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2장 08절 - 17절 에덴동산에 살게하고 선악과에 대해 경고하다
<8절-14절 에덴동산에 살게하다>
(공동번역) 야훼 하느님께서는 동쪽에 있는 에덴이라는 곳에 동산을 마련하시고 당신께서 빚어 만드신 사람을 그리로 데려다가 살게 하셨다.
(어휘) Καὶ(그리고) ἐφύτευσεν(에퓌떼우센, 설치하였다, 무정 능동 3인칭 단수) κύριος(뀌리오스, 주인인, 남성 주격) ὁ θεὸς(신은) παράδεισον(빠라데이손, 정원 공원 낙원, 남성 대격 단수) ἐν Ἐδὲμ(에뎀, 에덴에, 여격) κατὰ(~에) ἀνατολὰς(아나똘라스, 동쪽, 여성 대격 복수) καὶ(그리고) ἔθετο(에테또, 두었다, 무정 중동 3인칭 단수) ἐκεῖ(에께이, 거기에) τὸν ἄνθρωπον(그 남자를), ὃν(혼, ~한, 관계대명사, 남성 대격 단수) ἔπλασεν(에쁠라센, 그가 빚었다).
ㅇ φυτεύω(퓌떼우오-) 심다, 설치하다
☞ 헬라어 ευ의 발음에 대하여
ㅇ παράδεισος, ου, ὁ 공원, 정원, 낙원, 파라다이스, 동산
ㅇ κατά ⓐ(+대격) ~아래로, ~를 따라, ~에, ~를 향하여, ~동안 ⓑ(+ 속격) ~ 대항하여, ~속으로
ㅇ ἀνατολή, ῆς, ἡ 동쪽, 솟는 곳. 돋음, 상승
☞ ἀνατέλλω 일어나다, 솟아오르다
→ ἀνά(위로) + τέλλω(나타나다, 떠오르다)
ㅇ τίθημι : 두다, 설치하다
(의견 및 추가설명)
ㅁ Ἐδὲμ : 에덴(격변화를 하지 않는 외래어 고유명사)
ⓐ 랄프스 본에는 숨표와 엑센트가 없이 Εδεμ으로 나온다. 브렌튼(Brenton, 1879) 본 등을 참고하여 숨표와 액센트를 표시하였다. 숨표와 액센트가 없는 다른 고유명사도 기호를 추가하였다.
ⓑ 히브리어 에덴(עֵ֖דֶן)은 그리스어로 ‘에뎀( Ἐδὲμ)’으로 표기한다. 라틴어로도 에뎀(Edem)이다.
ㅁ 에덴동산
그리스어와 라틴어로는 에덴 파라다이스 또는 에덴 정원이다.
파라다이스는 페르시아어에서 온 말인데, 귀족들이 소유한 정원을 의미하였다.
히브리어 ‘에덴’은 페르시아어 ‘헤덴(Heden)’이나 수메르어의 에디누(edinu: 평지, 황무지)에서 왔다고 한다.
에덴동산에서 '동산'은 우리말이다. 어원은 '東山'이다.
<참고>
어학적인 관심으로 풀이를 하였으며 분석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식 번역은 공동번역이나 다른 성경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텍스트는 랄프스(Rahlfs)의 Septuaginta(1935)판을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공동번역) 야훼 하느님께서는 보기 좋고 맛있는 열매를 맺는 온갖 나무를 그 땅에서 돋아나게 하셨다. 또 그 동산 한가운데는 생명나무와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돋아나게 하셨다.
(어휘) καὶ(그리고) ἐξανέτειλεν(엒사네떼일렌, 싹트게 하였다, 무정 3인칭 단수) ὁ θεὸς(신은) ἔτι(에띠, 더 나아가) ἐκ τῆς γῆς(땅에서) πᾶν(모든, 중성 대격 단수) ξύλον(끄쉴론, 나무를, 중성 대격 단수) ὡραῖον(호-라이온, 아름다운, 중성 대격 단수) εἰς ὅρασιν(호라신, 보기에, 명사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그리고) καλὸν(깔론, 좋은, 중성 대격 단수) εἰς βρῶσιν(브로~신, 먹기에,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그리고) τὸ ξύλον(나무를) τῆς ζωῆς(조-에~스, 생명의) ἐν μέσῳ(메소-이, 가운데, 형용사 남성 여격 단수) τῷ παραδείσῳ(빠라데이소-이, 동산, 파라다이스, 남성 여격 단수) καὶ(그리고) τὸ ξύλον(나무를) τοῦ(관사, 중성 속격 단수) εἰδέναι(에이데나이, 알게하는 것, 완료부정사 능동) γνωστὸν(그노-스똔, 응노-스똔, 지식을, 구별을, 명사, 남성 대격 단수) καλοῦ(선한, 남성 속격 단수) καὶ(과) πονηροῦ(뽀네-루~, 악한, 남성 속격).
ㅇ ἐξανατέλλω(돋아나게 하다) : ἐκ(~로부터) + ἀνατέλλω(일어나게 하다)
ㅇ ἔτι : 더욱이, 여전히, 거기에 더하여
ㅇ ὡραῖος, ὡραία, ὡραῖον : ⓐ 아름다운, ⓑ 제철의, 때에 맞는, 적절한
ㅇ ὅρασις, ὅρασεως, ἡ : 보는 것, 보는 행위, 겉모습
ㅇ βρῶσις, βρῶσεως, ἡ : 먹는 것, 먹는 행위, 음식
ㅇ γνωστός, γνωστού, ὁ : 지식
ㅇ γνωστός, γνωστή, γνωστόν (형) 명백한, 알려진, 아는
☞ τό γνωστόν ; common knowledge
ㅇ οἶδα : 알다.
☞ τοῦ εἰδέναι : 알게 하는(알게하는 것의) - 속격으로 앞의 명사 수식
ㅇ καλός, καλή, καλόν : 좋은 착한
ㅇ πονηρός, πονηρά, πονηρόν : 나쁜, 고생스러운
(의견 및 추가설명)
ㅁ εἰδέναι γνωστὸν καλοῦ καὶ πονηροῦ : ‘선한 앎’과 ‘악한 앎’을 알게하는 것
(공동번역) 에덴에서 강 하나가 흘러 나와 그 동산을 적신 다음 네 줄기로 갈라졌다.
(직역) 그리고 강이 에덴에서 나와 동산에 물을 댄다. 그곳으로부터 네 줄기로 갈라진다.
(어휘) ποταμὸς(뽀따모스, 강이, 남성 주격) δὲ(그리고) ἐκπορεύεται(엒뽀레우에따이, 나온다, 현재 중동 3인칭 단수) ἐξ(엒스, ~로부터) Ἐδὲμ(에뎀, 에덴) ποτίζειν(뽀띧세인, 물을 댄다, 현재부정사 능동) τὸν παράδεισον(빠라데이손, 그 동산, 남성 대격 단수)• ἐκεῖθεν(에께이텐, 그곳으로부터) ἀφορίζεται(아포릳세따이, 아포리-제따이, 갈라진다, 현재 중동 3인칭 단수) εἰς(~로) τέσσαρας(뗏사라스, 네개의, 여성 대격 복수) ἀρχάς(아르카스, 줄기, 근원, 여성 대격 복수).
ㅇ ἐκπορεύομαι(나오다) : ἐκ(~로부터) + πορεύομαι(가다)
ㅇ ποτίζω : 물을 대다
(공동번역) 첫째 강줄기의 이름은 비손이라 하는데, 은과 금이 나는 하윌라 땅을 돌아 흐르고 있었다.
(직역) 하나의 강 이름은 비손인데, 이것은 온 하월라 땅을 돌아 흐르는 강이다. 거기는 황금이 나는 곳이다.
(어휘) ὄνομα(이름은, 중성 주격) τῷ(그) ἑνὶ(하나에 대한, 형용사의 명사용법, 남성 여격 단수) Φισῶν(피손-)• οὗτος(이것은) ὁ(그것, 강) κυκλῶν(도는, 현재분사 능동 남성 주격 단수) πᾶσαν(모든, 여성 대격 단수) τὴν γῆν(땅) Εὑιλάτ(에우일라뜨의), ἐκεῖ(거기는) οὗ(~인 곳) ἐστιν(~있다) τὸ χρυσίον(황금, 중성 주격 단수)•
ㅇ ὁ κυκλῶν : 도는 것(도는 강)
κυκλόω : 돌다.
(공동번역) 그 땅은 좋은 금뿐 아니라 브돌라라는 향료와 홍옥수 같은 보석이 나는 곳이었다.
(어휘) τὸ(그) δὲ(그리고) χρυσίον(황금, 중성, 단수) τῆς γῆς(땅의) ἐκείνης(그곳의, 여성 속격 단수) καλόν(좋다, 중성)• καὶ(그리고) ἐκεῖ(거기는) ἐστιν(~있다) ὁ ἄνθραξ(홍옥, 남성 주격 단수) καὶ(과) ὁ λίθος(돌, 남성 주격 단수) ὁ πράσινος(부추색의).
ㅇπράσινος, πρασίνη, πράσινον 부추색의, 연초록의
(공동번역) 둘째 강줄기의 이름은 기혼이라 하는데, 구스 온 땅을 돌아 흐르고 있었다.
(어휘) καὶ(그리고) ὄνομα(오노마 ; 이름, 중성 주격 단수) τῷ ποταμῷ(강, 남성 여격 단수) τῷ δευτέρῳ(두번째, 형용사, 남성 여격 단수) Γηῶν(게온- ; 기혼)• οὗτος(이것은, 대명사, 남성 주격 단수) ὁ κυκλῶν(도는) πᾶσαν(모든, 여성 대격 단수) τὴν γῆν(땅) Αἰθιοπίας(아이티오삐아스, 구스의, 여성 속격 단수).
ㅇΑἰθιοπία, -ας, ἡ ; ⓐ 에티오피아(현재의 에티오피아와 다름) ⓑ 구스(메소포타미아의 어느 지역, 성경 지명)
☞ Αἰθίοψ, -οπος, ὁ 에티오피아사람
ㅁ Αἰθιοπία(구스)의 어원
아이티오피아는 ‘흑인’이나 ‘먼 곳에 사는 사람’ 등을 가리킨다. 성경에서 말하는 ‘구스 땅’은 현재의 에티오피아가 아니라 흑인이 살던 메소포타미아의 어느 지역으로 보인다.
☞ 어원 ① : αἴθω(불타다) + ὤψ(눈, 얼굴) : ‘이글거리는 눈’ 또는 ‘태워진 얼굴’. ‘검붉은(red-brown)’이라는 뜻의 형용사 파생어도 있다(Liddell and Scott)
☞ 어원 ② : 고대 이집트어 athtiu-abu(아트띠우아부, 마음을 훔치는 자, 'robbers of hearts) (Liddell and Scott)
☞ 어원 ③ : 아이티오페스 족 : 대지의 끝, 즉, 대지를 싸고 도는 오케아노스의 강 옆에 산다는 전설상의 부족. 강 너머는 저승이다(일리아스 천병희)
ㅇ 구스인이 흑인이라는 근거 (예레미야 13장 23절)
에티오피아 사람들이 제 피부색을 바꿀 수 있겠느냐? 표범이 제 가죽에 박힌 점을 없앨 수 있겠느냐? 그렇다면 악에 젖은 너희도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으리라(구스인이 그 피부를, 표범이 그 반점을 변할 수 있느뇨. 할 수 있을찐대 악에 익숙한 너희도 선을 행할 수 있으리라).
(공동번역) 셋째 강줄기의 이름은 티그리스라 하는데, 아시리아 동쪽으로 흐르고 있었고, 넷째 강줄기의 이름은 유프라테스라고 하였다.
(어휘) καὶ(그리고) ὁ ποταμὸς(강은, 남성 주격) ὁ τρίτος(세번째, 형용사 남성 주격 단수) Τίγρις(띠그리스 ; 티그리스, 힛데겔)• οὗτος(이 강은) ὁ(정관사) πορευόμενος(흐르는 것, 현재분사의 명사용법 중동, 남성 주격 단수) κατέναντι(앞을 따라서) Ἀσσυρίων(아시리아, 남성 속격). ὁ(그) δὲ(그리고) ποταμὸς(강은) ὁ τέταρτος(네번째), οὗτος(이것은) Εὐφράτης(에우프라떼-스 ; 유프라테스, 유브라데).
ㅇ ὁ πορευόμενος : 흐른 것(정관사 + 형용사)
ㅇ κατέναντι(마주보고, 대조하여) : κατά(~을 따라, ~아래로) + ἔναντι(~앞으로)
ㅇ Ἀσσυρία, Ἀσσυρίας, ἡ ; 앗시리아
(의견 및 추가설명)
Ἀσσυρίων 복수로 ?
<15-17절 선악과에 대해 경고하다>
(공동번역) 야훼 하느님께서 아담을 데려다가 에덴에 있는 이 동산을 돌보게 하시며
(어휘) Καὶ(그리고) ἔλαβεν(데려갔다, 무정 능동 3인칭) κύριος(주인인) ὁ θεὸς(신은) τὸν ἄνθρωπον(그 남자를), ὃν(~했던) ἔπλασεν(빚었다, 무정 능동 3인칭), καὶ(그리고) ἔθετο(놓았다, 무정 중동 3인칭) αὐτὸν(그를) ἐν τῷ παραδείσῳ(그 파라다이스에, 그 동산에) ἐργάζεσθαι(일하도록, 현재부정사[목적] 중동) αὐτὸν(그, 그것, 남/중 대격 단수) καὶ(그리고) φυλάσσειν(돌보도록, 지키도록, 현재부정사 능동).
ㅇ ἐργάζομαι : ~에서 일하다, 찾다, 조사하다
→ 영어로 work at, work 등의 뜻이 있다. work at으로 보면 뒤에 오는 αὐτὸν은 '에덴정원'이 된다.
ㅇ φυλάσσω : 지키다, 살피다, 돌보다
☞ φυλαξ 경비원, 수호자
ㅁ 부정사 용법
καὶ ἔθετο αὐτὸν ἐν τῷ παραδείσῳ ἐργάζεσθαι αὐτὸν καὶ φυλάσσειν.
여기에 쓰인 부정사는 결과용법은 아니다. 목적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목적용법으로 번역하면 ‘일하고 돌보게 하기 위하여 데려왔다’라는 뜻인데, 문맥상 ‘살게 하려고 데려왔는데, 그가 살면서 일하고 돌보도록 하였다’가 더 자연스럽다.
ㅁ ἐργάζομαι : 에덴 파라다이스에서도 일을 했을까?
☞ 히브리어 ‘아받(עָבַד)’도 일하다는 의미이다.
(공동번역) 이렇게 이르셨다. "이 동산에 있는 나무 열매는 무엇이든지 마음대로 따먹어라.
(직역) 그리고 주인이신 신은 아담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명하였다. “이 동산에 있는 모든 나무에서 나는 것을 음식으로 먹을 수 있다.”
(어휘) καὶ(그리고) ἐνετείλατο(명하였다, 무정 중동 3인칭 단수) κύριος(주인인, 남성) ὁ θεὸς(신은) τῷ Ἀδὰμ(아담에게) λέγων(말하면서, 현재분사 능동 남성) Ἀπὸ(~로부터) παντὸς(모든, 중성 속격 단수) ξύλου(나무, 중성 속격 단수) τοῦ ἐν τῷ παραδείσῳ(낙원에 있는) βρώσει(음식으로, 여성 여격 단수) φάγῃ(먹을 수 있다, 미래 중동 2인칭 단수),
ㅇ ἐντέλλομαι(부과하다, 명하다) : ἐν(~에게) + τέλλω(올리다, 오르다)
ㅇ Ἀδὰμ (Αδαμ) : 아담(원뜻 ‘사람’ ‘남자’), 격변화를 하지 않는 외래어 고유명사
Brenton(1879)판에서 숨표와 액센트를 따옴.
(의견 및 추가설명)
ㅁ Ἀπὸ παντὸς ξύλου τοῦ ἐν τῷ παραδείσῳ :
☞ 이 정원에 있는 모든 나무로부터 나는 것
ⓐ Ἀπὸ παντὸς ξύλου : 전치사 + 명사(속격) 형태의 형용사구가 명사용법으로 쓰임. '모든 나무로부터 나는 것'
ⓑ τοῦ ἐν τῷ παραδείσῳ : 정관사 + 형용사구(전치사 +정관사 + 명사) : 명사구가 속격 형태로 ξύλου(나무) 수식. 관사 τοῦ가 속격임을 통해 알 수 있다. cf. 영어의 명사구 the rich(정관사+형용사, 부자들)와 유사한 용법.
(공동번역) 그러나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 열매만은 따먹지 마라. 그것을 따먹는 날, 너는 반드시 죽는다."
(직역) “그런데 저 나무에서 나는 것은 선과 악을 알게하는 것이다. 그 나무로부터 나는 것을 너희들은 먹지 마라. 만약 저 나무로부터 난 것을 먹은 날에, 너희들은 죽게될 것이다.”
(어휘) ἀπὸ(~로부터) δὲ(그런데) τοῦ(저) ξύλου(나무, 중성 속격 단수) τοῦ(저 ~의, 중성 속격 단수) γινώσκειν(알게하는 것, 현재부정사 능동) καλὸν(선, 형용사의 명사용법, 중성 대격 단수) καὶ(과) πονηρόν(악을, 중성 대격 단수), οὐ(~하지 마라) φάγεσθε(먹어라, 명령법 무정 중동 2인칭 복수) ἀπ’ αὐτοῦ(그것으로부터 나온 것)• ᾗ( ~하는 그 ~, 관계형용사, 여성 여격 단수) δ’(그런데) ἂν(아마, 어쩌면) ἡμέρᾳ(날에, 여성 여격 단수) φάγητε(먹는다, 접속법 무정 능동 2인칭 복수) ἀπ’ αὐτοῦ(그것에서 나온 것을), θανάτῳ(죽음으로, 남성 여격 단수) ἀποθανεῖσθε(죽을 것이다. 미래 중동 직설 2인칭 복수).
ㅇ τοῦ γινώσκειν : 알게하는(알게 하는 것의).
ㅇ ἐσθίω : 먹다
기본형 ① : ἐσθίω, φάγομαι, ἔφαγον, -, -, -
기본형 ② : ἐσθίω, ἐδοῦμαι, ἠδεσάμην, ἐδήδοκα, ἐδήδεσμαι, ἠδέσθην
* 서로 다른 어근이 모여 있음.
명령법 무정 중동(2인칭, 3인칭 순)
단수 : φαγοῦ, φαγέσθω
복수 : φάγεσθε, φαγέσθων
쌍수 : φάγεσθον, φαγέσθων
접속법 무정 중동
단수 : φάγωμαι, φάγῃ, φάγηται
복수 : φαγώμεθα, φάγησθε, φάγωνται
쌍수 : ─, φάγησθον, φάγησθον
ㅇ ἀπ’ αὐτοῦ : 그것으로부터 나온 것(전치사+대명사 = 형용사구의 명사용법)
ㅇ ἂν = κέ, κέν : 아마, 어쩌면
(의견 및 추가설명)
ㅁ ἀπὸ δὲ τοῦ ξύλου τοῦ γινώσκειν καλὸν καὶ πονηρόν
(해석) 저 나무로부터 나온 것(ἀπὸ δὲ τοῦ ξύλου)은 선과 악을 알게하는 것(τοῦ γινώσκειν καλὸν καὶ πονηρόν)이다.
(의견) 주어는 전치사구(형용사구)의 명사용법으로 해석하고 술부 역시 속격 관사가 이끄는 부정사구로 해석해 보았다. 바로 이어지는 동사 φάγεσθε(먹을 것이다)의 목적어를 ἀπ’ αὐτοῦ로 보았기 때문이다.
ㅁ θανάτῳ ἀποθανεῖσθε : 문맥상 뜻은 ‘죽을 것이다’
☞ θνῄσκω(죽다)의 어원 중 ‘사라지다’라는 뜻이 있다(윅셔너리). 강조형으로 ἀποθνῄσκω(죽다)를 쓰는데, ἀπο는 ‘멀리 떨어져’라는 의미이다. 그러면 ‘죽음으로 없어질 것이다’가 된다.
창세기 셉투아긴타 헬라어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글 목차
창세기 셉투아긴타 헬라어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제1장창세기 1장 01-05절 1일째 하늘과 땅과 빛을 창조하다.창세기 1장 06-08절 2일째 물과 창공을 가르다창세기 1장 09-13절 3일째 물과 땅
classicalgreek.tistory.com
창세기 2장 8-17절 원문
[8] Καὶ ἐφύτευσεν κύριος ὁ θεὸς παράδεισον ἐν Εδεμ κατὰ ἀνατολὰς καὶ ἔθετο ἐκεῖ τὸν ἄνθρωπον, ὃν ἔπλασεν. [9] καὶ ἐξανέτειλεν ὁ θεὸς ἔτι ἐκ τῆς γῆς πᾶν ξύλον ὡραῖον εἰς ὅρασιν καὶ καλὸν εἰς βρῶσιν καὶ τὸ ξύλον τῆς ζωῆς ἐν μέσῳ τῷ παραδείσῳ καὶ τὸ ξύλον τοῦ εἰδέναι γνωστὸν καλοῦ καὶ πονηροῦ. [10] ποταμὸς δὲ ἐκπορεύεται ἐξ Εδεμ ποτίζειν τὸν παράδεισον• ἐκεῖθεν ἀφορίζεται εἰς τέσσαρας ἀρχάς. [11] ὄνομα τῷ ἑνὶ Φισων• οὗτος ὁ κυκλῶν πᾶσαν τὴν γῆν Ευιλατ, ἐκεῖ οὗ ἐστιν τὸ χρυσίον• [12] τὸ δὲ χρυσίον τῆς γῆς ἐκείνης καλόν• καὶ ἐκεῖ ἐστιν ὁ ἄνθραξ καὶ ὁ λίθος ὁ πράσινος. [13] καὶ ὄνομα τῷ ποταμῷ τῷ δευτέρῳ Γηων• οὗτος ὁ κυκλῶν πᾶσαν τὴν γῆν Αἰθιοπίας. [14] καὶ ὁ ποταμὸς ὁ τρίτος Τίγρις• οὗτος ὁ πορευόμενος κατέναντι Ἀσσυρίων. ὁ δὲ ποταμὸς ὁ τέταρτος, οὗτος Εὐφράτης. [15] Καὶ ἔλαβεν κύριος ὁ θεὸς τὸν ἄνθρωπον, ὃν ἔπλασεν, καὶ ἔθετο αὐτὸν ἐν τῷ παραδείσῳ ἐργάζεσθαι αὐτὸν καὶ φυλάσσειν. [16] καὶ ἐνετείλατο κύριος ὁ θεὸς τῷ Αδαμ λέγων Ἀπὸ παντὸς ξύλου τοῦ ἐν τῷ παραδείσῳ βρώσει φάγῃ, [17] ἀπὸ δὲ τοῦ ξύλου τοῦ γινώσκειν καλὸν καὶ πονηρόν, οὐ φάγεσθε ἀπ’ αὐτοῦ• ᾗ δ’ ἂν ἡμέρᾳ φάγητε ἀπ’ αὐτοῦ, θανάτῳ ἀποθανεῖσθε.
'헬라어 성경 > 셉투아긴타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2장 18 - 25절 셉투아진타 헬라어(그리스어) 성경 원문과 해석 (0) | 2021.08.31 |
---|---|
어휘와 어형 _ 창세기 2장 08-17절 (0) | 2021.08.31 |
창세기 2장 04절 - 07절 남자를 만들다 _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0) | 2021.08.23 |
어휘와 어형 _ 창세기 2장 01-07절 (0) | 2021.08.11 |
창세기 2장 01절 - 03절 - 셉투아진타 헬라어 성경 원문과 해석 (0) | 2021.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