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1) ω동사의 직설법 어형변화 개요
☞ 앞으로 공부하게 될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를 전체적으로 조망해 본다. 어렵지 않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어린이들도 그리스어를 사용하였다.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는 이 글만 보고, 나머지는 구체적으로 문장을 읽으면서 하나씩 익혀도 된다.
1) 그리스어 동사의 인칭어미 정리
그리스어 동사의 시제는 모두 1차시제와 2차시제로 분류된다.
1차시제는 현재와 미래에 해당하는 시제이며, 2차시제는 과거의 일에 해당하는 시제이다.
1차시제 : 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
2차시제 : 미완료, 무정, 과거완료
그리스어 동사의 직설법 접속법 희구법의 모든 어형변화는 1차시제 능동과 중동어미 그리고 2차시제 능동과 중동어미 등 4가지 어미세트가 일관되게 적용된다.
즉 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 능동태는 모두 1차 능동어미를 공통으로 사용하며, 미완료, 무정, 과거완료 중수동태는 모두 2차어미 중동어미를 사용한다.
따라서 4가지 어미세트를 알아두면 매우 편리하다.
◈ 동사의 인칭어미 요약
* 단수 1인칭 ω(←ο+μι) : μι가 생략되고 연결모음 ο가 ω로 장음화
* 복수 3인칭 어미 -ᾱσι(1차어미)와 -σαν(2차어미)은 연결모음(ο, ε)과 함께 사용하지 않음.
부정사 어미
능동 : -εν (-εναι), -ναι
중동 : -σθαι
분사형태소 (분사어간을 형성한다)
능동 : -ντ-, (완료) -οτ- 와 -οσ-
중동 : -μεν-
참고 : 그리스어 분사의 기본적인 어형변화
참고한 자료 : A Grammar of Attic and Ionic Greek - Frank Babbitt (Havard, 1902) 섹션 167
2) 현재와 미완료시제의 어형변화
예시동사 : λῡ́ω 풀다
기본형 : λῡ́ω, λῡ́σω, ἔλῡσα, λέλυκα, λέλυμαι, ἐλύθην
(1) 현재와 미완료의 능동과 중수동 (직설법)
* 오동사는 연결모음과 어미가 결합한 형태를 ‘어미’로 기억하면 편리하다.
예 : ω, εις, ει, ομεν, ετε, ουσι
☞ λύουσι(ν)의 (ν)는 가변성 뉘라고 하는데, 발음의 편의를 위한 '조음소'이며 인칭어미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다.
* 동사의 구조 : λύ(어근) + ο(연결모음) + μεν(어미)
* 연결모음(connecting vowel)은 μ, ν 앞에서는 ο가 오고, 그 외에는 ε가 온다. 연결모음은 테마어간형성모음(thematic vowel)이라고도 하는데 어간에 속하지만, 편의적으로 '어미'로 분류하기도 한다.
☞ 연결모음에 해당하는 한국어 문법용어는 매개모음, 고름소리, 조음소, 연결모음, 조성모음, 조모음 등이다
* 현재 능동 단수는 약간의 변형을 거쳐 형성되었다. 어미 ω, ς, ι는 원래의 어미 μι, ς, σι가 변형된 결과이다.
* 단수 1인칭 ω ←ο+μι : μι가 생략되고 보상성 장음화로 연결모음 ο가 ω로 변했다.
* 단수 2인칭 εις ← ες ← ε+σι : σι에서 ι가 탈락하고, ε는 ει로 모음강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 단수 3인칭 λῡ́ει ← λῡ́ει ← λῡ́εσι : εσι가 ει가 된 것은 모음사이 σ가 생략된 것이다.
☞ 어미 σι에서 ι가 탈락되는 현상은 다음을 참조
원시 인도유럽어 동사의 어미와 그리스어 동사의 어미
원래의 어미 형태에 더 가까운 미동사의 어미가 μι, ς, σι임을 볼 때, 이 경우도 σι에서 ι가 탈락하고 ς가 남은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오동사 1인칭 어미 μι도 ι가 먼저 탈락하고 이어서 μ(→ ν)이 탈락하면서 연결모음 ο가 ω로 장음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어 동사에서 ν은 여전히 1인칭 단수 2차어미로 사용된다(예: ἔλυον). 참고로 라틴어에서도 1인칭 단수어미는 o와 m이다.
* 현재 복수 3인칭은 νσι에서 σ 앞의 ν가 생략되고 보상성 장음화로 ο가 ου로 변한 것이다.
☞ λύουσι(ν) ← λύονσι(ν) ← λύ+ο+ντι(ν)
* 중수동태 단수 2인칭은 모음사이 σ 생략과 모음축약의 결과이다.
☞ λύῃ ← λύεαι ← λύεσαι
☞ ἐλύου ← ἐλύεο ← ἐλύεσο
* 미완료 능동 3인칭 ἔλυε의 ε는 연결모음만 남은 것이다. 원래 어미는 τ이지만 τ는 단어 끝에 오지 못한다.(원시 인도유럽어의 2차 능동어미 : m, s, t)
* 쌍수어미에서 1차시제는 어미가 서로 같고, 2차시제어미는 3인칭이 장음화된다.
(2) 부정사와 분사
① 현재부정사
능동 : λῡ́ειν
중수 : λῡ́εσθαι
② 현재분사
능동 : λῡ́ων, λῡ́ουσα, λῦον
중수 : λῡόμενος, λῡομένη, λῡόμενον
* 미완료시제는 부정사와 분사가 없다.
2) 미래시제와 무정시제(아오리스트 시제)의 어형변화
(1) 미래 능동과 무정 중동(직설법)
* 동사의 구조
☞ 미래 : λῡ́(어근) + σ(미래시제접사) + ο(연결모음) + μεν(어미)
☞ 무정 : ἐ(시제접두모음) + λύ(어근) + σα(시제접사) + μεν(어미)
* 무정시제(아오리스트 시제)는 연결모음이 없다. 접사 σα의 시제모음 α가 연결모음 역할을 한다.
* 연결모음(ε/ο)은 μ, ν 앞에서는 ο가 오고, 그 외에는 ε가 온다.
* 2차 능동어미 ─, ς, ─ 는 ν, ς, ─에서 ν가 생략된 것이다. 원시 인도유럽어의 2차 능동어미는 m, s, t로 라틴어에는 남아있다. 미완료 3인칭 단수 연결어미가 o가 아닌 ε인 이유도 이 때문이다.
* 무정 능동 단수 3인칭 ἔλῡσε는 1인칭 ἔλῡσα와 구별하기 위한 변화로 보인다. 참고 : 유추에 의한 동화(assimilation)
(2) 미래 수동과 무정 수동
* 수동태 동사의 구조
☞ 미래 : λυ(어근) + θή(수동태접사) + σ(시제접사) + ο(연결모음) + μαι(어미)
☞ 무정 : ἐ(시제접두모음) + λύ(어근) + θη(수동태접사) + ν(어미)
* 미래 수동태와 무정 수동태는 수동태 접사 θη(θε)가 있다.
* 미래 수동태는 1차 중동어미를 사용하고 연결모음이 있고 시제접사 σ가 있다.
* 무정 수동태는 2차 능동어미를 사용하고 연결모음이 없고, 시제접두모음 ε(두음확장, augument)가 있다.
☞ 미래수동태는 접사 σ로 시제를 표현하고, 무정수동태는 접두모음 ε로 시제를 표현한다.
(3) 부정사와 분사
① 미래부정사
능동 : λῡ́σειν
중동 : λῡ́σεσθαι
수동 : λυθήσεσθαι
② 미래분사
능동 : λῡ́σων, λῡ́σουσα, λῦσον
중동 : λῡσόμενος, λῡσομένη, λῡσόμενον
수동 : λυθησόμενος, λυθησομένη, λυθησόμενον
* 미래시제는 접속법과 명령법은 없다.
③ 무정부정사
능동 : λῦσαι
중동 : λῡ́σασθαι
수동 : λυθῆναι
④ 무정분사
능동 : λῡ́σᾱς, λῡ́σᾱσα, λῦσαν
중동 : λῡσάμενος, λῡσαμένη, λῡσάμενον
수동 : λυθείς, λυθεῖσα, λυθέν
3) 완료시제와와 과거완료시제의 어형변화
그리스어 완료시제는 이미 발생한 일의 결과에 대한 현재의 상태를 말하는 시제이므로 1차시제로 분류한다. 그리스어의 단순과거는 무정시제가 담당한다. 단순과거와 완료의 의미를 다 가지고 있는 라틴어 완료시제와 다른 점이다.
(1) 완료와 과거완료의 능동과 수동변화(직설법)
* 동사의 구조 : 연결모음 ο, ε를 사용하지 않는다
☞ 완료 : λε(두음중복) + λυ(어근) + κα(시제접사) + μεν(어미)
☞ 과거완료 : ἐ(시제접두모음) + λε(두음중복) + λύ(어근) + κε(시제접사) + μεν(어미)
* 완료시제는 능동태 단수어미는 2차 시제어미를 닮았다(=같다).
* 오동사 미동사 모두 무정, 완료, 과거완료 시제에서 연결모음(ο/ε)을 사용하지 않는다.
* 완료와 과거완료 중수동태는 시제접사(κα, κε)를 사용하지 않는다.
* 무정시제접사 σα, 완료시제접사 κα, 그리고 과거완료시제접사 κε에서 α와 ε를 시제모음(tense vowel)이라고 한다. μ, ν이 이어져도 변하지 않는다.
* 과거완료 능동 단수 어형변화에서는, κε가 κη 또는 κει로 변하는 모음강약변화가 있다. 그리스어는 단수 변화에서 장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 과거완료 단수 어미는 4가지 형태가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① κη, κης, κη
② κεα, κεας, κεε(ν)(헤로도토스)
③ κη, κης, κει(ν)
④ κει, κεις, κει(ν)(후기 그리스어)
→ 단수 3인칭의 -κη형은 호머 그리스어의 ᾔδη(알고 있었다, 3인칭 단수, Il.1.70)에서 보인다.
→ 복수에서는 접사 κε에 복수 인칭어미 μεν, τε, σαν이 직접 연결된다.
* 완료 능동 복수 3인칭 λελύκᾱσι(ν) = λελύκά + ασι(어미 νσι가 변한 것)
☞ 복수 3인칭 어미는 ντι → νσι → ᾱσι 순서로 변하였다. 현재시제의 λύοντι → λύονσι → λύουσι보다 더 고어적인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어미 ν는 생략되거나 α로 변하거나 그대로 유지된다.
* 복수 3인칭 어미 -ᾱσι(1차어미)와 -σαν(2차어미)은 연결모음(ο, ε)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오동사는 완료 능동(-ᾱσι)과 과거완료 능동(-σαν)에서 사용하고, 미동사는 현재 능동(-ᾱσι), 미완료 능동(-σαν), 무정(-σαν), 완료(-ᾱσι), 과거완료(-σαν) 등의 능동태에서 사용한다.
* 그리스어 완료시제는 현재로 분류하고, 무정시제는 과거로 분류한다. 따라서 완료시제는 1차 어미를 사용하고, 무정시제는 2차 어미를 사용한다.
(2) 완료부정사와 완료분사
① 완료부정사
능동 : λελυκέναι
중수 : λελύσθαι
② 완료분사
능동 : λελυκώς, λελυκυῖα, λελυκός
중수 : λελυμένος, λελυμένη, λελυμένον
* 과거완료는 부정사와 분사가 없다.
4) 미래완료시제의 어형 변화
(1) 미래완료 능동과 중수동(직설법)
미래완료는 완료분사 + ἐιμί의 미래로 표현한다. 능동태는 극히 일부 동사만 고유어형이 알려져 있다. 중수동태는 접사와 어미로 된 고유어형(λελῡ́σομαι)과 우회어형이 모두 있다.
* 미래완료 = 완료분사 + ἐιμί의 미래(ἔσομαι, ἔσῃ [ἔσει], ἔσται[ἔσεται], ἐσόμεθα, ἔσεσθε, ἔσονται, ἔσεσθον, ἔσεσθον)
☞ 미래완료 능동 : λελυκώς, λελυκυῖα, λελυκός + ἔσομαι
☞ 미래완료 중수 : λελυμένος, λελυμένη, λελυμένον + ἔσομαι 또는 λελῡ́σομαι
* 미래완료는 ‘완료분사 + ἐιμί의 미래’로 표현하므로 분사의 성에 따라 남, 여, 중성형으로 표현한다. 아래 표에서 성별 시제를 모두 표시하였다.
① 미래완료 능동(우회표현)의 남성 여성 중성형
② 미래완료 중수(우회 표현)의 남성 여성 중성형
* 그리스어는 영어나 라틴어와는 달리 완료분사 능동태와 중수동태가 모두 존재한다.
③ 미래완료 능동태 고유어형의 예
매우 드믈게 고유어형의 용례가 존재한다.
(ἀπο)θνῄσκω : τεθνήξω (미래의 특정시점에) 나는 죽은 상태일 것이다.
ἵστημι : ἑστήξω (미래의 특정시점에) 나는 서 있는 상태일 것이다.
☞ θνῄσκω는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ἀποθνῄσκω 형태로 주로 쓰인다. 미래완료에서는 현재시제 접사 ισκ는 사용되지 않는다.
* ἀποθνῄσκω = ἀπο(~떨어져, 벗어나) +θνη(어근) + ισκ(현재접사) + ω(어미)
* τεθνήξω = τε(두음중복) + θνή(어근) + κ(완료접사) + σ(미래접사) + ω(어미)
☞ ἵστημι는 미래완료에서 현재시제 이오타 두음중복이 생략되고(ἵ) 완료형에서 사용되는 엡실론 두음중복(ἑ ← σε)이 온다. (ἵστημι에 관해서는 미동사 변화 참조)
* ἑστήξω = ἑ (< σε, 두음중복) + στη(어근) + κ(완료접사) + σ(미래접사) + ω(어미)
만일 이 규칙을 적용한다면, λῡ́ω의 미래완료 능동태는 λέλυξω가 된다.
* λέλυξω = λέ(두음중복) + λυ(어근) + κ(완료접사) + σ(미래접사) + ω(어미)
어형변화 : λελύξω, λελύξεις, λέλυξει, λελύξομεν, λελύξετε, λελύξουσι(ν)
(2) 미래완료 부정사와 분사
① 미래완료 부정사
ㅇ 미래완료부정사 능동 : ‘완료분사+ἔσεσθαι’형태이다.
λελυκώς ἔσεσθαι
λελυκυῖα ἔσεσθαι
λελυκός ἔσεσθαι
ㅇ 미래완료부정사 중수 : λελῡ́σεσθαι
② 미래완료 분사
ㅇ 미래완료 분사 능동
λελυκώς ἐσόμενος, λελυκυῖα ἐσομένη, λελυκός ἐσόμενον
ㅇ 미래완료 분사 중수형은 2가지가 있음
ⓐ λελυμένος ἐσόμενος, λελυμένη ἐσομένη, λελυμένον ἐσόμενον
ⓑ λελῡσόμενος, λελῡσομένη, λελῡσόμενον
☞εἰμί의 미래분사 ἐσόμενος, ἐσομένη, ἐσόμενον
☞ λῡ́ω의 완료분사
능동 : λελυκώς, λελυκυῖα, λελυκός
중수 : λελυμένος, λελυμένη, λελυμένον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 > 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3) 오동사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 (0) | 2021.01.04 |
---|---|
동사(2) 개요 - 미동사의 직설법 변화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0) | 2020.12.30 |
동사 변화의 5요소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0) | 2020.12.30 |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 고대 그리스어 동사 (0) | 2020.12.15 |
동사의 6가지 기본형(Principal parts)과 그 의미 _ 고대 헬라어 (그리스어) (0) | 2020.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