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문법 용어 설명

연결모음, 어간모음, 테마어간모음, 어간형성모음, 매개모음

by 소포로스 2024. 1. 12.

 

연결모음, 어간모음, 테마어간모음, 어간형성모음, 매개모음

 

1) 연결모음(connecting vowel)

 

연결모음, 어간모음, 테마어간모음, 어간형성모음, 매개모음, 테마어간형성모음

위 용어들은 모두 같은 내용에 대한 서로 다른 명칭이다.

연결모음(connecting vowel)은 흔히 테마어간모음(thematic vowel or theme vowel)이라고 하는데, 어근(root)과 어미(ending)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어간(stem)의 일부에 속하므로 어간모음 또는 어간형성모음이라고도 부르는 접사(suffix)의 일종이다. 

어간모음(stem vowel)이라는 용어는 영미인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듯하다. 테마어간(theme, 뒤에서 설명)은 항상 모음으로 끝나지만, 어간(stem)은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도 많으므로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연결모음에 해당하는 한국어 문법용어에는 매개모음, 고름소리, 조음소, 연결모음, 조성모음, 조모음 등등이 있다. 



2) 연결모음 어간과 무연결모음 어간


어근에 대한 기본적인 뜻을 알면 다른 용어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더 이상 분해하면 그 의미가 상실되는 낱말의 구성 성분의 최소단위를 ‘형태소(morpheme)’라고 한다. 형태소는 뜻을 전달하는 형태소와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소가 있는데, 어근은 뜻을 전달하는 형태소이다. 

어간은 활용되지 않는 부분을 말하며 연결모음 등의 접사도 어간에 속한다. 어미는 활용되는 부분을 말한다.

테마어간(theme)은 어근(root)에 연결모음이 추가되어 형성된 어간(stem)을 의미한다. 연결모음 어간(thematic stem)이라고도 한다. 

연결모음이 없는 어간을 무연결모음 어간(athematic stem)이라고 한다. 어근 그 자체로 된 어간을 어근어간(root-stem)이라고도 한다. 


3) 한국어와 비교


국어국문학자료사전의 매개모음(媒介母音)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매개모음은 두 형태소의 결합에서 생기는 자음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그 자음들 사이에 들어가는 모음을 말한다. 


① 먹니, 먹면, 먹, 잡니, 밝니 (매개모음 ‘으’)
② 보니, 보면, 본’ (매개모음 없음)

위 예시에서 ‘먹으니, 잡으니, 밝으니’ 등은 매개모음 ‘으’가 포함되어 있다. 반면 ‘보니, 보면, 본’ 등은 매개모음 없이 곧바로 어간과 어미가 연결되어 있다. 매개모음은 자음충돌을 피하기 위한 기능어이므로, 매개모음이 없이 어미 ‘·니, ·면 ·ㄴ’ 등의 연결만으로도 위 낱말들은 충분히 제 기능을 수행한다. 


 

목차 - 고대 그리스어 문법 용어 설명 카테고리

목차 - 고대 그리스어 문법 용어 설명 카테고리 1. 그리스어 문법의 3대 영역 - 어형론, 구문론, 운율론 2. 고전 그리스어 격변화의 종류와 의미 3. (준비중) 4. 곡용과 접용, 명사의 변화와 동사의

classicalgreek.tistory.com

 

라인강의 카이사르 다리Caesar's Rhine Bridge, by John Soane (1814)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