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 2변화 축약 (오미크론 축약) 상세 설명
1) 오미크론 축약 명사
명사 2변화는 어간모음이 오미크론으로 끝나는 명사이다. 2변화 축약명사는 νόος → νοῦς와 같이 어간이 -oo나 -eo로 끝나는 모음축약을 하는 명사이다.
☞ 참고 : 그리스어 모음 축약
2) 오미크론 축약 명사의 변화
(1) οῦς형 축약 - οο 축약 명사
νοῦς, νοῦ, ὁ, 마음, 정신, 영혼, 유서 (2변화)
cf. νόος, νόου, m. 마음, 정신, 영혼, 유서 (2변화)
어간 : νόο-
ㅇ 모음변화 명사(1. 2변화 명사)는 어간모음과 격어미가 융합된 형태를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격어미를 소개한다.
☞ 명사 2변화 남/여 격어미
단수 : ς, ο [ιο]), ι, ν, ─
복수 : ι, ων, (ι)σι [ις], νς, ι
쌍수 : ─, ιιν , ιιν, ─, ─
ㅇ 축약과정은 아래와 같다. 단수 복수 쌍수 모두에 어간 νόο-가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단수 (축약형 ← 비축약형)
주격 : νοῦς ← νόος← νόο-ς
속격 : νοῦ ← νόου ← νόο-ο
여격 : νῷ ← νόῳ ← νόο-ι
대격 : νοῦν ← νόον ← νόο-ν
호격 : νοῦ ← νόε ← νόο-
복수
주격 : νοῖ ← νόοι←νόο-ι(ο + οι = οι)
속격 : νῶν ← νόων
여격 : νοῖς ← νόοις
대격 : νοῦς ← νόους ← νόο-νς
호격 : νοῖ ← νόοι
쌍수
주격 : νώ ← νόω ← νόο-
속격 : νοῖν ← νόοιν ← νοό-ιιν
여격 : νοῖν ← νόοιν ← νοό-ιιν
대격 : νώ ← νόω ← νόο-
호격 : νώ ← νόω ← νόο-
(축약형과 비축약형 모두 쓰이며, 윅셔너리에서 확인하였다.)
ㅇ 복수 주격 호격은 νοῖ로 되어있다. 비축약형은 νόοι이다.
ㅇ 복수 주격과 호격의 축약과정 (νοῖ ← νόοι←νόο-ι)을 보면, 처음 출발은 단수 여격과 같은 형태(νόο-ι)이지만 축약과정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여격 : νῷ ← νόῳ ← νόο-ι). 기존의 다른 변화들과 유사해지려는 유추에 의한 동화 현상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어의 어형변화에서 비교적 빈번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ㅇ 쌍수 주대호격의 비축약형이 νόο라면 νώ는 액센트 규칙 예외이다. 축약하면 곡강세(νῶ)가 되어야 한다. 다른 쌍수의 주격이 주로 상강세로 끝나므로 이를 따라 변하게 된 유추에 의한 동화일 수 있다. 그리스어에서 규칙 예외 형성 중의 하나이다.
ㅇ 복수 대격 νοῦς ← νόους ← νόονς
(ς앞의 ν탈락 후 ου로 보상성 장음화, όου가 νοῦ로 축약)
<참고> νόος의 축약변화와 비축약변화의 비교
νόος, νόου, ὁ, 마음, 정신, 영혼, 유서 (2변화)
☞ 참고 : σ와 생략, '트러블 시그마'
(1) 일반적으로 ⓐ ν, μ, ρ, λ, ντ, νδ, νθ 등은 뒤에 σ가 이어지면 생략되며, ⓑ σ 는 뒤에 ν가 이어지면 생략된다. 자음이 생략되면 그 보상으로 앞에 오는 모음은 장음으로 변한다(Homeric Greek 613).
(2) ⓐ 어휘 변화 중 -δς, -τς, -θς 등이 단어 끝에 오면 앞의 자음 δ, τ, θ 등이 생략되고, ⓑ -ρς, -νς 등은 ρ, ν나 ς가 생략된다. ⓒ ντς는 ντ나 τς가 생략된다. 그리스어에서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은 ν, ρ, ς (ξ, ψ) 뿐이다. δαίμων← δαίμον+ς(신, 주격)
(3) σ가 μ 앞에 오면, 앞의 모음이 장음화되면서 σ가 생략되거나, μ으로 바뀐다(HG 614).
ἐιμί ← ἐσμί(~이다), ἔμμεναι ← ἐσμεναι(~인 것, 현재부정사)
(4) σ가 두 모음 사이에 오면 일반적으로 생략된다(HG 618)
② περίπλους, περίπλου, ὁ, 일주, 주항, 한바퀴 도는 항해 (2변화)
* περίπλοος → περίπλους
어간 : περίπλοο-
ㅇ 명사와 형용사의 액센트는 주격 단수에 있는 액센트 위치를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를 충실히 지키고 있다. 비축약 형태의 액센트 위치와는 다르다.
ㅇ 축약과정은 아래와 같다. 단수에서는 어간 περίπλοο-를 사용하고 있고, 복수와 쌍수에서는 περίπλο-를 사용하고 있다.
단수
주격 : περίπλους ← περίπλοος ← περίπλοο + ς
속격 : περίπλου ← περίπλοο + ο, ιο
여격 : περίπλῳ ← περίπλοο + ι
대격 : περίπλουν ← περίπλοον ← περίπλοο + ν
호격 : περίπλου ← περίπλοε ← περίπλοο (ε ← ο 모음 강약 변화)
복수
주격 : περίπλοι ← περίπλοι ← περίπλο + ι
속격 : περίπλων ← περιπλόων ← περίπλο + ων
여격 : περίπλοις ← περιπλόις ← περίπλο + ις [(ι)σι]
대격 : περίπλους ← περίπλους ← περίπλο + νς
호격 : περίπλοι ← περίπλοι ← περίπλο + ι
쌍수
주격 : περίπλω ← περίπλο (ω ← ο 모음강화)
속격 : περίπλοιν ← περίπλο + ιιν
여격 : περίπλοιν ← περίπλο + ιιν
대격 : περίπλω ← περίπλο
호격 : περίπλω ← περίπλο
(3) οῦν형(중성) - εο축약 명사
ὀστοῦν, ὀστοῦ, τὸ, 뼈(2변화, 축약)
ὀστέον, ὀστέου, τὸ, 뼈(2변화, 비축약)
* 두 가지 모두 고전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ㅇ 어간과 축약하기 전의 2변화 중성명사의 격어미는 다음과 같다
단수 : ν, ο [ιο]), ι, ν, ν
복수 : α, ων, ις [(ι)σι], α, α
쌍수 : ─, ιιν , ιιν, ─, ─
어간 : ὀστέο-
단수
주격 : ὀστοῦν ← ὀστέον ← ὀστέο-ν (축약 οῦ ← έο)
속격 : ὀστοῦ ← ὀστέου ← ὀστέο-ο,ιο
여격 : ὀστῷ ← ὀστέῳ ← ὀστέο-ι (ῳ ← οι)
대격 : ὀστοῦν ← ὀστέον ← ὀστέο-ν
호격 : ὀστοῦν ← ὀστέον ← ὀστέο-ν
* 여격의 원래 어미가 ι가 아니라 οι였을 수 있다. ὀστῷ ← ὀστέῳ ← ὀστέο-οι 등과 같이 설명이 되면, οι가 ῳ가 되는 모순을 해결할 수 있다. ῳ는 οι가 아니라 ωι이다.
복수
주격 : ὀστᾶ ← ὀστέα ← ὀστέ-α (έοα에서 ο탈락)
속격 : ὀστῶν ← ὀστέων ← ὀστέο-ων (έοω에서 ο탈락)
여격 : ὀστοῖς ← ὀστέοις ← ὀστέο-ις, (ι)σι (έοι에서 ο유지)
대격 : ὀστᾶ ← ὀστέα ← ὀστέ-α
호격 : ὀστᾶ ← ὀστέα ← ὀστέ-α
* 일반적으로 단수변화는 장음 어간을 사용하고, 복수와 쌍수 변화는 단음 어간을 사용한다. 복수 속격과 여격은 장음 어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 έοα와 같이 모음이 3개 이상 연속될 때 모음생략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έοι에서는 생략이 발생하지 않았다.(아래 비축약 ὀστέον 어형변화 참조)
쌍수
주격 : ὀστώ ← ὀστέω ← ὀστέο-(ώ ← έω ← έο 일반적이지 않음)
속격 : ὀστοῖν ← ὀστέοιν ← ὀστέο-ιιν
여격 : ὀστοῖν ← ὀστέοιν ← ὀστέο-ιιν
대격 : ὀστώ ← ὀστέω ← ὀστέο-
호격 : ὀστώ ← ὀστέω ← ὀστέο-
ㅇ 유추에 의한 동화현상 - 예외 형성의 한 가지 방식.
복수 주대호격 ὀστᾶ(← ὀστέᾱ ← ὀστέοα)에서 έοα가 ᾶ로 축약된 것은, 다른 중성 복수의 주대호격이 모두 α로 끝나는 현상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 : οα는 일반적으로 ω 또는 ᾱ로 축약되지만, 중성 복수 주대호격에서는 일반적으로 α로 축약된다)
* 중성 복수 격어미 : α, ων, ις, α, α
참고 : ὀστέον의 비축약 어형변화
ὀστέον, ὀστέου, τὸ, 뼈(2변화, 비축약)의 변화표
* 유추에 의한 동화 : 형용사 1-2변화 여성형(형용사 1변화) 복수 속격이 명사 1변화 말미의 ῶν을 따르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로 설명한다.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 > 명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 3변화 (자음변화) 요약 정리 _ 고대 그리스어, 희랍어, 헬라어 (0) | 2022.04.26 |
---|---|
명사 2변화 격어미 정리 (0) | 2022.03.04 |
명사 2변화 ω어간 명사의 변화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희랍어) (0) | 2021.06.12 |
명사 2변화 (오미크론 변화) 상세 설명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0) | 2021.05.13 |
명사 2변화 요약 정리 _ 고대 그리스어, 희랍어, 헬라어 (0) | 2021.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