이(Quantitative metathesis 또는 Metathesis of Quantity) 1) 장단모음전이(Metathesis)란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단모음전이 현상이 있다. εω ↔ ηο ↔ ᾱο εᾱ ↔ ηα νεώς(신전) ← νηός(신전) * Metathesis는 ‘옮김, 전위, 전이’ 등의 뜻이다. 간혹 한국어 문법에서는 ‘도치’라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장단모음전이(Quantitative metathesis)는 한 단어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단어의 뜻에도 변화가 없고, 심지어 변화 후에도 액센트의 위치는 유지된다(액센트 규칙 예외) πῆχυς, πήχεως, ὁ, 팔뚝, 아래팔 (3변화) ☞ 속격 πήχεως와 πήχεων는 액센트 규칙을 따르지 않고 있다. (.. 2022. 6. 12.
가변장단모음(Variations in Quantity) 가변장단모음(Variations in Quantity) 1) 가변장단모음이란 가변장단모음(Variations in Quantity) 현상은 언어 사용자가 마음 내키는 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단음을 장음으로 발음하거나 또는 장음을 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클라이드 파는 ‘재미로(with plasure)’라고 설명한다. 가변장단모음은 한 단어 안에서 뜻의 변화가 없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 또는 단모음을 같은 계통의 소리를 가진 단모음 또는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2) 이런 개념이 필요할까 고대 그리스어는 여러모로 우리말과 유사한 데가 많다. 우리가 '많이 주세요'라고 할 수도 있지만 '마하니 주세요'라고 할 수도 있다. 그때그때 분위기에 따라서 다르게 말할 수 있다. 같은 계통의.. 2022. 6. 12.
보상성 장음화 Compensative Lengthening 보상성 장음화 Compensative Lengthening. 1) 보상성 장음화의 뜻 낱말에서 1개 또는 2개의 자음이 생략되면 일반적으로 앞에 있는 모음이 장음화된다. 이를 보상성 장음화라고 한다. 고대 그리스어는 모든 글자를 다 발음하므로 생략된 자음의 길이만큼 모음을 더 길게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2) 장모음화 실례 생략된 자음 앞의 모음이 장모음이면 변화가 없으며, 단모음일 때는 아래와 같이 단모음이 장모음으로 변한다. α, ι, υ → ᾱ, ῑ, ῡ ε → ει ο → ου 3) ο → ω 장음화와 ο → ου 장음화 현재분사 ἄγων, ἄγουσα, ἄγον(이끄는, 어간 : ἄγοντ)의 구조를 통해 보상성 장음화를 살펴본다. 남성 단수 주격 ἄγων ← ἄγοντ + ς (σ 앞의 ντ가.. 2022. 6. 11.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 - ν, ρ, ς 와 ξ, ψ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 - ν, ρ, ς 와 ξ, ψ 1)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 - ν, ρ, ς 그리스어에서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은 ν, ρ, ς, ξ, ψ 등이다. ν, ρ, ς (느르스) 이들 자음들은 특정 조건에서만 끝에 쓰인다. ξ와 ψ는 κς γς χς, πς βς φς (자음 + σ) 등의 축약 형태이므로 ς가 단어 끝에 오는 조건에 속한다. δῶμα (← δωματ) : 집 ὑπόδρα (← ὑποδρακ) : 비스듬한, 기울어진 ἔλυε (← ἐλυετ) : 풀고 있었다(미완료시제, 3인칭 단수). 미완료 : ἔλῡον, ἔλῡες, ἔλῡε(ν) * 라틴어 3인칭 단수는 amat(그는 사랑한다), amabat와 같이 t로 끝난다. * 예외 ἐκ와 οὐκ (οὐχ)는 .. 2022. 6.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