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그리스어 독해용 기본 문장 (1) Plat. Rep. 1.327a.1-4행
외국어 학습자가 해당 언어를 어렵게 느끼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문장이 길기 때문이다. 긴 문장을 의미 단위로 나누어 설명하거나 유사한 단문을 먼저 설명하고 마지막에 원문을 설명해 보았다.
* Plat. Rep. 1.327a.1는 플라톤의 국가 1권 스테파누스 섹션 327a의 1행을 의미함. 우리식으로 보면 '논어 학이편 1장'이런 것과 같다. 행 번호는 Platonis Rempublicam(S. R. Slings, ed. Oxford, 2003)를 기준으로 하였다. Burnet의 비평본 이후에 Slings의 비평본이 나옴.
1) 기본 문장 익히기
까따바이노- 에이스 뻬이라이아~ 메따
글라우꼬-노스.
나는 글라우콘과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가는 중이다.
ㅇ καταβαίνω(내려가다)의 현재 능동 변화
단수 : καταβαίνω, καταβαίνεις, καταβαίνει
복수 : καταβαίνομεν, καταβαίνετε, καταβαίνουσι(ν)
쌍수 : ─, καταβαίνετον, καταβαίνετον
ㅇ Πειραιεύς, Πειραιέως [Πειραιῶς], ὁ : 페이라이에우스(명사 3변화 ευ, αυ, ου 어간). 현대 명칭은 ‘피레아스(Πειραιάς)’
ㅇ Γλαύκων, Γλαύκωνος, ὁ : 글라우콘(명사 3변화 ρ, ν 어간)
어원 : γλαυκός (빛나는) + -ων (접미사) : 빛나는 사람
☞ 어간은 Γλαύκων-. 만약 어간이 Γλαύκον-이었다면 속격은 Γλαύκονος이 된다.
ㅇ μετὰ Γλαύκωνος 글라우콘과 함께(μετὰ + 속격)
소크라테스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과 함게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가는 중이다.
ㅇ 아리스토의 아들 글라우콘은 Γλαύκων ὁ Ἀρίστωνος이다. ὁ가 τοῦ로 바뀐 것은 μετὰ + 속격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어제 나는 그 여신에게 축원을 하러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갔다
ㅇ κατέβην(내려갔다, 무정 능동 1인칭 단수, καταβαίνω)
☞ καταβαίνω(내려가다)의 무정 능동 변화
단수 : κατέβην, κατέβης, κατέβη
복수 : κατέβημεν, κατέβητε, κατέβησαν/κατέβαν
쌍수 : ─, , κατέβητον, κατεβήτην
ㅇ χθές = ἐχθές(어제, 부사)
☞ χθὲς εἰς : 뒤에 다른 말이 이어지면 마지막 음절의 상강세는 하강세로 바뀜.
ㅇ προσευξόμενός(기도하러, 축원하러, 미래분사 중동 남성 주격 단수, προσεύχομαι+여격). 미래분사로 목적을 나타냄.
ㅇ τῇ θεῷ.신에게(여격)
어제 나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과 함께 여신에게 축원하러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갔다.
ㅇ κατέβην(내려갔다, 무정 능동 1인칭 단수, καταβαίνω)
그리고 나는 축제를 보는 것을 원하였다.
ㅇ ἑορτὴν : 축제를, 축제행렬을(여성 대격 단수, ἑορτή)
ㅇ ἐβουλήθην(나는 원하였다, 무정 수동 1인칭 단수, βούλομαι)
☞ 중동과 수동이 같은 의미. 중동태는 잘 쓰이지 않는 듯함.
ㅇ θεάσασθαι(보는 것, 무정부정사 중동, θεάομαι)
그들은 그 축제를 어떤 식으로 할까?
ㅇ τίνα τρόπον : 어떤 방식으로(대격부사)
기본형 : τρόπος, τρόπου, ὁ 방법, 길, 과정
ㅇ ποιήσουσιν 할 것이다, 미래 능동 3인칭 복수, ποιέω)
ㅇ 그리스어 물음표 ;는 ?에 해당한다.
그리고 동시에 그들이 어떤 식으로 축제를 할 것인지를 보는 것을 원하였다.
ㅇ βούλομαι + 부정사 : ~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동시에 그들이 이제 처음으로 수행하는 만큼 어떤 식으로 축제를 할 것인지를 보는 것을 원하였다.
ㅇ ἅτε ~함에 따라, ~하는 만큼. ἅτε 다음에는 구(phrase)가 온다. 다음에 동사가 아니라 분사 ἄγοντες가 오고 있다.
ㅇ ἄγοντες(수행함에, 현재분사 등동 남성 주격 복수, ἄγω)
☞ τὴν ἑορτὴν는 θεάσασθαι(보는 것)의 목적절 속의 주어임에도 부정사 앞에 쓰이고 있음에 유의. 목적어는 ‘τὴν ἑορτὴν τίνα τρόπον ποιήσουσιν ἅτε νῦν πρῶτον ἄγοντες’이다.
2) 원문 (Plat. Rep. 1.327a. 1-4행)
κατέβην χθὲς εἰς Πειραιᾶ μετὰ Γλαύκωνος τοῦ Ἀρίστωνος προσευξόμενός τε τῇ θεῷ καὶ ἅμα τὴν ἑορτὴν βουλόμενος θεάσασθαι τίνα τρόπον ποιήσουσιν ἅτε νῦν πρῶτον ἄγοντες.
ㅇ τε ~ καὶ ἅμα ~ : ~하고 그리고 동시에 ~(상관접속사)
ㅇ προσευξόμενός τε : τε가 후치접어이므로 προσευξόμενός의 마지막 음절에 상강세가 옴.
ㅇ προσευξόμενός ~ βουλόμενος + 부정사 ~ : ~하기 위하여 (그리고) ~할 목적으로
☞ 목적용법의 미래분사와 현재분사+부정사로 목적구문(~하기 위하여)을 표현하고 있다.
3) 호 헤 또의 용법 살피기
* 부정관사와 정관사를 사용하는 민족들이 유럽 문명을 담당하게 되면서 고전 그리스어는 원형이 왜곡된 듯 하다. 그 중 하나가 ὁ, ἡ, τό의 사용이다.
* ὁ, ἡ, τό는 원래 지시형용사였으며, 우리말의 '그, 이' 등에 해당한다.
(1) 호헤또가 있는 명사
* τοῦ Ἀρίστωνος : τοῦ는 아리스톤의 아들을 가리키기 위한 표현이며, Ἀρίστωνος(속격)의 격을 따르고 있는 것이 아니라 μετὰ+속격의 지배를 받고 있다.
만일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이 페이라이에우스에 갔다'라고 표현한다면,
Γλαύκων ὁ Ἀρίστωνος κατέβη εἰς Πειραιᾶ.
가 된다.
* τῇ θεῷ : 여신에게. ‘벤디스’ 여신을 염두해 둔 표현.
* τὴν ἑορτὴν : 그 축제. 트라케인들의 축제행렬. 특정 축제를 염두해 둔 표현.
(2) 호헤또가 없는 명사
εἰς Πειραιᾶ : 페이라이에우스로
μετὰ Γλαύκωνος : 글라우콘과 함께
* 최근에 나온 고대 그리스어 학습서는 닥치는 대로 정관사를 붙혀 고전 그리스어의 본래 모습을 왜곡시키고 있다.
참고 : ὁ, ἡ, τό에 대한 설명
'그리스어 독해의 기초 > 플라톤 독해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해용 기초문장 (5) Plat. Rep. 1.327b. 4-5행 - 고전 그리스어 (0) | 2023.12.09 |
---|---|
독해용 기초문장 (4) Plat. Rep. 1.327b. 2-4행 - 고전 그리스어 (0) | 2023.12.09 |
독해용 기초문장 (3) Plat. Rep. 1.327b. 1-2행 - 고전 그리스어 (2) | 2023.11.30 |
독해용 기초문장 (2) Plat. Rep. 1.327a.4-b.1 - 고전 그리스어 (0) | 2023.11.27 |
플라톤 독해를 위한 문장 연습 - 고전 그리스어 (0) | 2023.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