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사의 접용19

동사(18) 알파(α)축약동사의 미완료시제와 현재시제 동사(18) 알파(α)축약동사의 미완료시제와 현재시제 비교 1) 축약동사의 미완료시제 동사의 종류를 익히면서, 같은 어간을 사용하는 현재시제와 미완료시제의 어형변화도 익힐 수 있도록, 동사 종류별로 현재시제와 미완료시제의 어형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동사의 종류는 연결모음을 제외한 어간에 따라 분류하였다. * ι, υ어간 동사λῡ́ω(풀다), παύω(멈추다) 등은 앞에서 설명하였다. 참고로 ι, υ어간 동사는 모음어간동사이고, 자음변화동사이며, 비축약동사이다. 2) 동사의 종류 (1) 비축약동사 ⓐ ι, υ어간 동사 - 닫힌 모음어간 동사는 자음변화를 함 ⓑ 정지음 어간 동사 - 양순음 구개음 치경음 어간 동사 ⓒ 유비음 동사 - λ. ρ, μ, ν 어간 동사 ⓓ μι 동사 ☞ 미동사를 제외하면, 모두 .. 2023. 4. 28.
동사(17) 미완료시제 뉘미(νυμι) 동사 직설법 변화 동사(17) 미완료시제 νυμι 동사(직설법) 1) νυμι 동사 νυμι 동사는 μι동사의 일종으로,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면 시제접사 νυ가 추가되고(δείκνῡμι 보여주다, δεικ), 모음으로 끝나면 ννυ가 추가된다(κεράννῡμι 섞다, κερα-). δείκνῡμι : 보여주다, 전시하다, 설명하다 μῑ́γνῡμι : 섞다, 결합하다, (중동) 섞이다 ἀπόλλῡμι : 파괴하다, 죽이다, (중동) 사라지다, 죽다 κεράννῡμι : 섞다, 희석하다 * 불안정 모음 ᾱ, ῑ, ῡ는 일반적으로 α, ι, υ로 표기한다. 2) 자음+νῡμι (1) δείκνῡμι(보여주다) 미완료시제 능동 단수 : ἐδείκνῡν, ἐδείκνῡς, ἐδείκνῡ 복수 : ἐδείκνυμεν, ἐδείκνυ.. 2021. 6. 21.
동사(16) 불규칙 μι동사의 미완료시제 (εἰμί, φημί, εἶμι) 동사(16) 불규칙 μι동사의 미완료시제 (εἰμί, φημί, εἶμι) 1) 불규칙 미동사의 미완료 시제 (1) εἰμί : ~이다 εἰμί의 직설법 미완료 시제 εσ- 단수 : ἦ 또는 ἦν, ἦσθα, ἦν 복수 : ἦμεν, ἦτε, ἦσαν 쌍수 : ─, ἦστον, ἤστην ㅇ εἰμί의 미완료시제 어미 ν, σθα, ν, μεν, τε, σαν, στον, στην (2) φημί : 말하다 어근 : φη-, φα- φημί의 미완료 능동 능동 단수 : ἔφην, ἔφης [ἔφησθα], ἔφη(ν) 복수 : ἔφαμεν, ἔφατε, ἔφασαν [ἔφαν] 쌍수 : ─, ἔφατον, ἐφάτην 중수 단수 : ἐφάμην, ἔφασο, ἔφατο 복수 : ἐφάμεθα, ἔφ.. 2021. 6. 21.
동사(15) 미완료시제 μι동사 직설법(δίδωμι, τίθημι, ἵστημι, ἵημι) 동사(15) 미완료시제 μι동사 직설법(δίδωμι, τίθημι, ἵστημι, ἵημι) 미동사는 ⓐ 현재, ⓑ 미완료, ⓒ 무정시제에서 오동사와 어형변화가 다르다. 이들 변화에서 미동사는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미동사는 현재와 미완료에서 능동 단수 어근만 모음강화현상(예: ο→ω 또는 ου)이 있다. 일반적으로 미동사의 능동 단수 어근은 장음절이며, 복수와 쌍수 어근은 단음절이다. ἵστημι의 무정시제 등 예외도 있으니 유의한다. ἵστημι는 무정시제 능동과 중동에서 단수 복수 쌍수 모두 어근이 장음절 στή-이다. 수동은 στά-이다. ἔστησα(무정 능동 단수), ἐστήσαμεν(무정 능동 복수) ἐστησάμην(무정 중동 단수), ἐστησάμεθα(무정 중동 복수) ἐστάθη.. 2021. 6. 20.
동사(14) ω동사 미완료시제 (직설법) 동사(14) ω동사의 직설법 미완료시제의 어형변화 1) 미완료시제의 의미와 중요성 (1) 미완료시제의 의미 미완료시제는 과거에 진행 중인 사건이나 반복되는 습관 또는 상태의 지속 등을 표현하는 시제이다. 이와 대비하여 단순과거시제는 무정시제로 표현하고, 과거에 완료된 사건이 현재에도 그 영향이 지속되면 완료시제로 표현한다. (2) 미완료 시제의 중요성 어떤 통계에 의하면 그리스어 문헌에서 동사의 시제 중 현재시제는 48.4%를 차지하며, 무정시제(아오리스트 시제)는 28.5%, 미완료시제는 11.8%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 3가지 시제가 무려 88.7%를 차지한다. 미완료시제는 현제시제 어간을 사용하므로 둘을 같이 익히는 것이 효율적이다. 2) ω동사의 직설법 미완료시제 (1) 어형변화표 예시동사 : λ.. 2021. 6. 20.
동사(13) 주요 μι동사의 현재시제 동사(13) 주요 μι동사의 현재시제 1) 4개의 주요 μι동사 δίδωμι : 주다 τίθημι : 놓다, 유발하다 ἵστημι : 세우다(타동사), 서다(자동사) ἵημι : 던지다 ㅇ 이들 동사는 현재시제 어간을 형성할 때, 어간두음을 중복한 다음 중복된 음 뒤에 모음 – ι –를 추가한다. 예) δ+ί+δω+μι ㅇ νυμι동사와 다른 점 : - νυμι동사는 어근에 현재시제접사 –νῡ-나 ννῡ가 추가되며, 두음중복이 없다. 예) δείκ+νῡ+μι(보여주다), σκεδά+ννῡ+μι(흩뿌리다) ㅇ ω동사와 다른 점 : ω동사의 현재시제는 일반적으로 두음중복이 없으며(예외, γίγνομαι 등 일부동사), 완료형에 두음중복이 있다. 그리고 어미와 결합할 때 연결모음(ο 또는 ε)을 사용한다. ㅇ.. 2021. 6. 20.
동사(12) 불규칙 μι동사의 현재시제 (εἰμί, φημί, εἶμι) 불규칙 μι동사의 현재시제 εἰμί와 φημί는 불규칙 활용동사이면서, 직설법 현재형이 후치접어이다. 동사의 액센트 규칙을 따르지 않고, 다른 후치접어처럼 액센트가 맨 뒤에 온다. 동사 중에서 후치접어는 이 2가지 뿐이다. 그리스어는 불규칙도 어떤 규칙을 따르고 있다. 설명이 안되는 불규칙은 드문 편이다. 1) εἰμί : ~이다, 있다 εἰμί : ~이다, 있다 기본형 : εἰμί, ἔσομαι, —, —, —, — (1) 현재시제 어형변화 어간 : ἐσ 단수 : εἰμί, εἶ, ἐστί(ν) 복수 : ἐσμέν, ἐστέ, εἰσί(ν) 쌍수 : ─, ἐστόν, ἐστόν 현재부정사 : εἶναι 현재분사 : ὤν, οὖσα, ὄν (2) 어형변화 설명 단수 변화 εἰμί ← ἐσμί (μ앞에서 .. 2021. 6. 19.
동사(11) 미동사의 특징과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미 - 고대 그리스어 μι동사의 특징과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미 * 동사의 시제를 어느 정도 익힌 다음 읽어도 됩니다. 1) μι동사의 특징 (1) μι동사는 인칭어미가 μι로 끝나는 동사이다. δείκνῡμι(보여주다), δίδωμι(주다), τίθημι(놓다, 유발하다), ἵστημι(세우다, 서다), ἵημι(던지다) (2) -μι 동사는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어간에 시제접사가 없이 바로 어미가 결합하는 무접사 μι동사 그룹과 현재와 미완료에서 접사 νυ가 있는 νῡμι 동사 그룹이 있다. ⓐ 무접사(suffixless) μι동사 : δίδωμι(주다), τίθημι(놓다, 유발하다) ⓑ νῡμι 동사 : δείκνῡμι(보여주다), μῑ́γνῡμι(섞다) ☞ 무접사 μι동사(suffixless μι-verb)는 대부.. 2021. 6. 19.
동사(10) μι동사의 현재시제(δείκνῡμι, μῑ́γνῡμι, ἀπόλλυμι) 동사(10) μι동사의 현재시제 1) 현재시제 능동(직설법) (1) μι동사란 μι동사는 어미가 μι로 끝나는 동사이다. 그리스어에는 ω동사와 μι동사가 있다. (2) μι동사 현재시제 능동 인칭어미 * ω동사의 어미는 μι동사 어미가 진화한 것이다. ☞ 인칭어미는 인칭과 수에 따라 서로 다르므로, 어미 자체가 주어의 뜻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어는 일반적으로 대명사 주어를 생략한다. ☞ 3인칭 복수 어미 -νσι가 오동사에서는 -ουσι로 바뀌고, 미동사에서는 –ᾱσι(ν)로 바뀐다. –μι = 나는 ~하고 있다 –ς = 너는 ~하고 있다 –σι(ν) =그는 ~하고 있다 –μεν = 우리는 ~하고 있다 –τε = 너희는 ~하고 있다 –ᾱσι(ν) = 그들은 ~하고 있다 -τον = 너희 둘은 ~.. 2021. 6. 19.
동사(9) 축약동사 요약, 그리고 축약동사와 비축약동사의 구별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요약, 그리고 축약동사와 비축약동사의 구별 1) 축약동사 현재시제 어형변화 요약 (1) 알파(α) 축약 (2) 엡실론(ε) 축약 (3) 오미크론(ο) 축약 2) 축약동사 어미 정리 - 현재시제 ☞ 아래에서 제시한 축약동사의 어미는 연결모음과 어미가 융합된 형태이다. (1) 현재시제 능동태 (2) 현재시제 중수동태 3) 축약 동사와 비축약 동사 (1) 비축약 동사 - ω동사 중 ι, υ어간 동사와 자음어간 동사, μι 동사 ⓐ ω동사 중 ι, υ어간 동사와 자음어간 동사는 축약되지 않는다. ⓑ μι 동사는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으며, 축약되지 않는다. χρίω : 기름을 바르다, 향수를 문지르다 기본형 : χρῑ́ω, χρῑ́σω, ἔχρῑσον, κέχρῑκα, κέχρῑμαι, ἐχ.. 2021. 6. 18.
동사(8) 오미크론(ο)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동사(8) 오미크론(ο)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1) 축약동사 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어미와 연결될 때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 각각 ⓐ 알파축약 동사, ⓑ 엡실론 축약동사, ⓒ 오미크론 축약동사라고 한다. 여기서는 오미크론 축약동사의 현재시제 어형변화를 살펴본다. 2) 오미크론(ο) 축약 (1) 오미크론(ο) 축약의 예 어간이 o로 끝나는 ω동사는 아래와 같이 축약이 일어난다. ο + ω = ω ο + ει = οι ο + ο = ου ο + ε = ου ο + ου = ου ο + αι = οι ο + η = ω ο + ῃ = οι ο + οι = οι (2) 능동태 변화 ① 예시동사 δηλόω : 밝히다, 분명하게 하다. 기본형 : δηλόω, δηλώ.. 2021. 6. 18.
동사(7) 엡실론(ε)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동사(7) 엡실론(ε)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1) 축약동사 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 각각 알파축약 동사, 엡실론 축약동사, 오미크론 축약동사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어간이 ε로 끝나는 엡실론 축약동사의 현재시제 어형변화를 살펴본다. 2) 엡실론(ε) 축약 동사 (1) 엡실론(ε) 축약의 예 어간이 ε로 끝나는 ω동사(ποιέ+ω)의 엡실론(ε) 축약 아래와 같다. ε + ω = ω ε + ει = ει ε + ο = ου ε + ε = ει ε + ου = ου ε + η = η ε + ῃ = ῃ ε + οι = οι (2) 능동태 변화 ① 예시동사 ποιέω : 만들다 기본형 : ποιέω ποιήσω ἐποίησα πεποίηκα .. 2021. 6. 16.
동사(6) 알파(α)축약 동사 - 직설법 현재시제 알파(α)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 직설법 현재시제 1) 축약동사에 대하여 (1) 축약동사 - 알파 축약, 엡실론 축약, 오미크론 축약 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어미와 연결될 때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 예를 들면, ⓐ τιμάω(명예롭게 하다)의 현재시제 1인칭 단수는 τιμῶ이고, ⓑ ποιέω(만들다)의 현재시제 1인칭 단수는 ποιῶ이며, ⓒ δηλόω(밝히다, 분명하게 하다)는 δηλῶ이다. 이와 같이 άω → ῶ, έω → ῶ, όω → ῶ 등으로 변하는 것을 축약이라 하고, 이런 동사들을 축약동사라고 한다. (2)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축약변화는 1번째 기본형의 어간을 사용하는 현재시제와 미완료시제에서만 나타난다. 나머지 시제에서는 다른 동사의 어.. 2021. 6. 16.
동사(5) 탈형동사의 현재시제 직설법 동사(5) 탈형동사의 현재시제 직설법 1) 탈형동사란 탈형동사는 기본형의 형태가 중동태이면서 항상 능동의 뜻으로 쓰이는 동사를 말한다.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능동태 동사와 차이가 없다. 문맥을 통해 그 심리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 뿐이다. 탈형동사나 일반동사의 중동태는 동사가 표현하는 상황에 대해 주어의 심리적 태도나 주어의 이해관계 등을 특별히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실제로는 능동태와 의미구별이 모호한 경우도 많다. 고전시대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탈형동사는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신약성경에 나온 중동태 동사 중에서 대략 75%가 탈형동사(deponent)라고 한다. 2) ω동사의 탈형동사 탈형동사는 중동태와 어형이 같으므로, 현재시제는 현재시제 중수동태의 어형변화를 익히면 된다. δέχομ.. 2021. 6. 12.
동사(4) 오동사 현재시제 중수동태 직설법 동사(4) ω동사 현재시제 중수동태 직설법 1) 중수동태란 중수동태 (mediopassive voice)는 같은 형태로 문맥에 따라 중동태(middle voice)로도 쓰이고 수동태(passive voice)로도 쓰이는 동사의 변화형을 말한다. 그리스어의 미래시제와 무정시제는 중동태와 수동태의 어형이 별도로 존재하지만, 나머지 시제에는 하나의 어형으로 두 가지 태를 표현한다. 현재시제는 중동태가 수동태로도 사용되므로 흔히 중수동태라고 한다. * 중동태라는 용어에 대하여 : 초급 중급 고급 대신에 초급 중간 고급이라고 하지 않듯이 태의 측면에서 말할 때는 능동 중간 수동보다는 능동 중동 수동이 더 자연스럽다. 2) 현재시제 중수동태 직설법의 변화 (1) 현재시제 중수동태 예시동사 : λῡ́ω 풀다 기본형 .. 2021. 1. 7.
동사(3) 오동사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 동사(3) ω동사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 그리스어에는 ω동사와 μι동사가 있다. 표제형(기본형)이 ω로 끝나면 ω동사이고 μι로 끝나면 μι동사이다. 우선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ω동사 변화를 먼저 살펴본다. 1)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 어형변화 (1) 현재시제 능동태 예시동사 : λῡ́ω 풀다 기본형 : λῡ́ω, λῡ́σω, ἔλῡσα, λέλυκα, λέλυμαι, ἐλύθην ⓐ 단수 1 : λῡ́ω 나는 풀어준다 2 : λῡ́εις 너는 풀어준다 3 : λῡ́ει 그는 풀어준다 ⓑ 복수 1 : λῡ́ομεν 우리는 풀어준다 2 : λῡ́ετε 너희는 풀어준다 3 : λῡ́ουσι(ν) 그들은 풀어준다 ⓒ 쌍수 2 : λῡ́ετον 너희 둘은 풀어준다 3 : λῡ́ετον 그들 둘은 풀어준다 .. 2021. 1. 4.
동사(2) 개요 - 미동사의 직설법 변화 동사(2) μι동사의 직설법 어형변화 개요 ☞ 이 글은 초보 학습자들이 앞으로 공부할 내용을 미리 살펴보는 용도로 보거나 아니면 찾아보기용으로 보면 좋을 것이다. δίδωμι, δώσω, ἔδωκα, δέδοκα, δέδομαι, ἐδόθην, 주다 τίθημι, θήσω, ἔθηκα, τέθεικα, τέθειμαι, ἔτέθην, 놓다 ἵστημι, στήσω, ἔστησα & ἔστην, ἕστηκα, ἕσταμαι, ἐστάθην, 세우다(타동사), 서다(자동사) ἵημι, ἥσω, ἧκα, εἷκα, εἷμαι, εἵθην, 던지다, 보내다 1) 현재시제 (1) 능동 μι동사 현재시제 * 동사의 구조 : δίδωμι ← δί(이오타 두음중복) + δω(어근) + μι(어미) * ἵστημι와 ῑ.. 2020. 12. 30.
동사(1) 개요 -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동사(1) ω동사의 직설법 어형변화 개요 ☞ 앞으로 공부하게 될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를 전체적으로 조망해 본다. 어렵지 않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어린이들도 그리스어를 사용하였다. 1) 그리스어 동사의 인칭어미 정리 그리스어 동사의 시제는 모두 1차시제와 2차시제로 분류된다. 1차시제는 현재와 미래에 해당하는 시제이며, 2차시제는 과거의 일에 해당하는 시제이다. 1차시제 : 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 2차시제 : 미완료, 무정, 과거완료 그리스어 동사의 직설법 접속법 희구법의 모든 어형변화는 1차시제 능동과 중동어미 그리고 2차시제 능동과 중동어미 등 4가지 어미세트가 일관되게 적용된다. 즉 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 능동태는 모두 1차 능동어미를 공통으로 사용하며, 미완료, 무정, 과거완료 중수동.. 2020. 12. 30.
목차 - 동사의 어형변화(접용) 카테고리 목차 - 동사 어형변화(접용) 카테고리 1) 그리스어 동사에 대한 기초 사항 고전 그리스어 동사활용의 종류 동사의 6가지 기본형(Principal parts)과 그 의미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동사 변화의 5요소 2) 직설법 변화 동사(1) 개요 -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 동사(2) 개요 - 미동사의 직설법 변화 동사(3) 오동사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 동사(4) 오동사 현재시제 중수동태 직설법 동사(5) 탈형동사의 현재시제 직설법 동사(6) 알파(α)축약 동사 동사(7) 엡실론(ε) 축약동사 동사(8) 오미크론(ο) 축약동사 동사(9) 축약동사 변화의 요약 그리고 축약동사와 비축약동사 동사(10) μι동사의 현재시제(δείκνῡμι, μῑ́γνῡμι, ἀπόλλυμι) 동사(11) 미동사의 특징과.. 2020. 7.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