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리스어 독해의 기초/그리스어 구문 연습

서법의 호응 (Sequence of Mood)

by 소포로스 2024. 3. 30.

 

서법의 호응 (Sequence of Moods) 

 

1) 서법의 호응이란


서법의 호응(Sequence of Mood)은 종속절을 포함하고 있는 복문에서, 주절의 시제나 법에 따라 종속절에 오는 동사의 서법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1차 호응(primary sequence)은 주절의 동사가 1차시제(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이거나 명령법, 접속법, 희구법 등이면, 종속절의 동사는 접속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차 호응(secondary sequence)은 주절의 동사가 2차시제(미완료, 무정, 과거완료)이면 종속절의 동사는 희구법(또는 접속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코이네 그리스어 등에서는 모두 접속법으로 통일되는 경향을 보였다. 

표현의 의도와 방식에 따라 주절과 종속절 모두에서 직설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표출처 :Ancient Greek for Everyone 48 단원

 

2) 서법의 호응 예문


(1) 간접의문문(Indirect Questions)

(예문1)
καὶ ἐγὼ μετεστράφην τε καὶ ἠρόμην ὅπου αὐτὸς εἴη. (2차 호응)
그래서 나는 몸을 돌려서 그가 어디에 있는지 물어보았다.(플라톤 국가 1.327b)

☞ 위 예문에서는 주절의 동사 ἠρόμην(물어보았다, 무정시제)가 2차시제이므로 종속절의 동사 εἴη는 희구법을 사용하였다.

(어휘) μετεστράφην(몸을 돌렸다, 무정 수동 1인칭 단수), ἠρόμην(물었다, 무정 중동 1인칭 단수), ὅπου(어디에?), εἴη(있다, 희구법 현재 능동 3인칭 단수) 
☞ 주절이 무정시제(ἠρόμην)이므로 종속절에 희구법 현재가 왔다.

☞ εἰμί 의 희구법 현재
단수 : εἴην, εἴης, εἴη
복수 : εἴημεν/εἶμεν, εἴητε/εἶτε, εἴησαν/εἶεν
쌍수 : ─, εἴητον/εἶτον, εἰήτην/εἴτην

(예문2)
οὐκ ᾔδησθα τίς (or ὅστις) σε ἀδικοίη (or ἀδικεῖ). (2차 서법의 호응)
누가 너에게 잘못을 하는지 너는 모르고 있었다.
You didn’t know who was wronging you.

(어휘) ᾔδησθα(알았다, οἶδα의 과거완료 능동 3인칭 단수), ἀδικοίη(잘못을 하다, 희구법 현재 3인칭 단수) 
☞ ἀδικέω의 현재 능동 3인칭 단수
ἀδικῇ 접속법, ἀδικεῖ 직설법 ἀδικοῖ [ἀδικοίη] 희구법


(예문3)
πότε ἔλθοι ὁ ἄγγελος ἠρώτησεν. (2차 서법의 호응)
그 전령이 언제 오는지 그가 물었다.
He asked when the messenger came.
(어휘) ἔλθοι(오다, 희구법 무정 3인칭 단수), ἠρώτησεν(물었다, 무정시제 3인칭 단수)

☞ ἔρχομαι(오다)의 무정시제 3인칭 단수
ἦλθε(ν)(직설법), ἔλθῃ(접속법), ἔλθοι(희구법)

(예문4)
ἠποροῦμεν πῶς φύγοιμεν. (2차 서법의 호응)
= ἠποροῦμεν πῶς φύγωμεν.
우리는 어떻게 도망가야할지 당황하고 있었다.
We were at a loss how we were to escape.

☞ ἠποροῦμεν : 당황하고 있었다(미완료 능동 1인칭 복수)
ἀπορέω, ἀπορήσω, ἠπόρησα, ἠπόρηκα, ἠπόρημαι, ἠπορήθην : 당황하다(be at a loss)

☞ φεύγω(도망가다)의 무정시제 1인칭 복수
ἐφύγομεν(직설법), φύγωμεν(접속법), φύγοιμεν(희구법)


◈ 아래 예문과 같이 주절도 종속절이 모두 직설법 동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οὐκ οἶδα τίς ἐστιν οὗτος.
이 사람이 누구인지 나는 모른다.

οὐκ οἶδα ὅ τι δεῖ αὐτὸν ὀμόσαι.
왜 그에게 맹세를 해야하는지 나는 모르겠다.
(어휘) ὀμόσαι(맹세하는 것, ὄμνυμι의 무정부정사 능동)

οὐκ οἶδα τί λέγεις.
나는 그대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 간접의문문의 서법의 호응

① 1차 호응 
주절에 1차시제(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가 오면, 종속절에는 ⓐ 직설법, ⓑ 직설법 과거 + ἄν, ⓒ 접속법, ⓓ 가능의 희구법 + ἄν(indicative, past indicative with ἄν, deliberative subjunctive, potential optative with ἄν) 등이 온다. 

② 2차 호응
주절에 2차시제(미완료, 무정, 과거완료)가 오면, 종속절에는 ⓐ 직접화법의 서법과 시제가 유지되거나 ⓑ 희구법이 사용된다. 희구법이 일반적이며, 직설법 과거 + ἄν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스미스 2677) 



(2) 간접화법(indirect discourse)


(예문1)
ὁ βασιλεὺς εἰς καιρὸν ἀφίξεται.(직접화법)
그 왕은 시간에 맞게 올 것이다.

εἶπον ὅτι ὁ βασιλεὺς εἰς καιρὸν ἀφίξεται (or ἀφίξοιτο).(간접화법)
그 왕은 시간에 맞게 올 것이라고 나는 말하였다.
I said that the king would arrive in time.

☞ ἀφικνέομαι(도착하다, 오다)의 미래 3인칭 단수
ἀφίξεται(직설법), ἀφίξοιτο(희구법)

(예문2) 
ἐστρατεύσαντο ἐπὶ τοὺς Ἀθηναίους.(직접화법)
그들은 아테네인들을 향하여 진군하였다.
They went on campaign against the Athenians.

ἠκούσατε ὡς ἐστρατεύσαντο (or στρατεύσαιντο) ἐπὶ τοὺς Ἀθηναίους.(간접화법)
당신들은 그들이 아테네인들을 향하여 진군하였다고 들었다.
You heard that they went (or had gone) on campaign against
the Athenians. 

ㅇ στρατεύω(진군하다, 전쟁을 벌이다)의 무정중동 3인칭 복수
어원 : στρατός (군대) +‎ -εύω (동사 접미사)

☞ ἐστρατεύσαντο(직설법), στρατεύσωνται(접속법), στρατεύσαιντο(희구법)


(예문3)
αἱ γυναῖκες ὀρχοῦνται.(직법화법)
The women are dancing.
그 여인들은 춤을 추고 있다.

ἐπυθόμεθα ὅτι αἱ γυναῖκες ὀρχοῦνται (or ὀρχοῖντο).(간접화법)
We learned that the women were dancing.
우리는 그 여인들이 춤추고 있는 것을 알았다.

☞ ὀρχέομαι의 현재 3인칭 복수
ὀρχοῦνται(직설법), ὀρχῶνται(접속법), ὀρχοῖντο(희구법)


종속절에 직설법을 사용한 예문

(예문4)
αἱ γυναῖκες ὠρχοῦντο.(직법화법)
The women were dancing.
그 여인들은 춤을 추고 있었다.

ἐπυθόμεθα ὅτι αἱ γυναῖκες ὠρχοῦντο.(간접화법)
우리는 그 여인들이 (그 때) 춤을 추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We learned that the women were dancing (when something or other happened).

☞ ὠρχοῦντο : ὀρχέομαι의 직설법 미완료 3인칭 복수


◈ 간접화법 문장의 기본적인 특징

간접화법은 일반적으로 종속절에도 직접화법의 서법과 시제가 그대로 유지된다.

ⓐ 단순한 문장을 전달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φημι, οἴομαι, νομίζω 등의 동사를 사용하고, 드물게 λέγω와 εἶπον 등의 동사를 사용하며, 직접화법의 내용은 부정사 구문으로 처리한다. 

ⓑ 다른 동사들의 경우에는, 절을 이끄는 ὅτι나 ὡς를 사용하며, 주절의 시제가 1차시제이면, 종속절은 원래의 서법과 시제를 유지한다. 

ⓒ 주절의 시제가 2차시제이거나 역사적 현재(historical tense)이면, 종속절은 희구법 동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직설법 + ἄν 형태(past indicative with ἄν)는 간접화법의 종속절에서도 그대로 유지된다.   


(3) 목적절(Purpose clauses)

목적절은 주로 접속법을 사용하지만, 주절이 2차 시제이면 희구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문1)
ταῦτα ποιοῦσιν ἵνα ἡ πόλις ἐλευθέρα ᾖ. (1차 호응)
그들은 그 도시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이 일들을 하고 있다.
They are doing these things so that the city may be free.

(예문2)
ταῦτα ποιήσουσιν ἵνα ἡ πόλις ἐλευθέρα ᾖ. (1차 호응)
They will do these things so that the city may be free.
그들은 그 도시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이 일드을 할 것이다.

(예문3)
φύλακας συνέπεμψεν ὅπως μὴ λάθωσιν ἀπελθόντες.(2차 호응)
= φύλακας συνέπεμψεν ὅπως μὴ λάθοιεν [optative] ἀπελθόντες.(2차 호응)
그는 그들이 비밀리에 가버리지 않도록 경비원들을 보냈다.
He sent along guards in order that they not go away secretly.



(4) 우려절(Fear Clause)

가상적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주절에 1차시제가 오면 종속절에는 접속법 동사를 사용하고, 주절에 2차 시제가 오면 종속절에는 희구법 동사를 사용한다. 

ⓐ μή :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이 우려될 때 
ⓑ μὴ οὐ : 어떤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우려될 때


(예문1)
φόβος ἐστι μὴ ταῦτα ποιήσῃ.(1차 호응)
그가 이 일들을 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다.
There is a fear that he may do these things.

(예문2)
φόβος ἐστι μὴ οὐ ταῦτα ποιήσῃ.(1차 호응)
그가 이 일들을 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다.
There is a fear that he may not do these things.


(예문3)
φοβοῦμαι μὴ ἀληθές ᾖ.(1차 호응)
나는 이것이 사실로 드러날까봐 걱정한다.
I fear that this may be (i.e. turn out) true.

(예문4)
φοβοῦμαι μὴ οὐ ἀληθές ᾖ.(1차 호응)
나는 이것이 사실아 아닐까봐 걱정한다.
I fear that this may not be (i.e. turn out) true.


(예문5)
ἐφοβοῦντο μὴ ἀληθές εἴη. (2차 호응)
그들은 이것이 사실일까봐 우려하였다.
They feared that this might be (i.e. turn out) true.

(예문6)
ἐφοβοῦντο μὴ οὐ ἀληθές εἴη. (2차 호응)
그들은 이것이 사실이 아닐까봐 우려하였다.
They feared that this might not be (i.e. turn out) true.


(예문7)
φόβος ἦν μὴ ταῦτα ποιοίησαν. (2차 호응)
그가 이 일들을 할지도 모르는다는 우려가 있었다.
There was a fear that he would be doing these things.

(예문8)
μὴ φοβήσῃ μὴ τοὺς ἵππους λάβωσιν.(1차 호응)
그들이 그 말들을 가져갈지도 모른다고 걱정하지 말게나.
Don’t fear that they may take the horses.

(예문9)
μὴ φοβήσῃ μὴ οὐ τοὺς ἵππους λάβωσιν. (1차 호응)
그들이 그 말들을 가져가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걱정하지 말게나.
Don’t fear that they may not take the horses.

(예문10)
ἐφοβούμεθα μὴ τοὺς ἵππους λάβοιντο. (2차 호응)
우리는 그들이 그 말들을 가져갈지도 모른다고 걱정하였다.
We feared that they might take the horses.

(예문11)
ἐφοβούμεθα μὴ οὐ τοὺς ἵππους λάβοιντο. (2차 호응)
우리는 그들이 그 말들을 가져가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걱정하였다.



참고한 책
1. Introduction to Attic Greek - Donald J. Mastronarde(2003)
2. A Greek Grammar for Colleges - Herbert Smyth(1920)
3. Ancient Greek for Everyone(on line)
4. A School Grammar of Attic Greek - Thomas Goodell(1902)



 

목차 - 그리스어 구문 연습

목차 - 그리스어 구문 연습 1. 그리스어의 어순과 문장의 기본 특징 2. 대격부사 (부사적 대격)의 예문 3. 측면의 대격(accusative of respect) 4. 측면의 여격(Dative of Respect) 5. 속격 독립분사구문 또는 속

classicalgreek.tistory.com



20200531_172109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