τίς, τί와 τις, τι - 의문사와 부정대명사 (비한정 대명사)
의문사 τίς, τί와 부정대명사 τις, τι 1) 기본형과 뜻 ⓐ τίς, τί : 누구, 무엇 (의문사) ⓑ τις, τι : 누군가, 어떤 것 (부정대명사, 비한정 대명사) * 부정대명사라는 용어보다는 ‘비한정 대명사’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다. 2) 어형변화 * 남/여성 단수 주격 τίς ← τίν(어간) + ς(주격어미) ☞ νς에서 ν가 생략되었다. (참고 : 시그마와 생략) * 중성 단수 주격 τί ← τίν(어간) ☞ 낱말 끝에 올 수 있는 자음은 ν, ρ, ς이므로 ν가 생략된 것은 이례적지만 대명사는 중성형의 낱말 끝에 ν를 쓰지 않는 특성이 있다. * 의문사 τίς는 3변화를 따른다. 3변화 어미를 알면 매우 쉽게 외울 수 있다. * 단수 속격 여격은 τοῦ, τῷ 등이 쓰이기도 한다..
2021. 9. 13.
호머 그리스어 ἐκεῖνος, ἐκείνη, ἐκεῖνο (저것, 그것, 저 사람)
ἐκεῖνος, ἐκείνη, ἐκεῖνο (저것, 그것, 저 사람) - 호머 그리스어 호머 그리스어에는 속격과 여격에 이형이 존재한다. 찬찬히 들여다 보면 명사변화에서 보았던 것과 유사하며 쉽게 알아볼 수 있다. * 청색이 표준형과 다른 형이다. 남성 변화형 비교 - 보기 편하게 했을 뿐이며, 속격 여격을 제외하면 서로 같다. 대명사 카테고리 글 목록 대명사 카테고리 글 목록 그리스어 정관사 호 헤 토 ὁ, ἡ, τό 호머 그리스어, 호 헤 또 ὁ, ἡ, τό 인칭대명사 ἐγώ와 σύ- 1인칭과 2인칭 ἑγώ, ἐγών 호머 그리스어 1인칭 대명사 호머 그리 classicalgreek.tistory.com
2021. 9. 6.
동사(12) 미동사의 특징과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미 - 고대 그리스어
μι동사의 특징과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미 * 동사의 시제를 어느 정도 익힌 다음 읽어도 됩니다. 1) μι동사의 특징(1) μι동사는 인칭어미가 μι로 끝나는 동사이다. δείκνῡμι(보여주다), μῑ́γνῡμι(섞다), δίδωμι(주다), τίθημι(놓다, 유발하다), ἵστημι(세우다, 서다), ἵημι(던지다) * μῑ́γνῡμι는 μίγνυμι라고도 쓴다. 이와같이 장음표시를 하지 않기도 하는 모음 α, ι, υ를 불안정 모음이라고 한다.(2) -μι 동사는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어간에 시제접사가 없이 바로 어미가 결합하는 무접사 μι동사 그룹과 현재와 미완료에서 접사 νυ가 있는 νῡμι 동사 그룹이 있다. ⓐ 무접사(suffixless) μι동사 : δίδω-μι(주다), τί..
2021. 6. 19.
정지음 자음의 발음 - 고전 그리스어
정지음 자음의 발음에 대하여 1) β(ㅂ), π(ㅃ), φ(ㅍ), δ(ㄷ), τ(ㄸ), θ(ㅌ), γ(ㄱ), κ(ㄲ), χ(ㅋ) 등의 구별 (1) 폐쇄음(정지음) 자음의 분류 β(ㅂ) π(ㅃ) φ(ㅍ) δ(ㄷ) τ(ㄸ) θ(ㅌ) γ(ㄱ) κ(ㄲ) χ(ㅋ) 파열음(Plosive)은 소리를 낼 때 공기가 멈췄다가 일시적으로 터져나오면서 내는 소리라서 멈춤을 강조할 때는 폐쇄음 또는 정지음(Stops 또는 Mutes)이라고도 한다. 이 중 기식음은 φ(ㅍ), θ(ㅌ), χ(ㅋ) 등이고, 무기식음은 β(ㅂ), π(ㅃ), δ(ㄷ), τ(ㄸ), γ(ㄱ), κ(ㄲ) 등이다. 위 자음들의 발음은 소리를 내는 위치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기도 한다.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양순음 ㅂㅃㅍ)와 잇몸과 혀끝 사이에서 나는 소..
2021. 6. 13.
동사(1) 개요 -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동사(1) ω동사의 직설법 어형변화 개요 ☞ 앞으로 공부하게 될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를 전체적으로 조망해 본다. 어렵지 않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어린이들도 그리스어를 사용하였다. 오동사의 직설법 변화는 이 글만 보고, 나머지는 구체적으로 문장을 읽으면서 하나씩 익혀도 된다.1) 그리스어 동사의 인칭어미 정리그리스어 동사의 시제는 모두 1차시제와 2차시제로 분류된다. 1차시제는 현재와 미래에 해당하는 시제이며, 2차시제는 과거의 일에 해당하는 시제이다. 1차시제 : 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 2차시제 : 미완료, 무정, 과거완료 그리스어 동사의 직설법 접속법 희구법의 모든 어형변화는 1차시제 능동과 중동어미 그리고 2차시제 능동과 중동어미 등 4가지 어미세트가 일관되게 적용된다. 즉 현재, 미래, 완료..
2020. 12. 30.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 고대 그리스어 동사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 고대 그리스어 동사 1)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법 사용빈도 측면에서 볼 때 그리스어 고대 문헌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동사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어떤 통계에 의하면, 현재시제는 48.4%이고, 무정시제는 28.5%이며, 미완료시제는 11.8%이다. 이 3가지를 모두 합하면 88.7%나 된다. 기타 완료시제가 5.9%, 미래시제가 4.4% 그리고 과거완료시제가 0.5% 등이다. 서법(Mood)별로 낸 사용빈도 통계를 보면, 직설법이 44.9%이고, 분사가 25.6%이며, 부정사가 17.9%이다. 이를 모두 더하면 88.5%이다. 기타 접속법은 4.3%, 희구법은 4.2%, 명령법은 2.7%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우리가 동사를 공부할 때 어느 부분을 먼저 익혀야 할지..
2020. 12. 15.
고대 그리스어 문법 용어 설명 카테고리 글 목록
고대 그리스어 문법 용어에 대한 설명 1. 그리스어 문법의 3대 영역 - 어형론, 구문론, 운율론2. 고전 그리스어 격변화의 종류와 의미3. 그리스어 명사의 성 - 문법적 성4. 곡용과 접용, 명사의 변화와 동사의 활용 - 문법용어5. 고대 그리스어 시제(Tense), 시간(Time)과 시상(Aspect)6. 고전 그리스어 법(mood, 서법, 敍法)의 종류7. 능동태, 중수동태, 중동태(중간태), 수동태, 그리고 탈형동사 (이태동사, 이상동사, 디포넌트동사)8. 고대 그리스어로 본 그리스어 문법 용어9. 주요 탈형동사 - 고대 그리스어10. 동사의 1차시제(primary tense)와 2차시제(secondary tense)11. 접속법(가정법)12. 아오리스트 시제, 무정 시제, 부정과거 시제, 단순..
2020.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