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214

호머 그리스어 ὅς, ἥ, ὅ ⓐ 대명사 ⓑ 관계대명사 호머 그리스어  ὅς, ἥ, ὅ : ⓐ 대명사 ⓑ 관계대명사 1)  ὅς, ἥ, ὅ (1) 뜻 호머 그리스어에서는 관계대명사로 쓰일 뿐만 아니라 대명사로도 쓰였다. 고전 그리스어에서는 주로 관계대명사로 사용된다. ὅς, ἥ, ὅ ⓐ (관계대명사) 그런데 그가(그녀가, 그것이), ~인, ~한(who, which, that) ⓑ (대명사) 그, 그녀, 그것, 이것(호머 그리스어) * 고전 그리스어에서는 관용구 형태로 사용됨참고 :  ὅς, ἥ, ὅν ⓐ (소유형용사) 그의, 그녀의, 그것의 ⓑ (소유대명사) 그의 것, 그녀의 것, 그들의 것 ☞ 호머 그리스어(서사시 그리스어)와 고전 그리스어 또는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사용했던 관계대명사를 비교하면 단수 속격과 복수 여격에서 차이를 보인다. ① 단수 속격 비교.. 2021. 9. 1.
ὅς, ἥ, ὅ ⓐ 관계대명사 ⓑ 그가, 그녀가, 그것이(인칭대명사) - 그리스어 ὅς, ἥ, ὅ  : ⓐ 인칭대명사 ⓑ 관계대명사 1) 대명사 ὅς, ἥ, ὅ (1) 뜻ὅς, ἥ, ὅ는  ⓐ 인칭대명사와 ⓑ 관계대명사  등으로 사용된다ⓐ (관계대명사) ~인, ~하는, 그런데 그가(그녀가, 그것이)(who, which, that)ⓑ (대명사)  그가, 그녀가, 그것이, 이것이(he, she, it)* 중성 대격 ὅ는 대격부사용법의 접속사로도 쓰인다. ~때문에, ~라는 점에서, ~인 것참고 :  ὅς, ἥ, ὅν (소유형용사) 그의, 그녀의, 그것의ὅς(관계대명사, 대명사)와 ὅς(그 자신의, 그녀 자신의, 그 자체의, 그들 자체의, 형용사)의 원래 어형은 σϝος로, σ가 생략되고 뒤의 모음이 기식음화하여 ὅς가 되었을 수 있다. 같은 계통의 라틴어는 suus(그 자신의, 그녀 자신의.. 2021. 8. 31.
소유형용사(소유대명사) 정리 -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고대 그리스어 소유형용사(소유대명사) 정리 1) 소유형용사(possessive adjective) 요약 2) 소유표현 설명 ◈ 대명사와 형용사 활용에서 한국인이 주의할 점 3) 고대 그리스에서 소유를 나타내는 방법 1) 소유형용사(possessive adjective) 요약 ㅇ 그리스어에서는 소유를 나타낼 때, 대명사의 속격보다는 소유형용사를 주로 사용한다. 라틴어에서는 소유를 표현할 때 인칭대명사의 속격 대신 주로 소유 형용사를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어는 양쪽을 다 쓰지만 일반적으로 소유의 의미를 가진 형용사를 주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며, 라틴어는 소유를 나타낼 때는 거의 소유 형용사만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영어의 소유형용사는 다른 개념이다. 영어에서는 대명사의 소유격을 '소유형용사(= 대명.. 2021. 8. 31.
그리스어 글자체 - 파피루스체, 언셜체, 커시브체(필기체) 그리스어 글자체 - 파피루스체, 언셜체, 커시브체(필기체) 1) 파피루스체(대문자) 파피루스는 식물의 껍질이므로 표면이 거칠어 글자를 쓸 때 여러 획으로 나누어 쓰며, 주로 직선을 많이 사용한다. 따라서 파피루스체는 각진 모양의 글자체이다. 아래 예시는 기원전 3세기경의 파피루스에 쓰여진 글자들이다. 당시에 Σ는 C로 바뀌어 로마 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고대에는 대문자만 사용하였다. 이를 소문자와 대비하여 매저스큘(Majuscule)이라고 한다. 2) 언셜체(대문자) 기원 후 4세기부터 8세기 사이에는 양가죽이나 소가죽 등에 글을 쓰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양피지(또는 우피지)에 쓰기 적합한 언셜체(Uncial script)가 새로 고안되어 사용되었다. 파피루스체가 한 글자를 쓸 때 여러 획을 사용.. 2021. 8. 24.
전치사와 후치사, 전접어와 후접어, 전치접어와 후치접어 전치사와 후치사, 전접어와 후접어, 전치접어와 후치접어한국어로 번역된 외국어 문법용어.  "전(pro) 접어(clitic)를 '후접어'로 번역해 놓고, '그'는 얼마나 흐믓했을까?"1) 전치사와 후지사전치사(preposition)는 낱말 앞에 오면서 뒤에 오는 낱말을 문장의 다른 성분과 결합하는 기능어이다. for six years(6년 동안)에서 for가 전치사이다.  후치사(postposition)는 작용대상이 되는 낱말 뒤에 오면서, 앞에 있는 명사나 대명사를 문장의 다른 성분들과 연결시켜 문장을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치사와 후치사는 위치만 다를 뿐  문장에서 비슷한 기능을 담당한다. 영어에서는 후치사가 드물지만 ago 등이 여기에 속한다. ㅇ 영어의 후치사의 예ⓐ Sixty years ag.. 2021. 8. 13.
영어에서 보이는 중동태 (중간태)의 흔적 영어에서 보이는 중동태의 흔적 1) 영어 표현에 있는 태의 교착현상 영어의 중동태라고 소개되는 예문들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중동태라기보다는 태의 교착현상이다. ㅇ Cashmere jumpers don't wash well in a washing machine(캐쉬미르 점퍼가 세탁기에서 잘 세탁이 안된다). 이 문장에서 wash는 능동의 표현이지만 주어인 캐쉬미르 점퍼가 뭔가를 세탁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문장들도 영어의 중동태의 예시들로 보인다. ㅇ Your transration reads well(너의 번역은 읽기 쉽다). 주어가 '번역'인데 주어가 뭘 읽은 것이 아니다. ㅇ I'm to blame(내 탓이다, 내가 누군가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비난의 대상이다), ㅇ room to let(세놓.. 2021. 8. 11.
σφεῖς(그들, 그들 자신, 3인칭 복수) σφεῖς(그들, 그들 자신, 3인칭 복수)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1) σφεῖς(그들, 복수)의 격변화 뜻 : 그들(대명사), 그들 자신(재귀 대명사)☞ 호머의 시에는 사격의 용례만 나온다. 이형이 많다. 어근 : σφ-주격 : σφεῖς : 그들이 속격 : σφῶν, σφείων, σφέων, σφεων : 그들의 여격 : σφίσι(ν), σφισι(ν), σφι(ν) : 그들에게 대격 : σφᾶς, σφας, σφέας, σφεας, σφε (남/녀), σφέα, σφεα(중성) : 그들을 호격 : — ㅇ σφεῖς는 σφ-와 εῖς의 결합한 것이다. εῖς는 ἡμεῖς(우리들은)의 εῖς와 같다. ㅇ 대격을 제외하면 남성 여성 중성형이 공통이다. 대격에서만 남여성형과 중성형이 다르다. .. 2021. 8. 1.
οὗ = εἷο = ἑο (그의, 그녀의, 그것의, 3인칭 인칭대명사, 단수 속격) 호머 그리스어 οὗ = εἷο = ἑο (그의, 그녀의, 그것의 ) - 인칭대명사 3인칭 단수 속격 (호머 그리스어) 1) 3인칭 대명사οὗ = εἷο = ἑο (그의, 그녀의, 그것의, 3인칭 단수)는 속격 단수이다. 주격은 없다. 아마도 주격에는 ὅς를 쓴 것으로 보인다.εἷο, ἑο, οὗ (그의, 그녀의, 그것의, 3인칭 단수 속격) σφεῖς (그들, 그들 자신, 3인칭 복수) σφωέ (그둘 둘, 그둘 자신, 3인칭 쌍수) ㅇ 그리스어는 동사 어미에 인칭과 수가 나타나므로, 인칭대명사를 잘 쓰지 않는다. 만일 사용한다면 강조의 의미이다. 3인칭 대명사의 주격은 사용하지 않으며, 강조를 위해서는 3인칭 재귀대명사 주격을 사용한다.(발음)속격 : οὗ(후~), εἷο(헤이오), ἕο(헤오), ἑο(헤오), εὗ.. 2021. 7. 31.
αὐτός, αὐτή, αὐτό - 3인칭 대명사, 강조 대명사 αὐτός, αὐτή, αὐτό  -  3인칭 대명사, 강조 대명사 1) αὐτός, αὐτή, αὐτό의 뜻(1) 인칭 대명사(사격으로만 쓰임)  : 그, 그녀, 그것, 그들(3인칭 대명사) ☞ 원래 3인칭 대명사는 단수는 εἷο [ἕο] (그, 그녀, 그것)이고, 복수는 σφεῖς(그들), 쌍수는 σφωέ [σφώ](그들 둘)이다. (2) 강조대명사(Intensive Pronoun) : 직접, 스스로 (1, 2, 3칭에 모두 사용한다)→ 사격은 속격 여격 대격을 말한다.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 인칭대명사가 아니라 강조대명사로 직접, 스스로 등의 뜻이다. ◈ αὐτός가 1인칭과 2인칭에서 강조로 쓰이는 예⒜ 1인칭 강조 ἄγω ..... αὐτὸς ἰὼν κλισίηνδε(일리아스 1권 185행) 내가.. 2021. 7. 20.
호머 그리스어 σύ, τύνη 2인칭 대명사 호머 그리스어 2인칭 대명사호머시대 그리스어(서사시 그리스어)에서는 고전 그리스어 또는 코이네 그리스어에서는 잘 쓰지 않았던 2인칭 대명사가 있다. 아래 표에서 청색으로 표시하였다.  *청색은 고전그리스어와 다른 형단수 주격 : σύ [τύνη] 속격 : σεῖο, σεο [σέο, σεῦ, σευ, σέθεν]  여격 : σοί, τοι [τεΐν]  대격 : σέ, σε  호격 : σύ [τύνη] 복수 주격 : ὑμεῖς [ὔμμες] 속격 : ὑμείων [ὑμέων] 여격 : ὑμῖν [ὔμμιν, ὔμμι, ὕμιν] 대격 : ὑμέας [ὔμμε] 호격 : ὑμεῖς [ὔμμες] 쌍수  주격 : σφῶι, σφώ 속격 : σφῶιν, [σφῷν] 여격 : σφῶιν, [σφῷν] 대격 : .. 2021. 7. 20.
우리말에 있는 고대 그리스어 액센트 우리말에 있는 고대 그리스어 액센트 1. 우리말에 고대 그리스어의 곡강세(↷, 서컴플렉스)와 상강세(↗, 어큐트)를 닮은 액센트가 있다. 고대 그리스어는 강세 액센트(stress accent)가 아니라 고저액센트(pitch accent, 성조 액센트 tone accent)이다. 2. 어느 날 나이 지긋한 부부가 바닷가에 놀러 갔다고 한다. 부인이 바다를 배경으로 남편의 사진을 찍어주고 있는데, 옆으로 지나가던 아주머니들이 말했다. "요양 보호사세요?↗" 남편은 얼굴이 벌개지고, 깜짝 놀란 부인이 말했다. "아니예요~, 저의 남편이예요~" 이 말을 들은 아주머니들의 다음 말이 남편을 더 화나게 하였다고 한다. 남편에게 마치 아이를 달래듯이 말했다고 한다. "어르시↗인↘, 미안해요오↗" 그 뒤로 남편은 바다.. 2021. 7. 20.
ἑγώ, ἐγών 호머 그리스어 1인칭 대명사 호머 그리스어 1인칭 대명사고전그리스어 또는 코이네 그리스어에서는 잘 쓰지 않지만 호머시대 그리스어(서사시 그리스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1인칭 대명사가 있다. 아래 표에서 청색으로 표시하였다. 표 : 호머 그리스어 1인칭 대명사① 단수  주격 : ἑγώ, ἐγών 속격 : ἐμεῖο, μευ [ἐμεῦ, ἐμέο, ἐμέθεν] 여격 : ἐμοί, μοι 대격 : ἐμέ, με 호격 : ἑγώ, ἐγών ② 복수  주격 : ἡμεῖς [ἄμμες] 속격 : ἡμείων [ἡμέων] 여격 : ἡμῖν [ἄμμι, ἄμμιν, ἥμīν, ἧμīν] 대격 : ἡμέας [ἧμας, ἥμεας, ἄμμε] 호격 : ἡμεῖς [ἄμμες] ③ 쌍수  주격 : νῶι, νώ 속격 : νῷν [νῶιν] 여격.. 2021. 7. 19.
인칭대명사 ἐγώ와 σύ- 1인칭과 2인칭 - 고대 그리스어 그리스어 인칭대명사 ἐγώ와 σύ - 1인칭과 2인칭 그리스어는 동사가 인칭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동사 자체에 인칭의 의미가 들어있다. 따라서 별도로 강조해서 말하는 경우가 아니면 보통 인칭 대명사를 생략한다. 특히 3인칭 대명사 주격은 거의 잘 쓰이지 않는다. 강조하지 않고 인칭 대명사를 써야할 경우, 비강조형 인칭 대명사를 사용한다. ἐμοί(나에게) 대신 μοι(나에게)를 사용한다든지 ἐμέ(나를) 대신에 με(나를)를 사용하는 것이 여기에 속한다. 1) 인칭대명사(Personal Pronouns) 1인칭과 2인칭 (1) 1인칭 (주격, 속격, 여격, 대격 순. 이하 동) ⓐ 단수 : ἐγώ, ἐμοῦ [μου], ἐμοί [μοι], ἐμέ [με] ⓑ 복수 : ἡμεῖς, ἡμῶν, ἡμῖν, .. 2021. 7. 19.
그리스어 자음성 모음, 또는 반모음 그리스어 반모음 또는 자음성 모음 1) 자음성 모음 고대 그리스에서 ι와 υ는 모음으로도 기능하지만, 조건에 따라 자음으로도 쓰인다. 이들이 자음으로 쓰일 때, 각각 자음성 ι(Consonantal ι)와 자음성 υ(Consonantal υ)라고 한다. 반모음 또는 반자음이라고도 하고, 발음할 때 입을 오므리게 되므로 아 에 오(α, ε, η, ο, ω)등 열린 모음(open vowel)과 구별하여 닫힌모음(closed vowel)이라고도 한다. ι와 υ가 자음으로 기능할 때는 영어의 y[j]나 w[w]와 같이 뒤에 오는 모음과 결합하여 소리를 만든다. you(유)나 work(워크)에서 y나 w는 뒤의 모음과 결합하여 소리를 내므로 모음성 자음에 해당한다. 자음은 모음과 결합하여야 온전한 소리를 낸다. .. 2021. 7. 19.
모음과 자음, 그리고 모음성 자음(Sonant Consonant) _ 유비음 모음과 자음, 그리고 모음성 자음(Sonant Consonant) 1) 정의 모음은 독립적으로 소리를 내는 음이다. 자음은 모음과 결합하여야 정상적인 소리를 낸다. 모음성 자음은 자음이면서도 특정 조건에서는 모음처럼 독립적으로 소리를 낸다. 자음성 모음(반모음)은 모음이면서도 특정조건에서는 자음처럼 기능한다. ☞ 반모음 ι, υ는 '자음성 모음'에 해당한다. 독자적으로는 모음으로 기능하지만, 뒤에 모음이 이어지면 자음으로 기능하여 뒤의 모음과 결합하여 소리를 낸다. 영어의 예를 들면, you(유)나 work(워크)에서 '자음성 모음' y나 w는 뒤의 모음과 결합하여 소리를 낸다. * 현실에서는 반자음과 반모음이 비슷한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영어로 표시하면 y나 w음에 해당한다. 2) 뜻 설명 모음(Vo.. 2021. 7. 15.
호머 그리스어, 호 헤 또 ὁ, ἡ, τό 호머 그리스어, 호 헤 또 ὁ, ἡ, τό 1)  ὁ, ἡ, τό의 의미(1) ὁ, ἡ, τό의 여러 뜻 ① 정관사 : 이, 그, 저 ② 인칭대명사 : 그, 그녀, 그것, (복수) 그들, 그것들 ③ 지시대명사 : 이것, 그것, (복수) 이것들, 그것들 ④ 관계대명사 : ⓐ ~인, ~한 ⓑ 그런데 그는..등등, 그런데 그 사람들은 .. 등등(2) 어형 변화표 청색으로 표시한 것들은 호머 시대 그리스어에서만 나온다. * 복수 주격 τοἱ와 ταἱ는 대명사(그들, 그것들)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주로 지시사나 관계사로 사용된다. * 가까운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접미사 -δε를 추가한 ὅδε, ἥδε, τόδε(이것, 여기)는 지시사(대명사 또는 형용사)로 쓰인다. ὅδε는 ὁ와는 달리 인칭대명사나 관계대명사 .. 2021. 7. 14.
그리스어 쌍자음 λλ과 단자음 λ의 발음에 대하여 그리스어 쌍자음 λλ과 단자음 λ의 발음에 대하여 자음 λλ는 λ보다 2배 길게 발음하다. 그리스어에서 쌍자음은 장자음이다. 그리스어는 모든 자음을 다 발음한다. 다른 자음과는 달리 λ을 우리말로 표현하려면 ἀληθής(알레-테-스, 진실한)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ㄹ이 필요하다. 따라서 λ보다 더 길게 발음해야 하는 λλ을 한글발음으로 표현하려면 '-'을 추가하여 장음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ἄγγελος(심부름꾼, 메신저, 천사) = 앙겔로스 (λ가 1개) ἄλλος(다른, 또 하나의) = 알-로스 ( λ가 2개) 이는 라틴어에서도 마찬가지다. l이 2개인 bellum(전쟁)과 l이 1개인 malus(나쁜)의 비교를 통해 l과 ll의 발음의 길이를 살펴 보시기 바란다. 이 경우 .. 2021. 7. 11.
이오타 하기(이오타 서브스크립트) ᾳ, ῃ, ῳ(ĀI ΗI ΩI)의 발음 이오타 하기(이오타 서브스크립트) ᾳ, ῃ, ῳ(ĀI ΗI ΩI)의 발음 1) ĀI ΗI ΩI(ᾱι, ηι, ωι)의 발음 (1) 고전 그리스어 ᾳ, ῃ, ῳ : 아-이, 에-이, 오-이 상고 그리스어에서 호머시대 그리스어(기원전 8세기)를 포함하여 고전그리스어 시기를 지나 기원전 1세기 전(코이네 초기)까지 이중모음으로 발음하였다. πρωΐ(쁘로-이, 새벽)에서 ΐ 의 점 2개는 '분음부호'이며, ωΐ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지 말라는 표시이다. 역으로 보면 ωι는 이중모음이라는 의미이다. 현대에 출판된 고전 그리스어 교재에도 ᾱι, ηι, ωι 등의 표기법이 종종 보인다. (2) 코이네 후기 그리스어 ᾳ, ῃ, ῳ : 아-, 에-, 오- 기원전 1세기 이후에 이오따의 발음은 생략되었으며 현재도 발음하지 .. 2021. 7. 8.
능동태 분사와 형용사의 1-3변화의 어미 정리 분사(능동)와 형용사의 1-3변화의 어미 정리 1) 분사와 형용사의 1-3변 어미능동태 분사의 1-3변화나 형용사 1-3변화의 세세한 설명은 싫고, 요점만 알고 싶다면, 아래 격어미를 먼저 기억해 두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예외가 있으니 유의한다. 그리스어에는 개별적으로 기억해 달라는 낱말이 많은 편이다.능동태 분사는 1-3변화만 있고, 형용사는 1, 2, 3변화가 모두 있다.① 남성 변화 (3변화)단수 : ς, ος, ι, α [ν], ─(스, 오스, 이, 아, 무)복수 : ες, ων, σι, ας [νς], ες (에스, 온-, 시, 아스, 에스) * 3변화 호격은 원칙적으로 어간과 같다. 그러나 분사의 호격은 주격을 사용한다.② 여성 변화 (1변화 중 단모음 α 변화)단수 : α, ης, ῃ,.. 2021. 7. 7.
분사 (14) εἰμί(이다) 동사의 분사 정리 분사 (14) εἰμί(이다) 동사의 분사 정리εἰμί 동사의 현재분사는 능동 분사어미를 사용하고 미래분사는 중수동태 분사어미를 사용한다.1) εἰμί(이다) 동사의 현재분사 ὤν, οὖσα, ὄν : ~ 인 (1-3 변화) 어간 : ὄντ-구조 : ὤν ← 어간 ὄντ + ς (ν 뒤의 τς 생략 후 ο는 ω로 보상성 장음화)* εἰμί의 현재분사는 숨표와 액센트를 제외하면, ω동사의 현재 능동 분사어미와 같다.* 일반적으로 단음절어는 액센트가 마지막 음절에 오지만, 분사의 단음절어는 이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ὤν, ὄντος (not ὀντός), στᾱ́ς, στάντος ㅇ ὤν = ἐών, ὄντα = ἐόντα ☞ εἰμί의 어간이 εσ-이므로 ἐών, ἐόντα 등이 원형이며, ὤν, ὄν.. 2021. 7. 7.
부정사의 종류와 특징 _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부정사의 종류와 기본적인 특징 1) 부정사의 기본 어형(5가지 시제) * 현재, 미래, 무정, 완료 부정사가 주로 사용된다. (1) 현재부정사 - 진행 또는 반복되는 일(미완료). 주동사의 시제를 따른다. λῡ́ειν(푸는 것;능동태), λῡ́εσθαι(푸는것; 중동태), λῡ́εσθαι(풀려지는 것; 수동태) (2) 미래부정사 - 진행이나 반복되는 일(미완료). 주동사보다 앞선다. λῡ́σειν(풀 것;능동태), λῡ́σεσθαι(풀 것;중동태), λυθήσεσθαι(풀려질 것;수동태) (3) 무정부정사 (아오리스트 부정사) - 단순 사실(단순). 완료적 성격의 시상을 유지하면서 주동사의 시제를 따른다. 주동사가 미래면 무정부정사는 미래의 일을 나타낸다. λῦσαι(푼 것; 능동태), λῡ́σασθαι.. 2021. 6.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