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리스어 독해의 기초/플라톤 독해 연습

독해용 기본 문장 (1) Plat. Rep. 1.327a. 1-4행 - 고전 그리스어

by 소포로스 2023. 11. 17.
반응형

 

고전 그리스어 독해용 기본 문장 (1) Plat. Rep. 1.327a.1-4행


외국어 학습자가 해당 언어를 어렵게 느끼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문장이 길기 때문이다. 긴 문장을 의미 단위로 나누어 설명하거나 유사한 단문을 먼저 설명하고 마지막에 원문을 설명해 보았다. 

* Plat. Rep. 1.327a.1는 플라톤의 국가 1권 스테파누스 섹션 327a의 1행을 의미함. 우리식으로 보면 '논어 학이편 1장'이런 것과 같다. 행 번호는 Platonis Rempublicam(S. R. Slings, ed. Oxford, 2003)를 기준으로 하였다. Burnet의 비평본 이후에 Slings의 비평본이 나옴.




1) 기본 문장 익히기


까따이노- 이스 뻬이라이~ 메
우꼬-노스.

나는 글라우콘과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가는 중이다.

ㅇ καταβαίνω(내려가다)의 현재 능동 변화
단수 : καταβαίνω, καταβαίνεις, καταβαίνει
복수 : καταβαίνομεν, καταβαίνετε, καταβαίνουσι(ν)
쌍수 : ─, καταβαίνετον, καταβαίνετον

ㅇ Πειραιεύς, Πειραιέως [Πειραιῶς], ὁ : 페이라이에우스(명사 3변화 ευ, αυ, ου 어간). 현대 명칭은 ‘피레스(Πειραιάς)’

ㅇ Γλαύκων, Γλαύκωνος, ὁ : 글라우콘(명사 3변화 ρ, ν 어간)
어원 : γλαυκός (빛나는) +‎ -ων (접미사) : 빛나는 사람
☞ 어간은 Γλαύκων-. 만약 어간이 Γλαύκον-이었다면 속격은 Γλαύκονος이 된다.

ㅇ μετὰ Γλαύκωνος 글라우콘과 함께(μετὰ + 속격)


소크라테스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과 함게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가는 중이다.

ㅇ 아리스토의 아들 글라우콘은 Γλαύκων ὁ Ἀρίστωνος이다. ὁ가 τοῦ로 바뀐 것은 μετὰ + 속격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어제 나는 그 여신에게 축원을 하러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갔다

ㅇ κατέβην(내려갔다, 무정 능동 1인칭 단수, καταβαίνω)
☞ καταβαίνω(내려가다)의 무정 능동 변화
단수 : κατέβην, κατέβης, κατέβη
복수 : κατέβημεν, κατέβητε, κατέβησαν/κατέβαν
쌍수 : ─, , κατέβητον, κατεβήτην

ㅇ χθές = ἐχθές(어제, 부사)
☞ χθὲς εἰς : 뒤에 다른 말이 이어지면 마지막 음절의 상강세는 하강세로 바뀜.

ㅇ προσευξόμενός(기도하러, 축원하러, 미래분사 중동 남성 주격 단수, προσεύχομαι+여격). 미래분사로 목적을 나타냄. 

ㅇ τῇ θεῷ.신에게(여격)


 어제 나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과 함께 여신에게 축원하러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갔다. 

ㅇ κατέβην(내려갔다, 무정 능동 1인칭 단수, καταβαίνω)



그리고 나는 축제를 보는 것을 원하였다.

ㅇ ἑορτὴν : 축제를, 축제행렬을(여성 대격 단수, ἑορτή)

ㅇ ἐβουλήθην(나는 원하였다, 무정 수동 1인칭 단수, βούλομαι) 
☞ 중동과 수동이 같은 의미. 중동태는 잘 쓰이지 않는 듯함.

ㅇ θεάσασθαι(보는 것, 무정부정사 중동, θεάομαι)


그들은 그 축제를 어떤 식으로 할까?

ㅇ τίνα τρόπον : 어떤 방식으로(대격부사
기본형 : τρόπος, τρόπου, ὁ 방법, 길, 과정
ㅇ ποιήσουσιν 할 것이다, 미래 능동 3인칭 복수, ποιέω) 
ㅇ 그리스어 물음표 ;는 ?에 해당한다.


그리고 동시에 그들이 어떤 식으로 축제를 할 것인지를 보는 것을 원하였다.

ㅇ βούλομαι + 부정사 : ~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동시에 그들이 이제 처음으로 수행하는 만큼 어떤 식으로 축제를 할 것인지를 보는 것을 원하였다. 

ㅇ ἅτε ~함에 따라, ~하는 만큼. ἅτε 다음에는 구(phrase)가 온다. 다음에 동사가 아니라 분사 ἄγοντες가 오고 있다. 

ㅇ ἄγοντες(수행함에, 현재분사 등동 남성 주격 복수, ἄγω) 

☞ τὴν ἑορτὴν는 θεάσασθαι(보는 것)의 목적절 속의 주어임에도 부정사 앞에 쓰이고 있음에 유의. 목적어는 ‘τὴν ἑορτὴν τίνα τρόπον ποιήσουσιν ἅτε νῦν πρῶτον ἄγοντες’이다. 


2) 원문 (Plat. Rep. 1.327a. 1-4행)

 

κατέβην χθὲς εἰς Πειραιᾶ μετὰ Γλαύκωνος τοῦ Ἀρίστωνος προσευξόμενός τε τῇ θεῷ καὶ ἅμα τὴν ἑορτὴν βουλόμενος θεάσασθαι τίνα τρόπον ποιήσουσιν ἅτε νῦν πρῶτον ἄγοντες.

ㅇ τε ~ καὶ ἅμα ~ : ~하고 그리고 동시에 ~(상관접속사)

ㅇ προσευξόμενός τε : τε가 후치접어이므로 προσευξόμενός의 마지막 음절에 상강세가 옴.

ㅇ προσευξόμενός ~ βουλόμενος + 부정사 ~ : ~하기 위하여 (그리고) ~할 목적으로
☞ 목적용법의 미래분사와 현재분사+부정사로 목적구문(~하기 위하여)을 표현하고 있다.



3) 호 헤 또의 용법 살피기

* 부정관사와 정관사를 사용하는 민족들이 유럽 문명을 담당하게 되면서 고전 그리스어는 원형이 왜곡된 듯 하다. 그 중 하나가 ὁ, ἡ, τό의 사용이다. 

* ὁ, ἡ, τό는 원래 지시형용사였으며, 우리말의 '그, 이' 등에 해당한다. 


(1) 호헤또가 있는 명사

* τοῦ Ἀρίστωνος : τοῦ는 아리스톤의 아들을 가리키기 위한 표현이며, Ἀρίστωνος(속격)의 격을 따르고 있는 것이 아니라 μετὰ+속격의 지배를 받고 있다.

만일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이 페이라이에우스에 갔다'라고 표현한다면,

Γλαύκων ὁ Ἀρίστωνος κατέβη εἰς Πειραιᾶ. 
가 된다.

* τῇ θεῷ : 여신에게. ‘벤디스’ 여신을 염두해 둔 표현.

τὴν ἑορτὴν : 그 축제. 트라케인들의 축제행렬. 특정 축제를 염두해 둔 표현. 



(2) 호헤또가 없는 명사

εἰς Πειραιᾶ : 페이라이에우스로
μετὰ Γλαύκωνος : 글라우콘과 함께

* 최근에 나온 고대 그리스어 학습서는 닥치는 대로 정관사를 붙혀 고전 그리스어의 본래 모습을 왜곡시키고 있다.

참고 : ὁ, ἡ, τό에 대한 설명    


 

목차 - 플라톤 국가 독해용 기초문장 - 고전 그리스어

목차 - 고전 그리스어 독해의 기초 카테고리 고전 그리스어(아티케 그리스어)의 전형인 플라톤의 국가를 텍스트로 하여 그리스어 독해 연습용으로 설명한 글이다. 독해용 기초문장 (1) Plat. Rep. 1.

classicalgreek.tistory.com

 

페이라이에우스 항의 오늘날의 모습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