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214

명사 3변화 - 유비음 ηρ형 명사(ρ, ερ어간) 명사 3변화 - 유비음 ηρ형 명사(ρ, ερ어간) 유비음 어간은 ⓐ ρ어간, ν어간 명사와 ⓑ ηρ형 명사(ρ, ερ어간)로 나누어 설명한다. 3변화 유비음 어간 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수 주격에 ς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ηρ형 명사를 다룬다. 1) 유비음 ερ어간 - ηρ형 명사 ερ어간은 단수 주격 어미가 -ηρ로 변한다. 반면 속격에서는 모음소실로 어간 ερ에서 ε이 생략된다. 2) 유비음 ερ어간 명사(ηρ형 명사)의 어형변화 πατήρ, πατρός 또는 πατέρος, ὁ : 아버지, 아빠 어간 : πατέρ-, πατρ-(어간 불규칙) * -ηρ형 명사는 불규칙 어간을 가지고 있다 : πατέρ-, πατρ- 단수 속격과 여격은 πατέρος와 πατέρι가 규칙 변화형이지만, 후세.. 2022. 5. 31.
명사 3변화 - 유비음 λ어간 명사 3변화 - 유비음 λ어간 1) 유비음 λ어간 유비음 λ어간 명사라는 분류는 별 의미가 없다. 어간이 λ로 끝나는 명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λ가 생략된 형태로 λ어간 명사가 더 있을 수 있으나 아직 확인하지 못함). 유일하게 ἅλς가 빈용단어이면서, 일반적인 유비음 어간 명사와는 다르게 어형변화를 하므로 따로 분류하였다. 2) ἅλς의 어형변화 ἅλς, ἁλός, ὁ(할스, 할로스), 소금, 바다 (3변화) 어간 : ἅλ- 복수 여격의 이형 : ἁλσί = ἁλσίν = ἅλασι = ἅλασιν = ἅλεσσι(호머) = = ἅλεσσιν(호머) 유비음 어간 명사 중 ἅλς는 매우 예외적인 경우에 속한다. 참고로, 형용사 μέγας, μεγάλη, μέγα(거대한)에서 μέγας는 μεγάλ.. 2022. 5. 30.
명사 3변화 - 유비음 ρ, ν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유비음 ρ, ν 어간 명사 Consonant-Declension Nouns: liquid and nasal stems 유비음 어간은 ⓐ ρ, ν어간 명사와 ⓑ ηρ형 명사(ρ, ερ어간)로 나누어 설명한다. 3변화 유비음 ρ, ν 어간 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수 주격에 ς가 없다는 것이다. 1) ρ, ν(르느)어간 : "주격 단수에 ς가 없다." * 어간이 ν, ρ, σ, ‑οντ‑로 끝나는 명사는 단수 주격 어미 ς가 생략된다. 학자에 따라 ν, ρ 어간 뒤에는 ς가 오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1) ρ어간 명사 변화 ῥήτωρ, ῥήτορος, ὁ : 연설가, 웅변가, 정치가, 변사, 변호사 (3변화) 어간 : ῥητορ * 단수 주격 : ῥήτωρ ← ῥήτορ + ς (ρ 뒤의.. 2022. 5. 30.
명사 3변화 - 불규칙 중성 τ 어간 명사 3변화 - 불규칙 중성 τ 어간 주로 단수 주대호격이 불규칙이다. 1) 단수 주대호격 불규칙 (1) γόνυ, γόνατος, τό : 무릎 어간 : γονατ- * 만약 규칙변화였다면 γόνυ 대신 γόνα가 와야한다. (이오니아) * 규칙변화라면 단수 주대호격은 γούνα이어야 한다. (2) δόρυ, δόρατος, τό : 목재, 나무, 창, 장창 어원 : 영어의 tree와 공통 조상어(동원어) (변화형 1) 어간 : δόρατ-, δούρατ- * 주대호격이 δόρα가 아니라 δόρυ이므로 불규칙이다. * 고전시대 이전의 그리스어에서 ο와 ου는 사실상 같은 것이다. * 단수 주대호격 δόρυ은 δούρυ와 같지만 용례는 보이지 않는다. (변화형 2) 어간 : δουρ- 2) 불규칙 ς추가.. 2022. 5. 30.
명사 3변화 - 치경음 중성 τ 어간 명사 3변화 - 치경음 중성 τ 어간 Consonant-Declension Nouns: neuter τ-stems 1) 치경음 중성 τ 어간 명사 치경음은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δ, τ, θ음을 말한다. 잇몸을 치경이라고 한다. 어간이 치경음으로 끝나는 명사의 어형변화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나눈다. (1) 남여성 δ 어간, τ 어간, θ어간 명사 (2) ντ 어간 명사 (3) 중성 τ 어간 ντ 어간 명사를 제외한 τ 어간 명사는 ⓐ남여성 명사와 ⓑ중성명사로 나누는데, 여기서는 중성 τ 어간 명사의 어형변화를 다룬다. 2) 중성 τ 어간 명사의 어형변화 πρᾶγμα, πράγματος, τό : 일, 행위, 행동, 사실 (3변화) 어간 : πράγματ- * 3변화 명사 중 μα로 끝나는 명사는.. 2022. 5. 30.
액센트 위치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말들 액센트 위치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말들 τίς : 누구? (의문 대명사) τις : 아무나, 누구나 (비한정 대명사, 부정 대명사) πόθεν : 어디에서(의문 부사) πεθέν : 어딘가로부터(비한정 부사, 후치접어) οἶκοι : (명사) 집들. οι는 액센트 규칙에서는 단음절이므로 뒤에서 2번째 음절이 장음절이면 곡강세가 온다. οἴκοι : (부사) 집에서 ☞ οἴκοι는 액센트 규칙의 예외이다. 마지막 음절이 단음절이고 뒤에서 2번째 음절이 장음절이면, 곡강세가 온다. κάλως : (명사) 줄(rope) καλῶς : (부사) 잘(well) δικαίᾱ : (여성 단수) 정의로운(just) δίκαια : (중성 복수) 정의로운(just) *중성 복수에서는 α가 단모음 βαλών : 던진 (무.. 2022. 5. 30.
후치접어 액센트 규칙의 요약과 연습 후치접어 액센트 규칙의 요약과 연습1) 액센트에 대한 기본사항 ⓐ 고대 그리스어의 액센트는 고저액센트로서, 평음 상승음 하강음 고저음(상승 후 하강음) 등 4가지 성조(음조)를 가지고 있다. ⓑ 액센트는 마지막 3개의 음절에만 온다. 앞에서부터 각각 안티피널트(A) 피널트(P) 얼티마(U)라고 한다. ⓒ 그리스어 동사의 액센트는 뒤에서 3번째 음절인 A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으며, 고저음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액센트 단위를 ‘칸토네이션’이라고 한다. 모든 그리스어 액센트 규칙은 '칸토네이션 법칙'을 따른다.ⓓ 이상적인 칸토네이션 구조는 ‘칸토네이션 + 1개의 모라’이다. 후치접어는 자신의 액센트를 분리한 후 앞의 단어와 결합하여 이런 형태를 이루려고 한다. 발음 : 불-레우오마이ⓔ 액센트 규칙이 허용하는 .. 2022. 5. 14.
후치접어(enclitic, 전접어)와 전치접어의 액센트 규칙 후치접어(enclitic, 전접어)와 전치접어(proclitic, 후접어)의 액센트 규칙고대 그리스어 액센트의 '꿈의 고향'은 뒤에서 3번째 음절(안티피널트)로 보인다. 사정이 있어서 ①안가거나 ②못가는 것일 뿐이다. ① 명사 형용사 등의 액센트는 규칙이 허용하는 한 원래의 자리를 유지하여 자신이 누군지를 보여 주려고 한다. ② 동사의 액센트는 규칙이 허용하는 한 뒤에서 3번째 음절(A)로 가려고 한다.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상적인 액센트 형태는 μισάνθρωπος이다. 앞에 있는 말과 융합되어 한 단어처럼 발음되는 후치접어는 이런 이상적인 칸토네이션 형태를 이루려고 한다.  * μισάνθρωπος(미산트로-뽀스) μισάνθρωπον(미산트로-뽄) : 사람을 싫어하는, 염세적인1) 후치접어와 액센트.. 2022. 5. 12.
마지막 3음절과 액센트 - 고대 그리스어 마지막 3음절과 액센트 1) 그리스어 액센트는 마지막 3개 음절 중에 온다. 마지막 3음절은 다음과 같다 A : 안티피널트(antepenult) - 뒤에서 3번째 음절 P : 피널트(penult) - 뒤에서 2번째 음절 U : 얼티마(ultima) - 마지막 음절 안티피널트(antepenult) + 피널트(penult) + 얼티마(ultima) 어원을 알면 기억이 쉬울 수 있다. 얼티마는 끝(ultima), 피널트는 핀(거의, paene) + 얼트(끝, ult), 안티피널트는 안티(앞, ante)+ 피널트(penult)이다. 어원인 라틴어는 각각 ultima(울티마), paenultima(파이눌티마), antepaenultima(안테파이눌티마)이다. 2) 3개의 음절이 취할 수 있는 액센트 (1) 뒤에서.. 2022. 5. 10.
칸토네이션과 모라(contonation and mora) 그리고 다른 액센트 관련 용어들 칸토네이션과 모라(contonation and mora) 그리고 다른 액센트 관련 용어들 고대 그리스어를 공부할 때, 칸토네이션 법칙을 이해하면 암기의 고통을 줄이고 좀더 쉽게 액센트 규칙을 이해가고 기억하는데 도움이 된다. 칸토네이션은 고저액센트에 있는 현상이므로 고저액센트와 강세액센트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1) 고저 액센트와 강세 액센트 고대 그리스어 액센트는 고저 액센트(pitch accent, 성조 액센트, tonal account)이다. 중국어의 사성체계도 고저 액센트이다. 그리스어의 고저 액센트는 평음, 상승음, 하강음, 상승 후 하강음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노래하듯 발음한다. 우리가 영어 등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강세 액센트(stress accent, 강약 액센트)와는 다르다. 이를 .. 2022. 5. 9.
명사 3변화 - 치경음 ντ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치경음 ντ 어간 명사 Consonant-Declension Nouns: ντ-stems일반적으로 치경음 어간 명사의 어형변화는 ⓐ δ어간, τ어간, θ어간 명사, ⓑ ντ 어간 명사 그리고 ⓒ중성 τ 어간 명사 등 3가지로 분류하여 다룬다. 여기서는 ντ어간 명사를 다룬다.1) 치경음 ντ어간 명사ντ 어간 명사는 단수 주격을 형성할 때, -ντς(ντ + ς)에서 τς가 탈락하거나 ντ가 탈락하고, ν 또는 ς만 남는다.  γέρων, γέροντος, ὁ, 노인, 늙은이(3변화) γίγας, γίγαντος, ὁ,  거인, 기가스(3변화) ὀδούς, ὀδόντος, ὁ,   이, 치아, 어금니 (3변화)단수 주격을 제외하면 둘 사이에 어형변화의 차이는 없다.(1) τς가 탈락하고 .. 2022. 5. 2.
명사 3변화 - 추가설명 치경음 δ, τ, θ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치경음 δ, τ, θ 어간 명사 추가설명 * 매우 사소한 정도의 불규칙 변화가 그리스어에는 다수 존재한다. 1) 불규칙 치경음 δ, τ, θ 어간 명사 χάρις, χάριτος, ἡ, 감사, 호의, 아름다움, 우아함, 선호 (3변화, 불규칙 변화) * 단수 대격이 다른 규칙을 따르고 있다. ☞ 단수 대격 χάριν이 보편적으로 쓰이지만, χάριτα도 사용된다. ☞ 2음절로 된 치경음 ιδ, ιτ, ιθ 어간 명사(ις로 끝나는 명사) 중 첫째 음절에 액센트가 있는 명사는 단수 대격에서 치경음이 탈락하고 어미 ν가 오는 경향이 있다. * 단수 주격 χάρις ← χάριτς (ς앞의 τ 탈락) * 단수 호격 χάρι ← χάριτ (단어 끝에서 τ 탈락) * 복수 여격 χάρισι(ν).. 2022. 5. 1.
명사 3변화 - 치경음 δ, τ, θ 어간 남/여 -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명사 3변화 - 치경음 δ, τ, θ 어간 남/여 Consonant-Declension Nouns: dental plosive stems (masc. and fem.) 1) 치경음 어간 명사 (1) 치경음 어간 명사의 어형변화 개요 치경음은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이다. 치경음 어간 명사의 어형변화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하여 다룬다. ⓐ δ어간, τ어간, θ어간 명사 ⓑ ντ 어간 명사 ⓒ 중성 τ 어간 명사 여기서는 δ어간, τ어간, θ어간 명사의 어형변화를 살핀다. ντ 어간 명사 와 중성 τ 어간 명사는 다른 포스트에서 설명할 예정이다. 치경음으로 끝나는 어간이 주격 단수 어미 ς와 만나면 치경음은 탈락한다. δ, τ, θ + ς → ς (ς 앞의 치경음 생략) * 그리스어는 어미가 .. 2022. 4. 30.
명사 3변화 - 불규칙 양순음, 구개음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불규칙 양순음, 구개음 어간 명사 * 매우 사소한 정도의 불규칙 변화가 그리스어에는 다수 존재한다. 아래 사례는 단수 주격과 약간의 액센트 변화를 제외하면 모두 규칙변화이다. 1) 양순음, 구개음 어간 명사의 불규칙 변화 γυνή, γυναικός, ἡ, 여성, 여자, 아내 (3변화) 어간 : γυναικ- * (불규칙1) γυνή ← γυναῖκ + ς (κς 탈락 후 모음 변화) 또는 γυναικ에서 κ탈락(κ는 단어 끝에 오지 못함)후 모음변화. 다른 구개음 어간 명사와 달리 γυναῖξ가 아니다. * (불규칙2) 속격과 여격, 단수호격의 액센트 규칙 예외. * ή가 P의 위치로 바뀌면서 액센트를 유지할 때 곡강세(ναῖ)로 바뀜 * 단수 호격 γυναι : 기본형이 불규칙 변화를 .. 2022. 4. 30.
명사 3변화 - 양순음과 구개음 어간 변화 명사 3변화 - 양순음과 구개음 어간 변화 1) 양순음과 구개음 어간 - β, π, φ, γ, κ, χ Consonant-Declension Nouns: labial and velar plosive stems 3변화 명사 중 어간이 정지음 중에서 양순음(β, π, φ)과 구개음( γ, κ, χ) 으로 끝나는 명사를 말한다. 양순음 어간과 구개음 어간은 어형변화가 유사하기 때문에 같이 묶어 설명한다. ☞ 정지음(stop)은 파열음(plosive)이라고도 하는데, 숨을 멈추었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다. 양순음(브 쁘 프), 구개음(그 끄 크), 치경음(드 뜨 트) 등이 여기에 속한다. (1) 양순음 어간 명사의 변화 β, π, φ + ς = ψ 이므로 양순음 어간 명사는모두 ψ로 끝난다. κλώψ, κλ.. 2022. 4. 30.
명사 3변화 - 3변화 명사의 분류방법 명사 3변화 - 3변화 명사의 분류방법 1) 분류기준 : 어간 끝음 어간 끝에 자음이 오거나 자음성 모음 ι, υ가 오는 명사를 3변화 명사라고 한다. 3변화는 공통적인 어형변화의 특징을 공유하지만, 어간 끝의 음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기 때문에 어간 끝에 오는 음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양순음과 구개음(β, π, φ γ, κ, χ) 어간 ② 치경음(δ, τ, θ) 어간 ③ 유음과 비음(λ, ρ, μ, ν) 어간- ρ, ν 어간, λ어간 ④ σ 어간 ⑤ ι, υ 어간 ⑥ 불규칙어간 예를 들면 φύλαξ(속격 : φύλακος, ὁ, 수호자, 경비원)는 속격이 φύλακ(어간) + ος(속격어미)로 구성되어 있다. 어간 φύλακ-에서 끝에 있는 음 κ는 구개음이므로 구개음 어간 명사로 분류한.. 2022. 4. 26.
명사 3변화 (자음변화) 요약 정리 _ 고대 그리스어, 희랍어, 헬라어 명사 3변화( 자음변화) 요약 정리 1) 자음변화 명사란 명사 1, 2변화는 어간이 알파(α)와 오미크론(ο) 등 모음으로 끝나므로 모음변화 명사라고 한다. 반면 명사 3변화는 어간이 자음이나 자음성 모음(ι, υ)으로 끝나므로 자음변화 명사라고 한다.예를 들면, ἐλπίδος(희망의)는 어간이 ἐλπίδ-인데, 어간 끝의 δ는 자음이므로 자음변화 명사가 된다. 3변화 명사는 어간 끝 음에 따라 모두 6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3변화는 이런 약간 번잡한 절차를 거쳐야 나름대로 계통을 세워 정리할 수가 있다). ① 양순음과 구개음(β, π, φ γ, κ, χ) 어간 ② 치경음(δ, τ, θ) 어간 ③ 유비음(λ, ρ, μ, ν) 어간 - ρ, ν 어간, λ어간④ σ 어간 ⑤ ι, υ 어간 ⑥ 불규칙 어.. 2022. 4. 26.
명사 2변화 격어미 정리 고대 그리스어 명사 2변화 격어미 정리 1) 명사 2변화 어미 정리ㅇ 명사 2변화는 주로 남성 명사와 중성 명사이며 여성명사는 드물다. 격어미는 남/여성형과 중성형 2가지가 있다. ☞ 여러 격이 융합된 속격과 여격은 이형이 존재한다. 남성 단수 속격 : -ου, -οιο, οο 남성 복수 여격 : -οις, -οισι 오스, 우-, 오-이, 온, 에 ; 오이, 온-, 오이스, 우-스, 오이 온, 우-, 오-이, 온, 온 ; 아, 온-, 오이스, 아, 아  위에 제시한 어미는 어간끝모음과 격어미가 융합된 형태이다. 편의상 이를 격어미로 활용하지만, 원래의 격어미는 다음과 같다.ⓐ 2변화 남/녀 명사의 격어미 단수 : ς, ο [ιο]), ι, ν, ─  (스, 오, 이, 은, 무) 복수 : ι, ων,  .. 2022. 3. 4.
영어의 장모음은 기본적으로 이중모음이다. 영어의 장모음은 기본적으로 이중모음이다. 영어권 사람들은 '에-'나 '오-' 또는 '이-'와 같이 동일한 음조의 장모음을 매우 낯설게 여긴다. 영어권 그리스어 강사들 중, 장모음 η(에-)를 시종일관 '에이'라고 하거나, ω(오-)를 시종일관 '오우'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 귀로는 구별할 수 없지만 장모음 ῑ도 그들은 iy(이이)라고 끝을 오무리면서 발음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들을 흉내낼 이유가 없다. υ(위)는 영어에는 해당하는 음이 없다고 한다. 많은 영어권 사람들이 υ를 '우'라고 발음한다. υ의 정확한 음은 ι이보다 입모양을 더 오므린 상태에서 내는 소리이다. 하버드대 고전학부 죠지 레인(George Lane)교수는 "father의 a와 같은 일부 a음을 제외하면, 장모음 a를 포.. 2022. 3. 3.
형용사 2 변화 -ος, -ον어간 (2-2형, 2어미) 형용사 2 변화 -ος, -ον어간 (2-2형, 2어미) 1)  -ος, -ον : 모음변화 2변화 2어미ㅇ 2어미 형용사는 남성형과 여성형이 같으며, 주로 합성어이다. ㅇ 중성형의 어미는 ον이다. ㅇ 2변화 2어미 형용사는 동사와 같이 역행성(recessive) 액센트가 온다.☞ ⓐ 여성형은 남성형을 사용한다는 것과 ⓑ 역행성(recessive) 액센트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1-2변화의 2변화와 같다.참고 : 고정성 액센트와 역행성 액센트 (1) 어형변화표 ἄδικος, ἄδικον 부당한, 불공평한 (2변화 형용사) 어간 : ἄδικο- 어원 : ἀ- (아니다) +‎ δίκη (정의) +‎ -ος(형용사 어미) (사용례)ἄδικος πολίτης : 정의롭지 못한 시민 ἄδικος γνώμη.. 2022. 2. 23.
형용사 1-2변화 불규칙 -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 1-2변화와 2변화 불규칙 (1) πολύς, πολλή, πολύ : 많은 (1-2변화) 어간 : πολλο, πολλή-, πολυ(불규칙 어간)- ☞참고 : πολλός, πολλή, πολλόν (많은, 1-2변화, 이오니아형) 규칙변화를 함. ㅇ 단수 남성 주대격과 중성 주대호격이 불규칙이다. λ도 1개만 쓰임. ㅇ πολλο-, πολλή-는 규칙어간이고, πολυ-는 불규칙어간이다. ㅇ 쌍수 변화는 없고, 호격은 잘 쓰이지 않음. 어형변화를 성별로 나누어 가로로 쓰면 다음과 같다. 남성 단수 : πολύς, πολλοῦ, πολλῷ, πολύν, πολλέ 복수 : πολλοί, πολλῶν, πολλοῖς, πολλούς, πολλοί 여성 단수 : πολλή, πολλῆς, πολ.. 2022. 2.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