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약동사4

동사(9) 축약동사 요약, 그리고 축약동사와 비축약동사의 구별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요약, 그리고 축약동사와 비축약동사의 구별 1) 축약동사 현재시제 어형변화 요약 (1) 알파(α) 축약 (2) 엡실론(ε) 축약 (3) 오미크론(ο) 축약 2) 축약동사 어미 정리 - 현재시제 ☞ 아래에서 제시한 축약동사의 어미는 연결모음과 어미가 융합된 형태이다. (1) 현재시제 능동태 (2) 현재시제 중수동태 3) 축약 동사와 비축약 동사 (1) 비축약 동사 - ω동사 중 ι, υ어간 동사와 자음어간 동사, μι 동사 ⓐ ω동사 중 ι, υ어간 동사와 자음어간 동사는 축약되지 않는다. ⓑ μι 동사는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으며, 축약되지 않는다. χρίω : 기름을 바르다, 향수를 문지르다 기본형 : χρῑ́ω, χρῑ́σω, ἔχρῑσον, κέχρῑκα, κέχρῑμαι, ἐχ.. 2021. 6. 18.
동사(8) 오미크론(ο)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동사(8) 오미크론(ο)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1) 축약동사 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어미와 연결될 때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 각각 ⓐ 알파축약 동사, ⓑ 엡실론 축약동사, ⓒ 오미크론 축약동사라고 한다. 여기서는 오미크론 축약동사의 현재시제 어형변화를 살펴본다. 2) 오미크론(ο) 축약 (1) 오미크론(ο) 축약의 예 어간이 o로 끝나는 ω동사는 아래와 같이 축약이 일어난다. ο + ω = ω ο + ει = οι ο + ο = ου ο + ε = ου ο + ου = ου ο + αι = οι ο + η = ω ο + ῃ = οι ο + οι = οι (2) 능동태 변화 ① 예시동사 δηλόω : 밝히다, 분명하게 하다. 기본형 : δηλόω, δηλώ.. 2021. 6. 18.
동사(7) 엡실론(ε)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동사(7) 엡실론(ε)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1) 축약동사 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 각각 알파축약 동사, 엡실론 축약동사, 오미크론 축약동사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어간이 ε로 끝나는 엡실론 축약동사의 현재시제 어형변화를 살펴본다. 2) 엡실론(ε) 축약 동사 (1) 엡실론(ε) 축약의 예 어간이 ε로 끝나는 ω동사(ποιέ+ω)의 엡실론(ε) 축약 아래와 같다. ε + ω = ω ε + ει = ει ε + ο = ου ε + ε = ει ε + ου = ου ε + η = η ε + ῃ = ῃ ε + οι = οι (2) 능동태 변화 ① 예시동사 ποιέω : 만들다 기본형 : ποιέω ποιήσω ἐποίησα πεποίηκα .. 2021. 6. 16.
동사(6) 알파(α)축약 동사 - 직설법 현재시제 알파(α)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 직설법 현재시제 1) 축약동사에 대하여 (1) 축약동사 - 알파 축약, 엡실론 축약, 오미크론 축약 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어미와 연결될 때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 예를 들면, ⓐ τιμάω(명예롭게 하다)의 현재시제 1인칭 단수는 τιμῶ이고, ⓑ ποιέω(만들다)의 현재시제 1인칭 단수는 ποιῶ이며, ⓒ δηλόω(밝히다, 분명하게 하다)는 δηλῶ이다. 이와 같이 άω → ῶ, έω → ῶ, όω → ῶ 등으로 변하는 것을 축약이라 하고, 이런 동사들을 축약동사라고 한다. (2)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축약변화는 1번째 기본형의 어간을 사용하는 현재시제와 미완료시제에서만 나타난다. 나머지 시제에서는 다른 동사의 어.. 2021. 6.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