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명사

명사 2변화 (오미크론 변화) 상세 설명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by 소포로스 2021. 5. 13.
반응형

 

명사 2변화 (오미크론 변화) 상세 설명 

 

1) 오미크론 변화 명사(Omicron-Declension Nouns)


명사 2변화는 어간모음이 오미크론(ο)으로 끝나므로 오미크론 변화 명사라고도 한다. 


2) 명사 2변화 어미 정리

ㅇ 제시된 어미는 어간모음과 격어미가 융합된 것이다.
ㅇ 명사 2변화는 대부분 남성 명사와 중성 명사이다.

(1) 남성/여성 어미와 중성어미 

☞ 여러 격이 융합된 속격과 여격은 이형이 존재한다.
남성 단수 속격 : -ου, -οιο, οο
남성 복수 여격 : -οις, -οισι

오스, 우-, 오-이, 온, 에 ; 오이, 온-, 오이스, 우-스, 오이
온, 우-, 오-이, 온, 온 ; 아, 온-, 오이스, 아, 아 


시간 날 때마다가 아니라 눈에 띌 때마다 암송한다. 호격과 쌍수는 빼고 외운다.  


☞ 참고 : 이오타 하기(이오타 서브스크립트) ĀI ΗI ΩI(ᾱι, ηι, ωι)의 발음

 

2) 명사 2변화 설명

(1) 남성명사의 변화

θυμός,  θυμοῦ,  ὁ, 마음, 영혼, 느낌
스, 튀우, 호

ㅇ 말음절에 강세가 오면, 속격과 여격은 곡강세가 된다.
ㅇ 명사 2변화 단수에서는 주격과 호격은 형태가 서로 다르다.

ⓐ 단수
ㅇ 주격 : ὁ θῡμός ← θῡμό(어간) + ς(격어미) : 그 마음이
ㅇ 속격 : τοῦ θῡμοῦ, θῡμοῖο, θῡμόο : 그 마음의, ~부터
ㅇ 여격 : τῷ θῡμῷ : 그 마음에 대해, ~으로, ~에
ㅇ 대격 : τὸν θῡμόν : 그 마음을
ㅇ 호격 : θῡμέ : 마음아!
  
ⓑ 복수
ㅇ 주격 : οἱ θῡμοί : 그 마음들이. 
ㅇ 속격 : τῶν θῡμῶν : 그 마음들의, ~중에, ~로부터
ㅇ 여격 : τοῖς θῡμοῖς, θῡμοῖσι(ν) : 그 마음들에게, ~들로, ~들에
ㅇ 대격 : τοὺς θῡμούς : 그 마음들을
ㅇ 호격 : θῡμοί : 마음들아!
  
ⓒ 쌍수
ㅇ 주격 : τὼ θῡμώ : 그 두개의 마음들이
ㅇ 속격 : τοῖν θῡμοῖν, θῡμοῖιν : 그 두 개의 마음들의, ~로부터
ㅇ 여격 : τοῖν θῡμοῖν, θῡμοῖιν : 그 두 개의 마음들에게, ~들로, ~들에
ㅇ 대격 : τὼ θῡμώ : 그  두 개의 마음들을
ㅇ 호격 : θῡμώ ; 두 개의 마음들아!

ㅇ 명사 1, 2변화는 마직막 음절에 강세가 오면, 속격과 여격은 곡강세가 된다.
☞ 참고 : 그리스어 액센트 정리

ㅇ 주격 복수 θῡμοί에서 οί는 액센트 규칙상 단음절이므로 곡강세가 오지 못한다.

ㅇ 명사 2변화 남/여 명사 단수에서는 주격과 호격은 형태가 서로 다르다. 호격은 ε로 끝난다.

ㅇ 쌍수 주 대 호격 θῡμώ는 낱말 끝 모음강화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 만약 고전시대와 같이 다른 모음과 축약된 결과라면 곡강세가 와야한다. θῡμό-(어간),  θῡμώ(쌍수의 주대호격)

☞ 고대 그리스어는 정관사를 잘 사용하지 않으며, 부정관사는 별도로 존재하지도 않는다. 정관사 ὁ, ἡ, τό 는 원래 지시형용사였으며, 지시대명사 또는 관계대명사로도 쓰인다. 부정관사가 필요하면 ‘어떤’의 의미를 가진 ‘τις’를 쓴다. 이 점에서는 영어보다는 한국어에 가깝다.

☞ 고대 헬라어 알파벳 θ의 발음에 대하여  



ἄνθρωπος, ἀνθρώπου, ὁ, 사람, 인간(2변화)

ㅁ ἄνθρωπος는 왜 오미크론 변화 명사일까? 
☞ 어간 끝이 ο로 끝나기 때문이다. ος를 어미로 분류한 것은 편의적인 것이다. 실제로는 어간끝모음+격어미이다.

☞ 2변화 남/녀 명사 격어미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호격 순) 
단수 : ς, ο [ιο]), ι, ν, ─
복수 : ι, ων, ις [(ι)σι], νς, ι  
쌍수 : ─, ιιν, ιιν, ─, ─

ⓐ 단수
주격 : ἄνθρωπος ← ἄνθρωπο + ς (어간 + 격어미)
속격 : ἀνθρώπου ← ἄνθρωπο + ο, ιο (축약 : ου ← οο)
여격 : ἀνθρώπῳ ← ἄνθρωπο + ι 
대격 : ἄνθρωπον ← ἄνθρωπο + ν
호격 : ἄνθρωπε ← ἄνθρωπο

☞ 단수 여격 : ῳ는 οι가 아니라 ωι이므로, ἀνθρώπῳ(← ἄνθρωπο + ι)는 축약규칙을 따르고 있지 않다. 단수 여격 변화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 복수
주격 : ἄνθρωποι ← ἄνθρωπο + ι
속격 : ἀνθρώπων ← ἄνθρωπο + ων
여격 : ἀνθρώποις ← ἄνθρωπο + (ι)σι, ις
대격 : νθρώπους ← ἄνθρωπο + νς(ν가 탈락하면서 ο가 ου로 길어짐)
호격 : ἄνθρωποι ← ἄνθρωπο + ι

ⓒ 쌍수
주격 : ἀνθρώπω ← ἀνθρώπο + 없음
속격 : ἀνθρώποιν ← ἀνθρώπο +  ιιν
여격 : ἀνθρώποιν ←  ἀνθρώπο +  ιιν
대격 : ἀνθρώπω ← ἀνθρώπο + 없음
호격 : ἀνθρώπω ← ἀνθρώπο + 없음

ㅇ ἀνθρώπων ← ἄνθρωπο + ων에서 보듯 2변화 복수 속격은 ᾱ́ + ων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며, 1변화와는 다르게 끝에 ῶν과 ων이 다 쓰인다. (* 1변화는 모두 ῶν을 사용함)

☞ 1변화와 2변화 복수 속격의 액센트 차이는 역사적 결과일 수 있다. 축약은 아티케 그리스어(고전 그리스어)의 특징이다. 그 이전 시대의 1변화 복수 속격은 -ᾱ́ων이나 άων형태로 쓰이고, 2변화 복수 속격은 -οων형태가 아니라 ο가 흡수된 -ων형태로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문헌 검증 필요함).


ㅇ 대격복수 ἀνθρώπους ← ἄνθρωπο + νς (ς 앞에서 ν가 탈락하고 그 보상으로 ο가 ου로 잘음화되었다.)  

ㅇ 쌍수 주 대 호격 θῡμώ는 낱말 끝 ώ의 액센트에 유의한다. 
 

σ와 생략('트러블 시그마') 

(1) 일반적으로  ν, μ, ρ, λ, ντ, νδ, νθ 등은 뒤에 σ가 이어지면 생략되며, ⓑ σ 는 뒤에 ν가 이어지면 생략된다. 자음이 생략되면 그 보상으로 앞에 오는 모음은 장음으로 변한다(Homeric Greek 613).    
(2) ⓐ 어휘 변화 중 -δς, -τς, -θς 등이 단어 끝에 오면 앞의 자음 δ, τ, θ 등이 생략되고, ⓑ -ρς, -νς 등은 ρ, ν나 ς가 생략된다. ⓒ ντς는 ντ나 τς가 생략된다. 그리스어에서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은 ν, ρ, ς (ξ, ψ) 뿐이다.  δαίμων← δαίμον+ς(신, 주격)
(3) σ  μ 앞에 오면, 앞의 모음이 장음화되면서 σ가 생략되거나, μ으로 바뀐다(HG 614).  
ἐιμί  σμί(~이다),  μμεναι ← ἐσμεναι(~인 것, 현재부정사) 

(4) σ가 두 모음 사이에 오면 일반적으로 생략된다(HG 618)


 

(2) 중성명사 변화 

ἔργον, ἔργου, το, 일, 행사 (2변화)

☞ 2변화 중성명사 격어미
단수 : ν, ο [ιο]), ι, ν, ν (추정 : ν, ο [ιο]), οι, ν, ν)
복수: α, ων, ις [(ι)σι], α, α
쌍수 : ─, ιιν , ιιν, ─, ─

단수속격 : ἔργου = ἔργοιο, ἐργοῖο, ἐργόο, ἔργοο
복수여격 : ἔργοις = ἔργοῖσι, ἔργοις 

ⓐ 단수
주격 : ἔργον ← ἔργο + ν(격어미)
속격 : ἔργου ← ἔργο + ο 
여격 : ἔργῳ ← ἔργο + ι 
대격 : ἔργον ← ἔργο + ν
호격 : ἔργον ← ἔργο + ν

* 단수 여격에서 ο + ι는 ῳ로 축약된다. 축약규칙상으로는 οι가 맞다(ῳ = ωι). 명사와 형용사의 단수 속격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 복수
주격 : ἔργα ← ἔργο + α
속격 : ἔργων ← ἔργο + ων : 2변화는 축약 이후에 액센트 결정
여격 : ἔργοις ← ἔργο + ις
대격 : ἔργα ← ἔργο + α
호격 : ἔργα ← ἔργο + α

☞ 일반적으로 명사와 형용사의 복수 주격은 축약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οα는 일반적으로 ω 또는 ᾱ로 축약된다. 

ⓒ 쌍수
주대호격 : ἔργω ← ἔργο + 없음
속여격 : ἔργοιν ← ἔργο + ιιν

ㅇ ἔργον은 ἔργο가 어간이고 ν가 어미이다.  
ㅇ 중성 복수 주격 대격 호격은 모두 α이다. 

 

(3) 여성명사 변화 


명사 2변화는 주로 남성과 중성 명사이다. 명사 1변화 남성명사가 드물듯이, 명사 2변화에는 여성 명사가  드물다.

νοῦσος, νοῦσου, ἡ : 질병, 전염병, 역병(서사  그리스어)
νόσος νόσου, ἡ : 질병, 전염병, 역병(고전 그리스어)

 

① 고전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

 

 

② 서사시 그리스어(호머 그리스어) 
* 서사시 그리스어(epic greek)는 호머의 서사시에 사용된 상고 이오니아를 말한다.

☞ 정관사와 형용사를 추가한 νοῦσος의 변화

ⓐ 단수
주격 : ἡ κακή νοῦσος 이 나쁜 역병이
속격 : τῆς κακῆς νοῦσου [οιο, οο]  이 나쁜 역병의, 그 나쁜 역병으로부터
여격 : τῇ κακῇ νοῦσῳ 이 나쁜 역병에게, ~으로, ~에
대격 : τὴν κακήν νοῦσον 이 나쁜 역병을
호격 :  κακή νοῦσε 나쁜 역병아!

ⓑ 복수  
주격 : αἱ κακαί νοῦσοι 이 나쁜 역병들이
속격 : τῶν κακῶν [έων, ῶν] νοῦσων 이 나쁜 역병들의, ~중에, ~으로부터
여격 : ταῖς κακαῖς [ῇσι] νοῦσοις [οισι, ῇς] 이 나쁜 역병들에게, ~들로, ~에
대격 : τᾱ̀ς κακᾱ́ς νοῦσους 이 나쁜 역병들을
호격 :  κακαί νοῦσοι 나쁜 역병들아!

ⓒ 쌍수   
주격 : τὼ κακᾱ́ νοῦσω 이 나쁜 역병 둘이
속격 : τοῖν κακαῖν νοῦσοιν  [νοῦσοιιν] 이 나쁜 역병 둘의, ~로부터
여격 : τοῖν κακαῖν νοῦσοιν  [νοῦσοιιν] 이 나쁜 역병 둘에게, ~둘로, ~둘에서
대격 : τὼ κακᾱ́ νοῦσω 이 나쁜 역병 둘을 
호격 :  κακᾱ́ νοῦσω 나쁜 역병들아!



<참고> 정관사 ὁ, ἡ, τό 변화표

 

관련글

명사 2변화 요약 정리

명사 2변화 (오미크론 변화) 상세 설명 

명사 2변화 ω어간 명사의 명사

명사 2변화 축약 (오미크론 축약) 상세 설명



 

명사 카테고리 글 목차

고대 그리스어 명사 어형변화 글 목차 1) 명사 1변화 명사 1변화(알파변화) 요약 정리 명사 1변화 (알파변화) 여성명사 상세 설명 명사 1변화 남성명사 상세 설명 명사 1변화 축약 (알파축약) 상세

classicalgreek.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