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접미사 -ια와 -σα, -σσα, -ττα, -ζα, -ιρα, -ινα
접미사는 어근과 결합하여 어간을 형성한다.
여성 접미사는 대표적으로 장모음은 -ᾱ와 -η, -ιᾱ 등이 있고, 단모음은 ια가 있다. 여기서는 단모음 ια의 변화를 살펴본다.
1) 여성 접미사 -ια →-ια, -σα, -σσα, -ττα, -ζα, -ιρα, -ινα
* 장모음 어간을 구성하는 여성 접미사 ίᾱ와는 다름.
ⓐ ια는 그 자체로 쓰이거나 σα 등으로 변하여 쓰인다.
ⓑ ια의 ι는 앞에 자음이 오면 반자음 ι̯로 바뀌며, 원시 그리스어에서 앞에 오는 자음에 따라 구개음화되거나 변화를 겪어 -σα, -σσα, -ττα, -ζα, -ιρα(< -ρ+ια), -ινα(< -ν+ια) 등으로 바뀐다. (σ + ια는 다르게 변화하며, 아래에서 사례별로 설명함)
☞ ι̯, σ, τ, ζ 등은 발성기관(치경음, 혀끝과 윗잇몸 사이의 좁은 틈)이 거의 유사하고, 발성방식(파열음, 마찰음)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
ⓒ ια는 υ나 ες어간 형용사와 결합하여 ἡδεῖα(기쁨, ἡδύ- + -ια), ἀλήθεια(진실, ἀληθες + -ια) 등과 같은 여성명사를 형성한다.
* ἡδύς(달콤한, 어간 ἡδύ), ἀληθής(진실한, 어간 ἀληθες)
ⓓ 완료분사 여성형에서는 υῖα(← ϝσ + ια)로 변한다. ϝσ(우스)는 분사 형태소.
λελυκυῖα ← λελυκύσια ← λελυκϝσια ← λελυκϝσ + ια(여성어미)
☞ υσι 에서 모음사이 σ 탈락 후 υῖ로 이중모음이 됨
* λελυκώς, λελυκυῖα, λελυκός : 푼 (완료분사 능동)
(The Cambridge Grammar of Classical Greek 72쪽 등 참조).
참고 : 그리스어를 잘 읽을 수 있으면 문법은 몰라도 됩니다. 자신의 한국어 습득과정을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글이 재미있는 분들만 읽으시기 바랍니다 ^^ |
2) 자음+ια의 변화
특정 자음이 ια 앞에 오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긴다.
(1) σα ← ντ+ι̯α
ια는 앞에 ντ가 오면 반자음 ι̯α로 바뀌고 구개음화되어 σα로 변한다. ντ는 분사 형태소이다. 반자음은 정확히 말하면 자음성 모음 즉 '자음으로 기능하는 모음'이다.
(예1)
οὖσα ← ὄντ + σα ← ὄντ + ι̯α ← ὄντ + ια
☞ σ 앞의 ντ가 생략되면서 ο가 ου로 장음화됨
* τ(뜨), σ(스), ι̯(이) 등은 모두 혀끝과 경구개(또는 잇몸) 사이 좁은 틈에서 나는 소리라는 공통점이 있다.
* ὤν, οὖσα, ὄν ~인 (εἰμί의 현재분사, 어간 ὄντ) (1-3 변화)
* 어간은 속격을 보면 알 수 있다. ὄντος에서 어미 ος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어간이다.
<참고> εἰμί(이다) 동사의 분사 정리
(예2)
ἄγουσα ← ἄγονσα ← ἄγοντ + σα ← ἄγοντ + ια
☞ σ 앞의 ντ가 생략되면서 ο가 ου로 장음화됨
* ἄγων, ἄγουσα, ἄγον : 이끄는(현재분사 능동, 1.3변화, 어간 ἄγοντ)
<참고> -ῶν, -οῦσα, -οῦν형 분사
(예3)
πᾶσα ← πάντ+σα ← πάντ+ι̯α ← πάντ+ια
* πᾶς, πᾶσα, πᾶν : 모든 (1-3 변화, 어간 πάντ)
(2) ττα 또는 σσα ← κ, χ, τ, θ + ι̯α
* τ + ι̯α는 σα나 σσα(ττα)로 변한다.
ἄνασσα(여왕, 여주인, 부인) ← ἄνακ(τ) + ι̯α ← ἄνακ(τ) + ια
cf. ἄναξ (왕, 주인) ← ἄνακ + ς
βασίλισσα(여왕, queen) ← βασίλ+ισσα ← βασίλ+ικ+ια
Φοίνισσα(페니키아 여성) ← Φοίνῑκ + ι̯α ← Φοίνῑκ + ια
cf. Φοῖνιξ(페니키아인. 남성) ← Φοίνῑκ + ς
γλῶσσα(γλῶττα, 혀, 언어) ← γλῶχ + -ια ← γλώξ(옥수수 수염) + -ια
μέλισσα(μέλιττα 벌) ) ← μέλιτ + -ια ← μέλιτ- (μέλι 꿀) + -ια
☞ μέλισσα의 변화 과정은 추정이다.
θάλασσα : 바다. 어원이 불명확하여 분해할 수 없음. θάλακ+ια(talakya, 윅셔너리 어원 참조)
☞ ἅλς(할스, 그리스어), salt(솔트, 영어), sāl(살-, 라틴어)과 같은 어원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됨.
☞ 참고로 -σσα, -ττα로 끝나는 말은 많지 않다.
(3) -ζα ← γ, δ + ι̯α
τράπεζα(책상, 탁자) ← τράπεδ + ι̯α
* τράπεζα, τράπεζης, ἡ : 책상
어원 : τρά(3개) + πεζα(다리, ποδ-)
πούς, ποδός, ὁ : 다리(명사 3변화, 어근 ποδ-)
☞ 동사 등 다른 변화에서도 γ, δ + ι̯ 는 ζ로 변한다.
γυμνάζω(운동하다) ← γυμν + -άζω ← γυμναδ+ι̯ω
κλάζω(울리다) ← κλαγ+ι̯ω
(4) -ιρα, -ινα ← ρ, ν + ια
① -ινα ← ν + ια
μέλαινα (검은) ← μέλανια ← μέλαν + ια
☞ νι, ρι 등은 ι가 앞의 자음을 뛰어넘어 그 앞의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모음(αι)을 형성한다.
* μέλᾱς, μέλαινα, μέλαν : 검은(어간 : μέλαν, 형용사 1-3변화)
τάλαινα(비참한) ← τάλανια ← τάλαν + ια
* τάλᾱς, τάλαινα, τάλαν : 비참한(어간 : τάλαν, 형용사 1-3변화)
② -ιρα ← ρ + ια
(예1)
σώτειρα(구원자) ← σώτερ + ια
cf. σωτήρ(구원자, 남성형) ← σώτερ + ς
(예2)
μάκαιρα : (형용사) 축복받은, 행복한(여성형), (명사) 축복받은 이. μάκαρ의 여성형
μάκαιρα ← μάκαρια ← μάκαρ + ια
(명사) μάκαρ, μάκαρος, ὁ : 축복받은 이, 신
(형용사) μάκαρ, μάκαρ : 축복받은, 행복한(형용사 3변화 2어미)
* 필멸의 인간과 대비하여 신들을 나타내는 말
* 형용사 μάκαρ는 남성과 여성에 다 쓰임.
(5) σ + ια → ι가 반자음으로 바뀌지 않음
ἀλήθεια(진실) ← ἀληθε + ια ← ἀληθες + -ια
☞ 모음사이의 시그마가 생략되고 ει는 이중모음으로 바뀐다.
λελυκυῖα ← λελυκύσια ← λελυκϝσια ← λελυκϝσ + ια(여성어미)
☞ υσι 에서 모음사이 σ 탈락 후 υῖ로 이중모음이 됨
* λελυκώς, λελυκυῖα, λελυκός : 푼 (완료분사 능동)
<참고> 완료분사 능동태 여성형 ϝοσ+ια
완료분사 형태소는 원래 남성 중성은 ϝοσ(우오스)였고, 여성은 ϝσ(우스)였다(모음강약변화). ϝ(와우)는 고전 이전에 사라진 글자.
οτ : 남성 중성 완료분사 형태소 (οτ ← ϝοτ ← ϝοσ)
υῖα : 여성 능동 완료분사어미 (υῖα ← ϝσια ← ϝσ + ια) * ϝσια(우시아)
3) 모음+ια의 변화
(1) εῖα ←υ + ια
υ는 모음 앞에서 ε로 바뀌고 ει는 이중모음으로 바뀐다. 모두 후행성 액센트를 가진다
ἡδεῖα(기쁨) ← ἡδέ + ια ←ἡδύ + ια(여성 접미사 ← ἡδέϝ-ια)
☞ 모음성 자음 ϝ(우)가 모음 υ로 바뀐 후 뒤에 오는 모음으로 인하여 ε로 바뀐다.
βασίλεια(여왕, queen) ← βασίλε + ια ← βασιλευ + ια ← βασίληϝ + ια
cf. βασιλεύς (왕, king) ← βασιλευ + ς
☞ ευ는 뒤에 모음이 이어지면 υ가 탈락한다.
ἱέρεια(여사제, priestess) ← ἱερε + ια ← ἱερευ + ια
cf. ἱερεύς (사제, priest) ← ἱερευ + ς
* 케임브리지 그리스어 문법(23.1) 등 참고함
<참고> -ίᾱ : 장모음 어간 접미사
접미사 -ίᾱ는 명사나 형용사와 결합하여 그 명사나 형용사의 성질을 나타내는 추상명사를 만드는 접미사이다.
ἐλευθερία (= ἐλευθερίᾱ, 자유) ← ἐλεύθερος (자유로운, 형용사)
ἡγεμονία (= ἡγεμονίᾱ, 헤게모니, 지도력) ← ἡγεμών (통치자, 지도자, 명사)
σοφία (= σοφίᾱ, 지혜) ← σοφός(현명한, 형용사)
(케임브리지 23.16)
☞ 장음 ᾱ, ῑ, ῡ 등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장음표시를 하지 않는다. ἐλευθερία 등은 바로 앞에 액센트가 오는 것을 보고 구별할 수 있다.
<참고2> 여성형 명사와 형용사의 어간
명사, 형용사와 분사의 여성형 어간은 일반적으로 '어근과 여성 접미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성형 명사, 또는 형용사는 아래와 같은 형태로 어간이 끝나다.
① 장모음 어간
-ᾱ, -η, -ιᾱ
② 단모음 어간
ια, -σα, -σσα, -ττα, -ζα, -ιρα, -ινα
2023-07-06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 > 알파벳과 발음 - 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낱말 첫머리에 오는 σ의 생략 - 고대 그리스어, 희랍어, 헬라어 (0) | 2023.12.19 |
---|---|
자음 + 이오타(ι)의 변화 - ‘마법의 이오타 magic iota’ (0) | 2023.07.06 |
유추에 의한 동화(assimilation) (0) | 2022.07.06 |
생략과 축약의 예외 -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0) | 2022.06.17 |
모음강약변화(Ablaut) - 모음강화, 모음약화, 모음소실 (0) | 2022.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