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2) μι동사의 직설법 어형변화 개요
☞ 이 글은 ① 초보 학습자들이 앞으로 공부할 내용을 미리 살펴보는 용도이기도 하고, ② 한편으로는 미동사의 전체적인 어형변화를 이 정도에서 대충 이해하고 나머지는 실제 문장에서 구체적으로 익혀도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예시동사의 기본형과 뜻>
δίδωμι, δώσω, ἔδωκα, δέδοκα, δέδομαι, ἐδόθην, 주다
τίθημι, θήσω, ἔθηκα, τέθεικα, τέθειμαι, ἔτέθην, 놓다
ἵστημι, στήσω, ἔστησα & ἔστην, ἕστηκα, ἕσταμαι, ἐστάθην, 세우다(타동사), 서다(자동사)
ἵημι, ἥσω, ἧκα, εἷκα, εἷμαι, εἵθην, 던지다, 보내다
1) 현재시제
(1) 능동 μι동사 현재시제
* 동사의 구조 : δίδωμι ← δί(이오타 두음중복) + δω(어근) + μι(어미)
* ἵστημι와 ῑ̔́ημι는 σίστημι와 σῑ́ημι에서 σ가 생략되고 그 보상으로 기식음(rough breathing)이 추가된 것이다.
* 미동사는 현재시제와 미완료시제에서 이오타 두음중복(iota reduplication)을 사용한다.
* 능동 단수변화에는 장모음 어근 δω, θη, στη, ἡ 등을 사용하고, 능동 복수와 쌍수 변화를 포함하여 중수변화 분사 부정사 변화 등은 모두 단모음 어근 δο, θε, στα, ἑ 등을 사용한다.
* 오동사에 비해 원래의 어미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 미동사는 현재형에서 두음중복(두음+ι)을 사용한다. 반면 ω동사는 현재시제에서는 일반적으로 두음중복을 사용하지 않으며(예외, γίγνομαι 등 일부동사), 완료형에서 두음중복(두음+ε)을 사용한다.
* 복수 3인칭 어미 -ᾱσι(1차어미)와 -σαν(2차어미)은 연결모음 ο, ε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 복수 3인칭 능동어미는 ᾱσι는 ντι → νσι → ᾱσι 순서로 변하였다. ω동사의 ουσι (λύοντι → λύονσι → λύουσι)보다 더 고어적인 형태이다.
* 1차시제(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의 쌍수어미는 서로 같다(τον, τον).
* 연결모음은 테마어간모음(theme vowel, thematic vowel, 어간형성모음) 또는 어간모음이라고도 한다.
(2) 중수 μι동사 현재시제
* 동사의 구조 : δί(이오타 두음중복) + δο(어근) + μαι(어미)
* 중수변화는 단수 복수 모두 단모음 어근(δο, θε, στα, ἑ)을 사용한다. 원래 어근은 단모음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어는 단수 변화에서 장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 중수동태는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으며, 인칭어미를 원형 그대로 사용한다.
* 미동사에서는 어근의 모음과 어미 사이에서 σ는 생략되지 않는다.
* 중동태의 쌍수어미는 τον, τον(1차어미) 대신 σθον, σθην(2차어미)을 사용한다.
2) 미완료시제
(1) 능동 미완료시제
* 동사의 구조 : ἐ(접두모음) + δί(두음중복) + δου(어근) + ν(어미)
* 단수 변화에서 장모음 어근에 약간의 변화가 있다. δου(<δω), θει(<θη), ἑι(<ἡ)
* 복수 쌍수에서는 모두 단모음 어근(δο, θε, στα, ἑ)을 사용한다.
* 단수 1인칭어미 ν(-ν, -ς, ─)는 무정시제나 완료시제에서는 생략된다.
* 오동사의 엡실론 두음중복(두음+ε)은 완료를 의미한다.
☞ λέλυκα(완료), ἐλελύκη(과거완료), τεθνήξω(사망할 상태일 것이다, 미래완료)
* 미완료 능동 3인칭 복수 어미는 -σαν이다. 복수 3인칭 어미 -ᾱσι와 -σαν은 연결모음(ο, ε)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오동사는 완료 능동(-ᾱσι)과 과거완료 능동(-σαν)에서 사용하고, 미동사는 현재 능동(-ᾱσι), 미완료 능동(-σαν), 무정(-σαν), 완료(-ᾱσι), 과거완료(-σαν) 등에서 사용한다.
(2) 중수 미완료시제
* 중수 변화는 모두 단모음 어근(δο, θε, στα, ἑ)을 사용한다.
* 중수동태는 어미의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 연결모음은 사용하지 않는다.
3) 미래시제
(1) 능동 미래
* μι동사는 무연결모음동사(athematic verb)로 분류하지만, 미래시제는 오동사와 어형변화처럼 연결모음을 사용한다.
* 미동사와 오동사는 현재, 미완료, 무정시제에서 어형변화가 서로 다르다.
(2) 중동 미래
* δώσῃ(= δώσει) ← δώσεαι ← δώ + σ + ε + σαι
☞ 모음사이 σ 탈락 후 εαι가 ῃ로 축약됨.
* 단수 2인칭을 제외하면 원형 그대로의 어미가 사용되고 있다.
(3) 수동 미래
* 미래 수동태는 1차 중동어미를 사용한다. 참고로 무정 수동태는 2차 능동어미를 사용한다.
* ἵστημι의 미래시제는 중동태와 수동태의 어형이 서로 같다. 일부 동사는 미래시제 중동태를 수동태로 사용한다.
4) 무정시제
(1) 능동
<참고> ἵστημι의 제2무정시제(자동사)
능동 : ἔστην, ἔστης, ἔστη, ἔστημεν, ἔστητε, ἔστησαν, ἔσταν, ἔστητον, ἐστήτην
중동 : ἐστάμην, ἔστω, ἔστατο, ἐστάμεθα, ἔστασθε, ἔσταντο, ἔστασθον, ἐστάσθην
* 일부 동사는 단수에서 시제접사 σα 대신 κα를 사용하고, 복수에서는 시제접사 κα를 생략한다(카파무정시제).
* 3인칭 단수에서 시제모음 α가 ε로 바뀌었다.
* 3인칭 복수에서 ν 대신 σαν을 사용한다.
* ἵστημι의 무정시제는 단수 복수 모두 장모음 어근 στη를 사용하고 있다.
* 무정 능동 단수어미는 ─, ς, ─ 형태이고, 무정 수동은 ν, ς, ─ 형태이다.
<참고> 무정시제와 그리스어 시제
(2) 중동
* 현재 중수동태(δίδοσαι, τίθεσαι, ἵστασαι, ῑ̔́εσαι)와 달리 무정 중동태 단수 2인칭(ἔδου, ἔθου, ἐστήσω)에서는 σ 생략 후 모음축약이 일어난다.
☞ ἔδου ← ἔδοο ← ἔδοσο ← ἔ+δο+σο(어미) : 모음사이 σ 생략 후 οο가 ου로 모음축약
☞ ἔθου ← ἔθεο ← ἔθεσο ← ἔ+ἔθε+σο(어미) : εο가 ου로 모음축약
☞ ἐστήσω ← ἐστήσαο ← ἐστήσασο ← ἔ+στή+σα+σο : αο가 ω로 축약
(3) 수동
* 무정 수동태는 2차 능동어미를 사용한다. 참고로 미래 수동태는 1차 중동어미를 사용한다.
* 3인칭 복수에서 ν 대신 σαν이 쓰였다. 무정시제 수동에서도 3인칭 복수 어미는 σαν이 쓰인다. 무정 복수 3인칭은 모두 σαν으로 끝난다.
* 무정 능동 단수어미는 ─, ς, ─ 형태이고, 무정 수동은 ν, ς, ─ 형태이다.
5) 완료시제
(1) 능동
* 동사의 구조 : δε(두음중복) + δώ(어근) + κα(시제접사) + μεν(어미)
* 오동사와 미동사의 변화가 서로 같다. 두 경우 모두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 완료시제 능동 단수는 2차능동어미와 닮았다(=같다).
* 완료시제는 단수 복수에서 어근모음에 장단의 차이가 없다. δω, θη, στα, ἑ 등.
* 완료 능동은 장모음 어근, 완료 중수는 단모음 어근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 복수 3인칭 어미는 ντι → νσι → ᾱσι 순서로 변하였다. ω동사 현재시제의 λύοντι → λύονσι → λύουσι보다 더 고어적인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어미 ν는 생략되거나 α로 변하거나 그대로 유지된다.
(2) 중수
* 모든 어미가 원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 θει(<θε)를 제외하면 모두 단모음 어근 δο, στα, ἑ 등을 사용하고 있다.
6) 과거완료시제
(1) 과거완료 능동태
* 동사의 구조 : ἐ(접두모음) + δε(두음중복) + δώ(어근) + κε(시제접사) + μεν(어미)
* 오동사 미동사 모두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으며 변화형이 서로 같다.
* 과거완료 능동 단수 어형변화에서는, κε가 κη나 κει로 변한다. 그리스어는 단수변화에서 어간 끝 모음이 장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 과거완료 단수 어미는 4가지 형태가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① κη, κης, κη
② κεα, κεας, κεε(ν)(헤로도토스)
③ κη, κης, κει(ν)
④ κει, κεις, κει(ν)(후기 그리스어)
→ 단수 3인칭의 -κη형은 호머 그리스어의 ᾔδη(알고 있었다, 3인칭 단수, Il.1.70)에서 보인다.
→ 복수에서는 접사 κε에 복수 인칭어미 μεν, τε, σαν이 직접 연결된다.
(2) 과거완료 중수동태
* 동사의 구조 : ἐ(접두모음) + δε(두음중복) + δό(어근) + μεθα(어미)
* 과거완료는 오동사의 변화와 같다.
* 오동사 미동사 모두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7) 미래완료시제
미래완료는 일반적으로 우회활용(periphrastic conjugation)시제를 사용한다.
(1) 미래완료 능동태 동사구조
ⓐ 두음중복 + 어근 + κ(접사) + σ + ω
ⓑ 완료분사 능동 + ἔσομαι (ἐιμί의 미래)
(2) 미래완료 중수동태의 동사구조
ⓐ 두음중복 + 어근 + σ + ω
ⓑ 완료분사 중수 + ἔσομαι (ἐιμί의 미래)
* 미래완료 능동 ἑστήξω는 드물게 존재하는 용례이다.
ἑστήξω : (미래의 특정시점에) 나는 서 있는 상태일 것이다.
☞ ἑ(두음중복)+στή(어근)+κ(접사)+σ(접사) + ω(어미)
기본형 : ἵστημι, στήσω, ἔστησα & ἔστην, ἕστηκα, ἕσταμαι, ἐστάθην
* 우회어형(periphrastic form) : 문법 규칙에 따라 작성함.
미래완료 부정사
능동 : ἑστήξειν
중수 : ἑστήξεσθαι
미래완료 분사
능동 : ἑστήξων, ἑστήξουσα, ἑστῆξον
중수 : ἑστηξόμενος, ἑστηξομένη, ἑστηξόμενον
* 미래완료는 미래를 나타내므로 1차 시제 어미를 사용한다.
능동 : ω, ─, ς, ι, μεν, τε, νσι(ν), τον, τον
중동 : μαι, σαι, ται, μεθα, σθε, νται, σθον, σθον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 > 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4) 오동사 현재시제 중수동태 직설법 (0) | 2021.01.07 |
---|---|
동사(3) 오동사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 (0) | 2021.01.04 |
동사(1) 개요 -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0) | 2020.12.30 |
동사 변화의 5요소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0) | 2020.12.30 |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 고대 그리스어 동사 (0) | 2020.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