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 3변화( 자음변화) 요약 정리
1) 자음변화 명사란
명사 1, 2변화는 어간이 알파(α)와 오미크론(ο) 등 모음으로 끝나므로 모음변화 명사라고 한다. 반면 명사 3변화는 어간이 자음이나 자음성 모음(ι, υ)으로 끝나므로 자음변화 명사라고 한다.
예를 들면, ἐλπίδος(희망의)는 어간이 ἐλπίδ-인데, 어간 끝의 δ는 자음이므로 자음변화 명사가 된다.
3변화 명사는 어간 끝 음에 따라 모두 6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3변화는 이런 약간 번잡한 절차를 거쳐야 나름대로 계통을 세워 정리할 수가 있다).
① 양순음과 구개음(β, π, φ γ, κ, χ) 어간
② 치경음(δ, τ, θ) 어간
③ 유비음(λ, ρ, μ, ν) 어간 - ρ, ν 어간, λ어간
④ σ 어간
⑤ ι, υ 어간
⑥ 불규칙 어간
* 참고1 : 그리스어 자음분류
* 참고2 : 명사 3변화의 분류
* 유비음은 λ, ρ, μ, ν 등이지만, μ어간 명사는 없고, λ, ν어간 명사는 거의 없다.
3변화는 1, 2변화 모두를 합친 것 만큼이나 그 변화가 다양하므로 새로운 품사를 공부하듯 새로 시작하는 마음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다. 명사 1, 2변화를 공부하고 나서, 이제 하나만 더 익히면 되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하면 중도에 그만 두고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다.
이 블로그에서는,
ⓐ 먼저 명사 3변화를 전체적으로 개괄한 후
ⓑ 개별적으로 나누어서 상세하게 설명하려고 한다.
규칙이 많으면 그 가치는 매우 떨어진다. 규칙이 너무 많으면 있으나마나 할 수도 있다. 그리스어는 규칙이 많다. 거기에 더하여 이유를 알기 힘든 예외도 많다. 따라서 문법을 통한 언어 학습은 매우 난감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게 흐르는 문법규칙을 이해하면 예외까지도 기억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리스어 학습에 여러가지로 도움이 된다. 물론 그리스어 공부는 문장 위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사 3변화 내용을 이곳에 모두 요약한 목적 |
ⓐ 자신이 공부하려는 내용이 무엇인지 알고 공부하는 것이 좋으며, ⓑ 한편으로는,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으면 모르는 내용이 나올 때 어디를 찾아봐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스어 입문자라면 명사 3변화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이 내용 전체를 한 번에 읽어보는 것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필자 역시 이 내용을 한번에 다 읽어보기까지는 긴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3변화의 공통 특징은 무엇인지 그리고 분류별로 어떻게 서로 다른지를 기억하는 것이 처음에는 어렵다. |
2) 3변화 명사의 격어미 정리
1변화와 2변화는 어간끝 모음과 격어미가 융합된 형태(예: -ος, -ου, -ῳ, -ον, -ε)로 기억하면 좋지만, 3변화 명사는 격어미를 별도로 기억하면 것이 좋다.
(1) 3변화 남성과 여성 명사 격어미
(2) 3변화 중성명사 격어미
ㅇ 남/여성 호격에서, ψ ξ 등으로 끝나는 단어나 ἅλς 등 일부 단어는 ς가 그대로 유지된다.
ㅇ 남/여성 3변화에서 어간이 -ν -ρ -σ로 끝나면 주격어미 ς가 생략된다.
ㅇ 복수 여격의 어미는 σι, σσι, εσι, εσσι 등 4가지가 있다.
ㅇ 쌍수 속여격 어미 οιιν은 나중에는 οιν으로 바뀐다.
◈ 명사 3변화의 요점
명사 3변화의 이 번잡스런 설명이 싫고 요점만 알고 싶다면, 아래 격어미를 먼저 기억해 두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모든 3변화에 적용된다. 예외가 있으니 유의한다.
① 남여성 변화
단수 : ς, ος, ι, α [ν], ─ (스, 오스, 이, 아, 무)
복수 : ες, ων, σι, ας [νς], ες (에스, 온-, 시, 아스, 에스)
쌍수 : ε, οιν, οιν, ε, ε (에, 오인, 오인, 에, 에)
② 중성변화
단수 : ─, ος, ι, ─, ─ (무, 오스, 이, 무, 무)
복수 : α, ων, σι, α, α (아, 온-, 시, 아, 아)
쌍수 : ε, οιν, οιν, ε, ε (에, 오인, 오인, 에, 에)
* 남여성 단수 주격의 어간 끝에 ν, ρ, ς(느르스)가 오면 ς가 생략된다.
* 남여성 대격은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면 α, ας가 오고, 모음으로 끝나면 ν, νς가 온다.
* 단수 속격이 -ος가 아니고 -ως나 -ους 등이면, 생략 축약 등 음운변화의 결과로 보고 이해한다.
* 호격은 원칙적으로 어간만을 사용한다. 다만, 분사의 호격 등은 주격을 사용한다.
* 남/여성 어미만 기억하면 중성형은 쉽게 기억할 수 있다.
* 쌍수는 잘 쓰이지 않으므로 나중에 익혀도 된다.
☞ 5음보 정형시처럼 리듬을 붙혀 암송하는 것이 기억에 도움이 된다. 전화번호가 3-4조 또는 4-4조로 되어 있는 것이 우연이 아니라고 한다.
참고3 : 시그마와 생략
3) 명사 3변화의 요약 정리
(1) 양순음과 구개음 어간 - β, π, φ, γ, κ, χ
(1-1) β, π, φ, γ, κ, χ(양순음과 구개음)
주격어미 ς가 결합하면 각각 ψ와 ξ가 된다.
β, π, φ + ς = ψ
γ, κ, χ+ ς = ξ
① 양순음 β, π, φ + ς = ψ
* 양순음 명사는 기본형이 모두 ψ로 끝난다.
κλώψ, κλωπός, ὁ, 도둑, 약탈자 (3변화, 단음절 어간)
어간 : κλωπ-
* 3변화 명사가 κλωπ-와 같이 단음절 어간일 때, 속격과 여격은 마지막 음절에 액센트가 온다.
명사의 액센트는 고정성이라는 점에서 볼 때, 속격과 여격의 액센트 규칙은 예외에 속한다. 속격과 여격은 여러 격이 통합된 격이라는 사실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κλώψ의 변화에서 ώ가 P(피널트, 뒤에서 2번째 음절)의 위치에서 액센트가 유지될 때 U(얼티마, 마지막 음절)가 단음절이면 κλῶπες와 같이 ώ는 ῶ(곡강세)로 바뀐다.
* 단수 호격 κλώψ : 기본형이 - ψ로 끝나므로 호격에서도 ς가 유지된다.
참고 : 그리스어 액센트 - 칸토네이션과 모라
Ⓩ 구개음 γ, κ, χ+ ς = ξ
* 구개음 명사는 기본형이 모두 ξ로 끝난다.
φύλαξ, φύλακος, ὁ, 수호자
어간 : φύλακ-
* 명사 3변화는 P에 액센트가 오면 일반적인 액센트 규칙을 따른다. 명사는 고정성 액센트이다.
* φυλάκων과 같이 U가 장음이면 P로 액센트 이동한다.
* 단수 호격 φύλαξ : 기본형이 - ξ로 끝나므로 호격에서도 ς가 유지된다.
(1-2) 불규칙 구개음 어간 변화
γυνή, γυναικός, ἡ, 여성, 여자, 아내 (3변화)
어간 : γυναικ-
* 단수 주격이 γυναῖξ가 아니므로 불규칙이다.
* 단수 주격 γυνή만 불규칙이고 나머지는 규칙변화를 한다.
☞ 단수주격 γυνή ← γυναῖκ + ς : κς 탈락 후 αι가 η로 바뀌었다. 다른 구개음 어간 명사와 달리 γυναῖξ가 아니므로 불규칙 변화이다.
* 단수 호격 γυναι : 단수 주격이 불규칙 변화를 하여 γυνή가 되었지만, 호격은 규칙을 따르고 있다. 어간 γυναικ에서 κ는 단어끝에 올 수 없으므로 탈락되었다.
참고 4: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 - ν, ρ, ς 와 ξ, ψ
(2) 치경음 어간 - δ, τ, θ
치경음 어간은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1) 남/여성 δ어간, τ어간, θ어간 명사
(2) ντ 어간 명사
(3) 중성 τ 어간 명사
(2-1) δ, τ, θ - 치경음(정지음) 남/여
δ, τ, θ + ς = ς (ς 앞의 치경음 생략. 치경음은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이다)
* 그리스어는 어미가 -δς, -τς, -θς로 끝나는 어휘는 없다. 따라서 ζ (=δς)로 끝나는 단어도 없다.
* 이 분류에 속하는 대부분의 3변화 치경음 명사는 어간이 ιδ, ιτ, ιθ로 끝나며(ἐλπίς, ἐλπίδος), 일부는 'α 또는 υ + 치경음'(φυγάς, φυγάδος)으로 끝난다.
* 단수 대격은 변형이 존재한다. 2음절어 중 첫번째 음절에 액센트가 오는 ι+치경음 어간 명사(χάρις, ὄρνις)는 치경음 생략 후 어미 ν를 추가한다(χάριν, ὄρνιν)
* α 또는 υ + 치경음 어간은 단수 호격이 주격과 같다(φυγάς)
* 복수 여격은 σ앞의 치경음이 생략된다.
☞ ἐλπίσι(ν) ← ἐλπίδσι(ν) ← ἐλπίδ + σι(ν) (시그마 앞의 δ 생략)
(2-2) ντ 어간
ντ 어간 명사는 단수 주격 -ντς(ντ + ς)형태에서는 τς가 탈락하거나 ντ가 탈락하고, ν 또는 ς가 남는다.
γέρων, γέροντος, ὁ, 노인, 늙은이(3변화)
γίγας, γίγαντος, ὁ, 거인, 기가스(3변화)
① τς가 탈락하고 ν로 끝나는 명사
γέρων, γέροντος, ὁ, 노인, 늙은이
어간 : γέροντ-
* οντ + ς → οντς → ων (τς 탈락 후 ο는 ω로 보상성 장음화)
☞ -ντς(ντ + ς)형태에서는 τς가 탈락하거나 ντ가 탈락한다.
* 단수 주격 γέρων ← γέροντ + ς (ς 앞의 τ 탈락 후 ν 뒤의 ς 탈락, 보상성 장음화)
* 단수 호격 γέρον : 어간 γέροντ에서 τ는 단어끝에 올 수 없으므로 탈락하였다.
* 복수 여격 γέρουσι(ν) ← γέροντ + σι(ν) (ς앞의 ντ 탈락, ου로 보상성 장음화)
* 명사 3변화는 P(뒤에서 2번째 음절)에 액센트가 오면 일반적인 액센트 규칙을 따른다.
② ντ가 탈락하고 ς로 끝나는 명사
γίγας, γίγαντος, ὁ, 거인, 기가스(3변화)
* 단수 주격 γίγᾱς ← γίγαντ + ς (ς앞의 ντ가 탈락, ᾱ 장음화)
* 단수 호격 γίγαν ← γίγαντ (낱말 끝에 τ가 오지 못함)
* 복수 여격 γίγᾱσι(ν) ← γίγαντ + σι(ν) (ς앞의 ντ가 탈락, ᾱ 장음화)
* 명사 3변화는 P에 액센트가 오면 일반적인 액센트 규칙을 따른다.
(2-3) 중성 τ 어간
① 중성 τ 어간 명사의 어형변화
πρᾶγμα, πράγματος, τό, 일, 행위, 행동, 사실
어간 : πράγματ-
* 3변화 명사 중 μα로 끝나는 명사는 모두 중성이다.
μα의 원래 형태는 ματ인데, τ는 단어 끝에서는 모두 생략된다.
πράγμασι(ν) ← πράγματ + σι(ν) : σ앞에서 τ 생략
* 명사 3변화는 P에 액센트가 오면 일반적인 액센트 규칙을 따른다.
② ρ로 끝나는 중성 τ어간 명사
* 중성 τ어간 명사 중 일부 단어는 주대호격이 -ρ나 -ς로 끝난다
* -ρ로 끝나는 단어는 소수이다. ρ어간 명사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ὕδωρ, ὕδατος, τό : 물(water)(dehydrated)
어간 : ὕδατ-
* 주대호격에는 끝에 ρ가 추가되며, 나머지는 일반 중성 τ어간 명사처럼 규칙변화를 한다.
* 비슷한 유형의 3변화 중성 명사
ἥπαρ, ἥπατος, τό : 간(liver), 간장
③ -ς로 끝나는 중성 τ어간 명사
* 아래 4개는 -ς로 끝난다. ς어간 명사와는 다르다.
πέρας, πέρατος, τό : 끝(end)
τέρας, τέρατος, τό : 조짐(sign), 징후, 징조, 전조(omen) (3변화)
κέρας, κέρατος, τό : 뿔
φῶς, φωτός, τό : 빛(어간 : φωτ-)
κέρας, κέρατος, τό : 뿔, 동물의 뿔, 특히 소뿔
어간 : κέρατ
* 주대호격은 서로 같다. 나머지는 중성 τ 어간 명사의 규칙을 따르고 있다.
(3) 유비음 어간 명사 - ρ, ν 어간
(3-1) ρ, ν(르느)어간 - 주격 단수에 ς가 없다.
* 어간이 ν, ρ, σ, ‑οντ‑로 끝나는 명사는 단수 주격 어미 ς가 생략되고 앞의 모음은 장음화된다.
☞ 학자에 따라 ρ, ν어간은 주격 어미가 없으며, 모음의 장음화를 모음강화로 설명하기도 한다.
* 그리스어에서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은 ν, ρ, ς (느르스)와 ξ, ψ뿐이다. ξ, ψ 등은 ς에 포함된다. 이들 자음역시 특정조건에서만 끝에 올 수 있다. 이들 ν, ρ, ς 와 ς 가 동시에 단어 끝에 오면 둘 중 하나는 생략된다.
참고 : 낱말 끝에 올 수 있는 자음
① ρ 어간
ῥήτωρ, ῥήτορος, ὁ, 연설가, 웅변가, 정치가, 변사, 변호사 (3변화)
어간 : ῥητορ-
* 단수 주격 ῥητορ + ς에서 ς가 생략되면서 ο가 ω로 장음화된 것이다.
* 명사 3변화는 P에 액센트가 오면 일반적인 액센트 규칙을 따른다.
* 단어 끝에 νς, -ρς 등이 오면 ς가 생략된다.
그리스어에서 -ρς, -μς, -σς로 끝나는 단어는 전혀 없고, -νς, -λς로 끝나는 단어는 거의 없다.
-νς와 -λς의 예외 |
-νς와 -λς로 끝나는 단어는 리델 스코트 그리스어 사전 등 대사전에서 검색하면 3개 정도가 예외적으로 나온다. ἕλμινς, ἕλμινθος, ἡ, 회충, 기생충. ἕλμινς = ἕλμις πείρινς, πείρινθος, ἡ, 띠바구니, 고리버들로 만든 바구니 Τί̂ρυνς, Τίρυνθος, ἡ, 티륀스(도시이름) 속격은 추정형. ἅλς, ἁλός [α], ὁ: 소금, 바다 (여격복수 : ἅλασιν) *빈용어 ἀναψηλάφησλς, εως, ἡ, 재검사, 재시도 ἀποβίωσλς, εως, ἡ, 삶의 중단, 죽음 |
② ν 어간
ἀγών, ἀγῶνος, ὁ, 모임, 회합 (3변화)
어간 : ἀγων-
* 어간 ν 앞의 모음이 장모음 ω이므로 어간에 변화가 없다.
* 명사 3변화는 P가 단음절이면서 U에 액센트가 오면, 액센트는 원래 음절을 유지한다.
* 단수는 주격과 호격을 제외하면 모두 장음절 피널트(P)에 곡강세가 온다.
* 복수는 속격을 제외하면 모두 장음절 피널트(P)에 곡강세가 온다.
* 참고 : 형용사에서 μέλᾱς(검은)와 τάλᾱς(비참한)는 남성 단수 주격이 -ανς에서 ς대신 ν가 탈락하고 α는 ᾱ로 장음화되어 -ᾱς가 된 경우이다.
μέλᾱς ← μέλανς ← μέλαν(어간) + ς(격어미)
τάλᾱς ← τάλανς ← μέλαν + ς
μέλᾱς, μέλαινα, μέλαν : 검은(형용사 1-3변화)
τάλᾱς, τάλαινα, τάλαν : 비참한(형용사 1-3변화)
남성형이 μέλᾱς로 변하면서 중성형 μέλαν과 구별이 쉽게 된다.
(3-2) λ어간
* -λς로 끝나는 명사는 거의 없으며, ἅλς는 예외적인 사례로 보인다.
ἅλς, ἁλός, ὁ(할스, 할로스), 소금 (3변화)
어간 : ἅλ-
* ἅλς에서 ς가 생략되지 않은 것은, 다른 유비음 어간 명사의 사례에 비추어볼 때 예외적인 사항으로 보인다.
* 액센트 규칙 : 3변화 명사는 단음절 어간에 액센트가 오면, 속격과 여격은 마지막 음절(U, 얼티마)에 강세가 온다. U가 단음절이면 상강세, 장음절이면 곡강세가 온다.
(3-3) ηρ형 명사(ρ, έρ어간)
πατήρ, πατρός 또는 πατέρος, ὁ, 아버지, 아빠
어간 : πατρ-, πατέρ-(어간 불규칙)
* -ηρ형 불규칙 어간을 가지고 있다 : πατέρ, πατρ
단수 속격과 여격 πατέρος와 πατέρι가 규칙변화형이지만,
후세에는 πατρός와 πατρί가 일반적으로 쓰인다.
* 단수 호격 πάτερ만 액센트의 고정성이 유지되지 않는 불규칙 변화를 보인다.
☞ 어간 πατέρ-에서 모음강약변화로 ε 모음이 소실되어 πατρ-가 된 것이다. πατήρ는 πατέρς에서 ς가 생략되면서 보상성 장음화로 έ가 ή로 바뀌었다. 이를 모음강화현상으로 보고 주격 단수(πατήρ)에서만 έ가 ή로 바뀌었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4) σ 어간명사(-ης, -ος, -ας, -ως형 명사)
명사 3변화 σ 어간 명사는 기본형이 -ης, -ος, -ας, -ως로 끝나는 명사이다. 어간을 기준으로 ⓐ εσ 어간 ⓑ ασ어간, 그리고 ⓒ ος 어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이를 명사의 실제 형태로 나누면 아래와 같다.
ⓐ ης와 ος형 명사(εσ 어간)
ⓑ ας형 명사(ασ어간)
ⓒ ως형 명사(ος 어간)
<참고> -ις, -υς로 끝나는 명사는 ι, υ어간 명사이다.
(4-1) ης, ος형(εσ 어간)
* -εσ 어간 명사 중 -ης로 끝나면 남성 명사이고, -ος로 끝나면 중성명사이다.
(εσ 어간 형용사에서는 -ης로 끝나면 남여성형이고, ες로 끝나면 중성형이다. 예 : ἀληθής, ἀληθές 진실한 )
☞ 기본형이 ος로 끝나는 명사가 2변화이면 남성 또는 여성 명사이고, 3변화이면 중성명사이다.
① ης형(εσ 어간) - 남성명사와 여성명사
Σωκράτης, Σωκράτους, ὁ, 소크라테스 (3변화, 액센트 불규칙)
어간 : Σωκρατεσ-
* 단수 주격 Σωκράτης는 어간 끝 ες의 모음 강화현상으로 볼 수도 있고, 격어미 ς가 생략되면서 앞의 모음이 장음화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 단수 주격 Σωκράτης는 어간 끝 ες의 모음 강화현상으로 볼 수도 있고, 격어미 ς가 생략되면서 앞의 모음이 장음화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 단수 속격 Σωκράτους ← Σωκράτεος ← Σωκράτεσος ← Σωκράτεσ + ος
☞ 모음 사이에 있는 σ가 탈락하고 모음축약이 일어나는 변화이다.
* 단수 여격 Σωκράτει ← Σωκράτεσι ← Σώκρατεσ + ι
* 단수 대격 Σωκράτη ← Σωκράτεα ← Σωκράτεσα ← Σωκράτεσ + α
☞ 단수 대격 Σωκράτην은 대격에 보통 -ν가 많이 쓰이므로 유추에 의한 동화 현상으로 보인다.
* 복수 주격 Σωκράτεις ← Σωκράτεες ← Σωκράτεσες ← Σωκράτεσ + ες
* 복수 속격 Σωκρατῶν ← Σωκρατέων ← Σωκρατέσων ← Σωκράτεσ + ων
* 복수 여격 Σωκράτεσι(ν) ← Σωκράτεσσι(ν) ← Σωκράτεσ + σι(ν)
* 복수 대격 Σωκράτεις ← Σωκράτης← Σωκράτεας ← Σωκράτεσ + ας [불규칙]
☞ 3변화 복수 대격 어미는 주대호격이 서로 같아지려는 유추에 의한 동화 현상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Mastronarde). 참고로, πόλις(도시), πῆχυς(아래팔) 등 대부분의 ι, υ 어간 명사는 복수 주대호격이 서로 같다(πόλεις, πήχεις)
② ος형(εσ 어간) - 중성명사
γένος, γένους, τό, 자손, 후손 (3변화, 액센트 불규칙)
어근 : γενεσ-
* 문맥상 ς로 끝나는 명사가 대격이면 3변화 중성 명사이다.
* 액센트 불규칙 : 속격 복수 쌍수에서 마지막 음절로 이동.
* 단수 주대호격 γένος와 γένες의 차이는 모음 변화로 인한 것이다.
* 단수 속격 γένους ← γένεος ← γένεσ + ος : 모음 사이 σ탈락 후 모음 축약
* 단수 여격 γένει ← γένεε ← γένεσ + ι : 모음 사이 σ탈락 후 모음 축약
* 복수 주대호격 γένη ← γένεα ← γένεσ + α : εα가 η로 축약됨
* 복수 속격 γενῶν ← γενέων ← γένεσ + ων : 어미와 결합하면서 액센트 위치 변경
* 복수 여격 γένεσι(ν) ← γένεσσι(ν) ← γένεσ + σι(ν)
☞ γένος는 원시 그리스어(Proto-Hellenic)에서 ‘게노스 génos’였으므로(윅셔너리), 모음 변화가 매우 이른 시기에 일어났거나 아니면 어간이 γένος에서 γένες로 바뀌었을 수도 있다.
(4-2) ας형 명사(ασ어간)
γέρας, γέρως, τό, 선물, 명예의 선물, 특권
어근 : γέρασ-
* 액센트 불규칙 : 속격 복수 쌍수에서 마지막 음절로 이동.
단수 주대호격 γέρας : 변화 없음
단수 속격 γέρως ← γέραος ← γέρασος ← γέρασ + ος
단수 여격 γέρᾳ ← γέραι ← γέρασ + ι
복수 주대호격 γέρᾱ ← γέραα ← γέρασ + α
복수 속격 γερῶν← γενέων ← γένεσ + ων : 어미와 결합하면서 액센트 위치 변경
(4-3) ως형(οσ 어간)
αἰδώς, αἰδοῦς, ἡ, 부끄러움, 수치, 경외감
어간 : αἰδόσ-
단수 주격 αἰδώς : ό가 ώ로 장음화. ς어간에 격어미 ς가 오지 못함
단수 속격 αἰδοῦς ← αἰδόος ← αἰδόσος ← αἰδόσ + ος : 축약
단수 여격 αἰδοῖ ← αἰδόσι ← αἰδόσ + ι : 모음 사이 σ탈락 후 이중모음화
단수 대격 αἰδῶ← αἰδόα ← αἰδόσ + α : 모음 사이 σ탈락 후 모음 축약
복수 격어미는 매우 규칙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5) ι, υ 어간 (-ις, -υς, -εύς, -αῦς, οῦς 형 명사)
ι, υ 어간 명사는 어간 끝이 닫힌모음(자음성 모음)이며, 기본형은 -ις, -υς, -εύς, -αῦς, οῦς 등으로 끝난다.
크게 ⓐ ι, υ 어간(ευ, αυ, ου 어간 제외)와 ⓑ ευ, αυ, ου 어간, ⓒ οι 어간 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5-1) ι, υ가 격에 따라 ε로 변하는 유형
* ι, υ어간은 단수 주대호격에서만 유지되며, 나머지 격에서는 어간이 ε로 바뀐다. 그러나 ἰχθύος(물고기의)와 μήνιος(분노의) 등 일부 명사는 모든 격에서 ι, υ어간이 유지된다.
πόλις, πόλεως, ἡ, 도시, 국가 (3변화)
어간 : πόλι- (πόλε-)
* 어간 πόλι-는 단수 주대호격에서 나타난다. 나머지 격에서는 어간이 ε로 바뀐다.
* 복수 주대호격은 서로 같다.
* 복수 주격 호격 : πόλεις ← πόλεες (축약)
* 복수 대격 : πόλεις ← πόλενς ← πόλε + νς
☞ 시그마 앞의 ν가 생략되면서 ε가 ει로 보상성 장음화된 것이다.
* 속격 πόλεως와 πόλεων는 액센트 규칙을 따르지 않고 있다.
(규칙 : 마지막 음절이 장음절이면 그 앞에 강세가 옴)
단수 : πόλις, πόλεως, πόλει, πόλιν, πόλι
복수 : πόλεις, πόλεων, πόλεσι(ν), πόλεις, πόλεις
쌍수 : πόλει, πολέοιν, πολέοιν, πόλει, πόλει
(5-2) ι, υ어간이 불변하는 유형
ἰχθῡ́ς(ἰχθῦς), ἰχθύος, ὁ, 물고기
어간 : ἰχθύ-
* 단수 주격의 액센트가 불안정하다. ἰχθύς, ἰχθῦς
* 어간모음 υ는 3음절어에서는 단모음이 되고, 2음절어에서는 장모음이 된다.
* 속격은 단수 복수 모두 액센트 규칙을 따르고 있다.
* 복수 대격은 ἰχθῦς(규칙변화)와 ἰχθύας가 다 가능하다.
☞ 복수 대격 ἰχθῦς는 ἰχθύνς(υ + νς 대격 격어미)에서 ν가 생략되면서 곡강세가 온 것이다.
* ἰχθύϊ에서 ι위에 분절음표가 있으므로 분리하여 발음한다. 이중모음 υι가 아니다.
(5-3) ευ, αυ, ου 어간
* ευ, αυ, ου 어간 + 모음이면 뒤의 υ는 탈락하거나 탈락 후 장음화가 일어난다.
① ευ 어간
ἱππεύς, ἱππέως, ὁ, 마부, 기수, 승마자
어간 : ἱππευ- (ἱππε-, ἱππη-)
ㅇ 어간 변화 : ευ → ε, η(<ευ)
어간변화는 ευ어간 뒤에 다시 모음이 이어지면, 단수 속격 ἱππέως의 변화 이전의 형태인 ἱππεύ+ος의 εύο와 같이 3개의 모음이 중첩이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생략과 축약 등 모음변화가 일어난다. ευ 어간 뒤에 자음이 이어지거나 어미가 없으면 어간은 그대로 유지된다.
<ευ, αυ, ου 어간 명사의 기본 특징>
ευ, αυ, ου 어간 명사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이어지면, 3개의 모음이 닫힌모음이 중간에 끼어있는 형태(예 εύο)로 중첩이 된다. 이런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중간의 닫힌 모음이 생략된다. υ(위)는 자음의 기능과 모음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ευ, αυ, ου 등의 이중모음에서는 '우'라는 모음 역할을 한다. 문법적 기능을 할 때는 자음으로 취급되므로 자음변화 명사로 분류한다.
ευ → ε, η
αυ → ᾱ, η, → ε
ου → ο
그리고 장단모음전이(Quantitative metathesis)가 일어난다
(ἱππέως, νεώς, ἱππέᾱ ← ἱππῆος, νηός, ἱππῆα)
② αυ 어간
γραῦς, γρᾱός, ἡ, 할머니 (3변화)
어간 : γραυ- (γρᾱ-)
* αυ, ου 어간은 단수 주대호격과 복수 여격 대격에서 원래의 어간형태를 유지한다.
* 나머지 격에서는 αυ는 ᾱ, η, ε 등으로 바뀐다.
ㅇ 어간 변화 : αυ → ᾱ, η, ε
어간변화는 αυ어간 뒤에 다시 모음이 이어지면, 단수 속격 γρᾱός의 변화 이전의 형태인 γραῦ+ος의 αύο(아우오)와 같이 3개의 모음이 중첩이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생략과 축약 등 모음변화가 일어나 ᾱό(아-오)가 되었다. αυ 어간 뒤에 자음이 이어지거나 어미가 없으면 어간은 그대로 유지된다.
③ ου 어간
βοῦς, βοός, ὁ, ἡ, 소, 황소, 소떼 (3변화)
어간 : βου- (βο-)
* ου 어간은 단수 주대호격과 복수 여격 대격에서 원래 어간이 유지된다.
* 나머지 격에서는 ου는 ο로 바뀐다.
ㅇ 어간 변화 : ου → ο
예) 단수 속격 βοός ← βοῦος ← βοῦ + ος
ου어간 뒤에 다시 모음이 이어지면, 단수 속격 βοός의 변화 이전의 형태인 βοῦος(← βοῦ + ος)의 οῦο(오우오)와 같이 3개의 모음이 중첩이 된다. (만약 οῦο의 발음이 ‘우~오’였다면 변화의 동기를 설명하기 어렵다)
고전시대 이전에 ου의 발음은 ‘오우’였던 것을 보인다. οῦο는 시작과 끝이 ‘오’발음이므로 ‘오오(οό)’로 축약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이와 같은 3개의 모음이 연속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모음변화 현상으로 보면 나머지 격의 형태도 이해가 가능하다.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격어미가 오면 υ는 생략되지 않는다.
참고 : ου의 발음에 대하여
(6) 어간 불규칙 명사
① σ어간 불규칙
불규칙이라고는 하지만 명사 3변화를 알면 그리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모든 언어에서 불규칙은 모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하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 하나만 예시한다.
υἱός, υἱέος, ὁ, 아들, 아이 (3변화, 불규칙)
ὑός, ὑέος, ὁ, 아들, 아이 (2변화 또는 3변화)
어간 : υἱέσ-, υἱόσ- ; ὑέσ-, ὑόσ-, υἷσ-
* υἱός는 2변화 규칙 변화형도 있다(υἱός, υἱοῦ, 등, ὑός, ὑοῦ 등).
* 어간이 불규칙이며, 단수 어미는 규칙적이지만, 복수 어미는 불규칙적이다.
☞ 참고 : ς, ος, ι, α, ─ ; ες, ων, σι, ας [νς], ες (3변화 남여성 격어미)
* 주격 단수와 쌍수 속격 여격에서 어간이 υἱε에서 υἱο-로 바뀌고 있다.
* υἱ- → ὑ- 형은 주격과 대격에서 어간이 ὑε- 대신 ὑο-와 υἷ-를 쓰고 있다.
ㅇ υἱός와 ὑός의 발음에 대하여
우리 말의 '휘'는 2가지 발음이 가능하다. 단모음 '휘'로 발음하는 것이 표준이지만 이중모음 '후이'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휘'를 발음하는 도중에 입모양이 변하면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고, 입모양이 변하지 않으면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리스어 ὑός(휘오스)에서 '휘'는 발음도중 입모양이 변하지 않는 단모음이다. 따라서 υἱός의 발음은 '휘이오스'이고 ὑός의 발음은 '휘오스'이다.
◈ 명사 3변화 관련 글
명사 3변화 (자음변화) 요약 정리
명사 3변화 (1) - 3변화 명사의 분류방법
명사 3변화 (2) - 양순음과 구개음 어간 변화
명사 3변화 (3) - 불규칙 양순음, 구개음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4) - 치경음 δ, τ, θ 어간 남/여
명사 3변화 (5) - 추가설명 치경음 δ, τ, θ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6) - 치경음 ντ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치경음 중성 τ 어간
명사 3변화 - 불규칙 중성 τ 어간
명사 3변화 - 유비음 ρ, ν 어간
명사 3변화 - 유비음 λ어간
명사 3변화 - 유비음 ηρ형 명사(ερ어간)
명사 3변화 - 불규칙 ρ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σ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불규칙 σ 어간 명사와 ως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ι, υ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ευ, αυ, ου 어간 명사
ναῦς (배, 선박, 3변화 αυ 어간)의 어형 변화
Ζεύς, Διός, ὁ 제우스 신. 명사 3변화 ευ 변형어간
명사 3변화 - 불규칙 ι, υ 어간 명사와 οι 어간 명사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 > 명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 3변화 - 양순음과 구개음 어간 변화 (0) | 2022.04.30 |
---|---|
명사 3변화 - 3변화 명사의 분류방법 (0) | 2022.04.26 |
명사 2변화 격어미 정리 (0) | 2022.03.04 |
명사 2변화 축약 (오미크론 축약) 상세 설명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희랍어) (0) | 2021.06.14 |
명사 2변화 ω어간 명사의 변화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희랍어) (0) | 2021.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