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214

형용사 1-3변화 -ύς, -εῖα, -ύ형 υ어간(3-1-3, 3어미) 형용사 1-3변화 -ύς, -εῖα, -ύ형 υ어간(3-1-3, 3어미) ㅇ 형용사 1-3변화에서 1변화는 여성 변화이고, 3변화는 남성과 중성 변화이다. ㅇ 중성형이 어간을 나타낸다. 중성형 단수 주격은 격어미가 없다. 1) υ어간 -ύς, -εῖα, -ύ형, 1-3변화 형용사 (3-1-3형, 3어미) (1) 어형변화 ἡδύς, ἡδεῖα, ἡδύ, 즐거운, 유쾌한 (1-3변화) 어간 : ἡδύ- (ἡδε-) * 남성 중성 변화에서 ἡδύ-는 단수 주대호격에서만 나타난다. *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어간은 ἡδε-로 변한다(복수 여격은 ἡδύ +εσσι) 남성 단수 주격 ἡδύς ← ἡδύ + ς 여성 단수 주격 ἡδεῖα ← ἡδέ + ια ← ἡδύ + ια (여성 접미사) 중성 단수 주격 .. 2023. 1. 17.
명사 3변화 - 불규칙 ι, υ 어간명사와 οι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ι, υ 변형 어간과 οι 어간 명사1) οι 어간 명사οι어간 명사는 단수 호격에만 원형이 남아있고, 나머지 변화에서는 ι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단수 변화만 있다.πειθώ, πειθοῦς, ὁ : 설득 ἠχώ, ἠχοῦς, ὁ : 메아리, 에코, 반사음 Λητώ, Λητοῦς, ὁ : 레토 여신 * 호격과 여격이 서로 같다. (1) πειθώ(설득)의 단수변화 주격 : πειθώ ← πειθό 속격 : πειθοῦς ← πειθό +ος 여격 : πειθοῖ ← πειθό + ι 대격 : πειθώ ← πειθό + α (?)  호격 : πειθοῖ ← πειθοῖ + 무 * πειθώ ← πειθό + α : 액센트 규칙상 곡강세가 와야하므로 불확실함 (2) ἠχώ(메아리.. 2023. 1. 12.
Ζεύς, Διός, ὁ 제우스 신. 명사 3변화 ευ 변형어간 Ζεύς, Διός, ὁ 제우스 신. 명사 3변화 ευ 변형어간 1) Ζεύς의 표준적인 어형변화 (1) Ζεύς, Διός, ὁ : 제우스 신(Zeus). 명사 3변화 어간 : Ζευ-, Διϝ- * 라틴어 Deus, Iovis, Diovis(Old Latin)와 같은 어원. Proto-Indo-European *dyḗws * Ζεύς는 어형변화에 3개의 어간(Ζευ- Ζην-, Δι-)이 쓰이고 있다. Ζηνός보다는 Διός가 더 일반적으로 쓰인다. 복수형은 없다. Ζεύς : 제우스 신이 Διός : 제우스 신의 Διί : 제우스 신에게 Δία : 제우스 신을 Ζεῦ : 제우스 신이여! (2) 어형변화 설명 * 주격 Ζεύς ← Δι̯εύς ← Διϝ + ς (Διϝ가 0등급에서 ε등급으로 바뀌고.. 2023. 1. 11.
ναῦς (배, 선박, 3변화)의 어형 변화 살펴보기 ναῦς (배, 선박, 3변화 αυ 어간)의 어형 변화 살펴보기 (1) αυ 어간 명사 ναῦς의 어형변화에 대하여 고대 그리스어를 처음 공부한 사람에게 ναῦς는 좀 당혹스러운 단어일 수 있다. 이형이 많아서 어형변화가 매우 번잡스럽기 때문이다. 일단 표준적인 변화를 먼저 보고 여러 이형변화들을 살펴본다. 아래에 제시한 표준 변화표에서 괄호 안에 흐릿하게 있는 것은 이중모음 어간 명사의 일반적인 규칙에 해당하는 것이다. 괄호안의 어형 역시 표준형은 아니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었던 형태이다. 이런 변화과정을 이해하면,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2) 표준 어형 익히기 ναῦς, νεώς, ἡ, 배, 선박 (3변화) 어간 : ναυ- (νη-, νε-) ㅇ 어형 변화표 설명 일반적으로 ναῦ.. 2022. 10. 6.
유추에 의한 동화(assimilation) 유추에 의한 동화(assimilation) 1) 유추에 의한 동화의 뜻 유추에 의한 동화는 문법규칙을 따르기보다는 비슷한 다른 활용예를 모방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스어의 불규칙 어형을 설명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다른 언어에서도 흔하게 보이는 현상이다. 동화(assimilation)는 자신의 형태를 버리고 다른 것과 조화를 이루거나 닮아가는 것을 의미하며, 규칙적인 변화일수도 있고 불규칙적인 변화일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는 모음동화와 자음동화 등이다. 2) 유추에 의한 동화가 일어나는 과정 Εὐρῑπίδης(에우리피데스)의 대격은 Εὐρῑπίδην이다. Σωκράτης(소크라테스)의 대격은 Σωκράτη이지만 Σωκράτην(불규칙)도 쓰인다. Εὐρῑπίδης 뿐만 아니라 명사 1, 2변화의 대격.. 2022. 7. 6.
명사 3변화 - ευ, αυ, ου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ευ, αυ, ου 어간 명사Consonant-Declension Nouns: stems in ευ, αυ, or ου 1) 기본 특징* 표제형(기본형)이 -ευς, -αυς, -ους로 끝나는 명사이다.*  ευ, αυ, ου 등의 어간은 뒤에 모음이 오면 υ가 생략된다. ευ → ε, η(αυ → ᾱ, η → ε ου → ο * 장단모음전이가 일어난다.  (ἱππέως, νεώς, ἱππέᾱ  ← ἱππῆος, νηός, ἱππῆα)  ☞ σ 어간 명사와 ι, υ 어간 명사의 구별ⓐ σ 어간 명사 : -ης, -ος, -ας, -ως로 끝나는 명사 ⓑ ι, υ 어간 명사 : -ις, -υς, -εύς, -αῦς, -οῦς로 끝나는 명사1) ευ 어간 명사 3변화 명사 (1) ευ 어간.. 2022. 6. 17.
생략과 축약의 예외 -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생략과 축약의 예외고전 그리스어는 낱말의 철자가 축약되거나 생략되는 일이 흔하다. 그러나 간혹 축약이나 생략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눈의 띄는 것 몇 가지를 정리한다. 1) 전치사 합성어자음으로 끝나는 전치사와 다른 낱말이 합성될 때, 생략의 조건이 발생하여도 생략되지 않는다.προς, δυς, εἰς 등 자음으로 끝나는 전치사는 합성어가 되어도 ς가 생략되지 않는다. (1) νσ의 예외 ἔνστασις, ἔνστασεως, ἡ, 기원, 시작, 방식(어원 : ἐν '밖으로' + ἵστημι '세우다' + -ις 명사화 어미) ☞ νσ는 거의 같이 쓰이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ν가 생략되며, 단어 끝에서는 σ가 생략되기도 한다. (2) σν의 예외 δυσνομία : 무법(δυς 잘못된, 나쁜 +.. 2022. 6. 17.
모음강약변화(Ablaut) - 모음강화, 모음약화, 모음소실 모음강약변화(Ablaut) - 모음강화, 모음약화, 모음소실 아블라우트(Ablaut)는 독일어에서 온 말이며, '소리의 단계적 변화(sound gradation)'라는 뜻이다. 모음이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단계적 변화를 의미하므로 '모음강약변화' 정도가 적절해 보인다. * 최근 문법서에서는 Ablaut를 vowel gradation이라고 한다. 영어권에서는 문법용어를 꾸준하게 영어화시키고 있다. 1) 모음강약변화(Ablaut) 모음강약변화는 영어의 sing - sang - sung에서 보이는 i, a, u 등의 모음변화 현상을 말한다. 낱말이 다른 뜻이나 다른 문법적 기능을 가질 때 모음강약변화가 일어난다. 동일한 어근이나 어간을 가진 서로 다른 낱말 사이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고대 그리스어에는 모음강화,.. 2022. 6. 13.
자음모음도치- 모음성 자음의 변화 자음모음도치- 모음성 자음의 변화 1) 자음모음도치(자모도치) - 모음성 자음 한 단어 안에서 모음과 자음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한다. 뜻에는 변화가 없다. ☞ 어근이 유사한 소리를 내는 다른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원래는 원시 그리스어에서 쓰이던 모음성 자음 ρ가 자음 ρ로 바뀌는 과정에서 그 앞 또는 뒤에 모음이 추가되는 현상이다. καρδίᾱ, καρδίᾱς, ὁ : 심장, 마음 κραδίᾱ, κραδίᾱς, ὁ : 심장, 마음 (시어) κάρτος, κάρτεος, τό : 힘 κράτος, κράτεος, τό : 힘 (호머) καρτερός, καρτερή[καρτερᾱ́], καρτερόν : 강한, 힘있는, 폭력적인 κρατερός, κρατερή, κρατερόν, 힘있는 : 강한.. 2022. 6. 13.
모음도치 - 모음의 위치 변화 모음도치 - 모음의 위치 변화 1) 모음도치의 뜻 모음도치란 모음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한다. 그리스어에도 모음도치 현상도 종종 보이는데, 특히 희구법 3인칭에서 자주 보인다. 장단모음전이와는 다르다. 장단모음전이(Metathesis in Quantity)는 νεώς(신전) ← νηός(신전)과 같이 음절의 길이가 서로 바뀌는 것이며 음절이 서로 교환되는 것은 아니다. 2) 모음도치의 예 흔히 접할 수 있는 모음도치는 희구법 무정시제 3인칭 복수 어형이다. τελέσειαν = τελέσαιεν : 이루어주시기를! λῡ́σειαν = λῡ́σαιεν : 풀어주시기를! τίσειαν = τίσαιεν : 대가를 치르게 해주시기를! δαμάσειαν = δαμάσαιεν : 덮치기를! * 뒤에 있는 .. 2022. 6. 13.
장단모음전이(Quantitative metathesis) 장단모음전이(Quantitative metathesis 또는 Metathesis of Quantity) 1) 장단모음전이(Metathesis)란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단모음전이 현상이 있다. εω ↔ ηο ↔ ᾱο εᾱ ↔ ηα νεώς(신전) ← νηός(신전) * Metathesis는 ‘옮김, 전위, 전이’ 등의 뜻이다. 간혹 한국어 문법에서는 ‘도치’라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장단모음전이(Quantitative metathesis)는 한 단어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단어의 뜻에도 변화가 없고, 심지어 변화 후에도 액센트의 위치는 유지된다(액센트 규칙 예외) πῆχυς, πήχεως, ὁ, 팔뚝, 아래팔 (3변화) ☞ 속격 πήχεως와 πήχεων는 액센트 규칙을 따르지 않고 있다. (.. 2022. 6. 12.
가변장단모음(Variations in Quantity) 가변장단모음(Variations in Quantity) 1) 가변장단모음이란 가변장단모음(Variations in Quantity) 현상은 언어 사용자가 마음 내키는 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단음을 장음으로 발음하거나 또는 장음을 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클라이드 파는 ‘재미로(with plasure)’라고 설명한다.  가변장단모음은 한 단어 안에서 뜻의 변화가 없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 또는 단모음을 같은 계통의 소리를 가진 단모음 또는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2) 이런 개념이 필요할까고대 그리스어는 여러 모로 우리말과 유사한 데가 많다. 우리가 '많이 주세요'라고 할 수도 있지만 '마하니 주세요'라고 할 수도 있다. 그때 그때 분위기에 따라서 다르게 말할 수 있다. 같은 계.. 2022. 6. 12.
보상성 장음화 Compensative Lengthening 보상성 장음화 Compensative Lengthening. 1) 보상성 장음화의 뜻 낱말에서 1개 또는 2개의 자음이 생략되면 일반적으로 앞에 있는 모음이 장음화된다. 이를 보상성 장음화라고 한다. 고대 그리스어는 모든 글자를 다 발음하므로 생략된 자음의 길이만큼 모음을 더 길게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2) 장모음화 실례 생략된 자음 앞의 모음이 장모음이면 변화가 없으며, 단모음일 때는 아래와 같이 단모음이 장모음으로 변한다. α, ι, υ → ᾱ, ῑ, ῡ ε → ει ο → ου 3) ο → ω 장음화와 ο → ου 장음화 현재분사 ἄγων, ἄγουσα, ἄγον(이끄는, 어간 : ἄγοντ)의 구조를 통해 보상성 장음화를 살펴본다. 남성 단수 주격 ἄγων ← ἄγοντ + ς (σ 앞의 ντ가.. 2022. 6. 11.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 - ν, ρ, ς 와 ξ, ψ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  1)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 - ν, ρ, ς 와 ξ, ψ(느르스 끄스 쁘스)그리스어에서 단어 끝에 올 수 있는 자음은 ν, ρ, ς, ξ, ψ 등이다. ν, ρ, ς, ξ, ψ(느르스, 끄스 쁘스)이들 자음들은 특정 조건에서만 끝에 쓰인다. ξ와 ψ는 κς γς χς, πς βς φς (자음 + σ) 등의 축약 형태이므로 ς가 단어 끝에 오는 조건에 속한다. δῶμα (← δωματ) : 집  ὑπόδρα (← ὑποδρακ) : 비스듬한, 기울어진  ἔλυε (← ἐλυετ) : 풀고 있었다(미완료시제, 3인칭 단수). 미완료 : ἔλῡον, ἔλῡες, ἔλῡε(ν) * 라틴어 3인칭 단수는 amat(그는 사랑한다), amabat와 같이 t로 끝난다. (예외)  .. 2022. 6. 11.
시그마와 생략 - 시그마 생략(Loss of Sigma), 트러블 시그마 시그마와 생략(Loss of Sigma) "트러블 시그마" 문법에 대한 글은 재미있다고 느껴질 때 읽으면 된다. 그리스어를 잘 읽을 수 있으면 문법용어는 몰라도 된다. 우리는 국문법을 잘 모르면서도 한국어를 유창하게 한다. 문법지식은 언어학습의 보조적 수단일 뿐이다. 1) 시그마와 생략 요약(1) ⓐ ν, μ, ρ, λ, ντ, νδ, νθ 등은 뒤에 σ가 이어지면 생략되고, ⓑ σ 는 뒤에 ν가 이어지면 생략되며, 그 보상으로 앞에 오는 모음은 장음으로 변한다(Homeric Greek 613).* σν으로 끝나는 단어는 없다. σν이 포함된 단어는 σ로 끝나는 전치사와 ν로 시작하는 단어의 합성어 등에서 간혹 보인다.(2) 동사 아오리스트(무정시제) 변화 등에서 어간 끝이 ν, μ, ρ, λ 등이고 뒤.. 2022. 6. 11.
그리스어 철자법의 특징 -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그리스어 철자법의 특징 -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1) 소리나는 대로 적는 철자법 언어생활이 문자가 아니라 소리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고대의 그리스어는 글자를 소리나는 대로 적었다. 매우매우 정직하게 적었다. 발음이 생략되면 글자도 생략해 버렸다. 현대 한국어는 소리나는 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어원을 밝혀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고대 그리스어는 중세 한국어처럼 철저하게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맞춤법은 언어생활에서 문자의 비중이 커질 때 그 필요성도 커진다. 2) 묵음현상 고대 그리스어에는 글자를 써놓고도 읽지 않는 묵음현상은 없었다. 그리스어에서 묵음현상은 고전 시대로부터 1천 500여년쯤 지난 중세 11세기경에 처음으로 나타났다. 이때부터 단어의 구별을 위하여 이오타 하기를 쓰되 발음하지.. 2022. 6. 11.
그리스어 ου의 발음 - ‘오우’ 또는 ‘우-’ 그리스어 ου의 발음 - ‘오우’ 또는 ‘우-’ 1) κόρη와 κούρη, ὄρος와 οὖρος의 발음 소녀, 딸 등을 뜻하는 κόρη는 κούρη라고도 쓴다. 도리스 방언으로는 κώρᾱ라고도 한다. 현재 통용되는 표준 고대 그리스어 발음은 다음과 같다. ① 표준 발음 κόρη (꼬레-) κούρη (꾸-레-) κώρᾱ (꼬-라-) 반면에, 고전시대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② 고전시대 발음 κόρη (꼬레-) κούρη (꼬우레-) κώρᾱ (꼬-라-) 고대사회는 언어소통이 문자가 아닌 소리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소리 중심의 언어에서 ‘꼬레’와 ‘꾸-레-’는 다른 소리이다. 반면에 ‘꼬레-’와 ‘꼬우레-’는 같은 음성계통이고 ‘꼬라 (κόρᾱ, 도리스, 아이올리스)’ 또는 ‘꼬-라(κώρᾱ, 도리스)’.. 2022. 6. 10.
명사 3변화 - ι, υ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ι, υ 어간 명사 1) ι, υ 어간 명사 개요ι, υ 어간 명사는 어간 끝이 닫힌모음(자음성 모음)으로 끝난다.  크게 ⓐ ι, υ 어간(ευ, αυ, ου 어간 제외)와 ⓑ ευ, αυ, ου 어간,  ⓒ οι 어간 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ι 어간  πόλις, πόλεως, ἡ,  도시, 국가 (3변화, 어간 πολι- ) δύναμις, δυνάμεως, ἡ : 힘, 능력(3변화, 어간 δύναμι-) μῆνις, μήνιος, ἡ : 분노( 3변화) υ 어간 πῆχυς, πήχεως, ὁ,  팔뚝, 아래팔 (3변화, 어간 πηχυ-) ἄστυ, ἄστεως, τό, 마을, 도시 (3변화, 액센트 불규칙) ἰχθῡ́ς(ἰχθῦς), ἰχθύος, ὁ,  물고기 (3변화) ευ .. 2022. 6. 2.
명사 3변화 - 불규칙 σ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불규칙 σ 어간 명사 1) 변형 εσ어간 명사 ος형 υἱός, υἱέος, ὁ, 아들, 아이 (3변화, 어간 불규칙) cf. ὑός, ὑέος, ὁ, 아들, 아이 (2변화, 어간 불규칙) 어간 : υἱές-, υἱός- ; ὑές-, ὑός-, υἷς- * υἱός는 어형변화에 2개의 어간(υἱές-, υἱός-)을 사용하고 있고, ὑός는 어형변화에 3개의 어간(ὑές-, ὑός-, υἷς-)을 사용하고 있다. 만약 어간이 ο나 ε로 끝난다면 3변화 어미가 올 수 없으므로 σ어간 명사로 보이며, σ는 모음 사이에서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 υἱός는 2변화 규칙 변화형도 있다(υἱός, υἱοῦ, 등, ὑός, ὑοῦ 등). * 어간이 불규칙이며, 어미는 규칙적이다. * 주격 단수와.. 2022. 5. 31.
명사 3변화 - σ 어간 명사 (εσ-, ασ-, οσ- 어간) 명사 3변화 - σ 어간 명사 : -ης, -ος, -ας, -ως형 명사(εσ-, ασ-, οσ- 어간) 명사 3변화 - σ 어간 명사Consonant-Declension Nouns: σ-stems 시그마(σ) 어간 명사는 기본형이 -ης, -ος, -ας, -ως(εσ-, ασ-, οσ- 어간)로 끝나는 명사이다. σ 어간 명사는 어간을 기준으로 ⓐ εσ 어간  ⓑ ασ어간, 그리고 ⓒ οσ 어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ε, α, ο는 열린모음들이다(만약 어간이 α, ο로 끝난다면 명사 1, 2변화에 속한다). 명사의 실제 형태를 기준으로 나누면 아래와 같다. ⓐ ης, ος형 명사(εσ 어간)   ⓑ ας형 명사(ασ어간)  ⓒ ως형 명사(οσ 어간) ☞ ι, υ 등 닫힌모음은 시그마 어간을 형성하.. 2022. 5. 31.
명사 3변화 - 불규칙 ν, ρ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유비음 불규칙 ν, ρ어간 명사 유비음 어간 명사는 어간이 유음이나 비음으로 끝나는 명사이다. 1) ρ어간 명사 불규칙 (1) χείρ, χειρός, ἡ, 손, 손바닥 (3변화) 어간 : χειρ-, χερ- * 어간 χερ-는 복수 여격과 쌍수 속격 여격에서만 보인다. * 어간이 χειρ-와 χερ- 등 2가지 형태로 쓰이고 있다. ε와 ει의 상호전환은 그리스어에서는 빈번하게 보인다. * 어미는 매우 규칙적으로 변하고 있다. (2) μάρτυς, μάρτυρος, ὁ, ἡ : 순교자(martyr), 목격자(witniss) 어간 : μάρτυρ- * 단수 주격 μάρτυς ← μάρτυρ + ς ☞ ρς에서 ρ가 생략되었다. 일반적으로 ν, ρ어간명사는 뒤의 ς가 생략된다. 참.. 2022. 5.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