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그리스어 문법 _ 어형론214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 고대 그리스어 동사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 고대 그리스어 동사 1)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법 사용빈도 측면에서 볼 때 그리스어 고대 문헌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동사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어떤 통계에 의하면, 현재시제는 48.4%이고, 무정시제는 28.5%이며, 미완료시제는 11.8%이다. 이 3가지를 모두 합하면 88.7%나 된다. 기타 완료시제가 5.9%, 미래시제가 4.4% 그리고 과거완료시제가 0.5% 등이다. 서법(Mood)별로 낸 사용빈도 통계를 보면, 직설법이 44.9%이고, 분사가 25.6%이며, 부정사가 17.9%이다. 이를 모두 더하면 88.5%이다. 기타 접속법은 4.3%, 희구법은 4.2%, 명령법은 2.7%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우리가 동사를 공부할 때 어느 부분을 먼저 익혀야 할지.. 2020. 12. 15.
고대 헬라어 알파벳 χ(키-)의 발음에 대하여 고대 헬라어 알파벳 χ(키-)의 발음에 대하여 1) 알파벳 χ(키-)의 발음Χ, χ  : 키~(χῖ) chi ; ch(ㅋ), k-h 고전 그리스어 알파벳 χ의 발음은, 목안쪽에서 입천장 부위로 바람을 터트리면서 내는 ‘k-h(크)’음이다. 기식음이므로 h(ㅎ)음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어의 격음 '크'음과 거의 같은 소리이다. 고전 그리스어 χ(크)음은 구개음에 해당한다. χ음은 역사적 변천을 거친 후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흐'음으로 바뀌었다. 영어는 p, t, k의 발음이 기본적으로 기식음(격음)이고, 격음과 경음을 구별하지 않으므로, χ(ㅋ)음을 k(ㄲ)음과 구별하기 위하여 '흐'로 발음하는 사람들도 있다.  혀짧은 선생님이 '바담풍'한다고 해서 혀가 멀쩡한 우리가 '바담풍'이라고 할 이유는 없다. 이.. 2020. 12. 15.
고대 헬라어 알파벳 θ의 발음에 대하여 고대 헬라어 알파벳 θ의 발음에 대하여 1) 알파벳 θ(테~따)의 발음 Θ θ, 테~따(θῆτα) theta ; th(ㅌ), t-h 고전 그리스어 알파벳 θ의 발음은 혀끝을 잇몸(alveolar)에 대고 바람을 터트리면서 내는 ‘t-h(트ㅎ)’음이다. 기식음이므로 h(ㅎ)음이 포함되어 있다. 이건 영미식 표기이고, 한국말로 표현하면 '트'음이다. 영어의 쓰[θ]음이 아니고 한국어 '트'음과 발성 방식이 비슷하다. 영어의 th[θ] 음은 혀끝을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대고 그 사이로 바람을 통과시켜 내는 치음(dentals)이다. 고전 그리스어의 θ(트)음은 치경음이다. θ음은 역사적 변천을 거친 후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영어의 [θ] 음과 같은 소리를 낸다. 영어는 p t k의 발음이 기본적으로 기식음(격음.. 2020. 12. 14.
고대 헬라어 알파벳 φ(피-)의 발음에 대하여 1) 알파벳 φ(피-)의 발음 ​Φ φ, 피~(φῖ) phi ; ph(ㅍ), p-h 고전 그리스어 알파벳 φ의 발음은 두 입술을 붙혔다가 바람을 터트리면서 내는 ‘프(p-h)’이다. 기식음이므로 h(ㅎ)음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영미식의 설명이고, 실제로는 한국어 '프'에 가깝다. 영어의 f 음이 아니다. 영어의 f 음은 윗니를 아랫입술에 댔다가 떼면서 내는 소리(순치음)이지만, 한국어 '프'는 양 입술로 내는 소리(양순음)이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φ를 f 음으로 발음한다. 예를 들면, Philosophia를 고대 그리스어식으로 발음하면 우리말 '필로소피아'와 같다. 고전 라틴어식으로 발음해도 같은 소리이다(영어식 f 발음과는 다르다). 그런데, 영어는 p, t, k의 발음이 기본적으로 기식음(격음)이.. 2020. 12. 14.
H음(ㅎ음)에 대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고민 H음(ㅎ음)에 대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고민 1) H음(ㅎ음)이 나타낸 두 가지음 고대 그리스에는 여러 방언들이 존재하였다. 나중에 아테네인들이 사용하던 아티케 방언(아티카 방언)이 점차 전체 그리스인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고 고전 그리스어의 표준이 되었다. 알렉산더 대왕 이후에 형성된 코이네 그리스어는 아티케 방언이 그 바탕이었으므로, 현대 그리스어는 아티케 그리스어의 연장선상에 있다. 원래 아테네인들은 다른 방언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방언과 알파벳(old Attic alphabet)을 사용하였으나, BC 403년 공식적으로 이오니아 방언을 채택하면서 알파벳도 이오니아 알파벳(Ionic alphabet)을 채택하였다. 이오니아 알파벳을 채택하기 전 상고 아티케 알파벳(old Attic al.. 2020. 12. 11.
그리스어 발음(헬라어 발음)에서 유의할 점 고대 그리스어 발음에서 유의할 점 우리말로 외국어를 표현할 때 어려움이 있듯이, 영어로 외국어를 표현할 때도 어려움은 있다. 이는 모든 언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특징이다. 특정 언어 문화권의 발성법은 다른 언어권의 발성법과 다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특정 외국어의 소리를 다른 언어로 표시하려고 하면 항상 문제가 생긴다. 비록 완전하지는 않지만 국제음성부호(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음기호)를 제정한 것도 이 때문이다. 외국어를 공부하는 과정 중에 다소 틀리게 발음하거나 다르게 발음하는 것은 그렇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용감하게 큰 소리로 발음하면서 점차 고쳐나가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원래 음이 무엇인지 그 기준은 알고 있어야 한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은 장모음 ‘에-’나 ‘오-’를 제대로.. 2020. 12. 11.
그리스어 발음의 한글표기를 제안하며 그리스어 발음의 한글표기를 제안하며. 1) 고전 그리스어 발음은 한글로 표기가 가능하다. 놀랍게도 고전 그리스어(헬라어) 발음은 한국어로 다 표현할 수 있다. 먼저 그리스 자모에 대한 한글발음표기는 다음과 같다. α(아), β(ㅂ), γ(ㄱ, 또는 응), δ(ㄷ), ε(에), ζ(ㄷㅅ, 또는 ㅅㄷ), η(에-), θ(ㅌ), ι(이), κ(ㄲ), λ(ㄹ), μ(ㅁ), ν(ㄴ), ξ(ㄲㅅ), ο(오), π(ㅃ), ρ(ㄹ), σ, ς(ㅅ), τ(ㄸ), υ(위), φ(ㅍ), χ(ㅋ), ψ(ㅃㅅ,) ω(오-) 모음 2개가 모여 이중모음을 이루는 발음도 한글로 표기가 가능하다. αι(아이), αυ(아우), ει(에이), ευ(에우). ηυ(에-우), οι(오이), ου(우-), υι(위이) ᾱι(아-이), ηι(에.. 2020. 12. 9.
고대 그리스어의 자음분류 (헬라어) 고대 그리스어의 자음분류 ​ 1) 발음 기관에 따른 분류 (1) 양순음(Labials) : π(ㅃ), β)ㅂ) , φ(ㅍ) - 두 입술 사이에서 내는 소리 (2) 치경음(alveolar) : δ(ㄷ), τ(ㄸ) , θ(ㅌ), v(ㄴ), ρ(ㄹ), σ(ㅅ) - 혀끝과 윗잇몸(치경) 사이에서 나는 소리 ​(2) 구개음(Palatals) : γ(ㄱ) , κ(ㄲ) , χ(ㅋ) - 혀와 입천장 사이에서 내는 소리 * 여기서 말하는 치경음(alveolar)은 치음(Dentals) 또는 설음(Linguals)이라고도 한다. 혀(설)와 잇몸 사이(치경)에서 나는 소리의 다른 표현이다. 2) 발음의 방법에 따른 분류 ​(1) 기음(Breathings) ○기식음(Aspirate); ㅎ 음(h sound)이 포함되는 소리... 2020. 12. 9.
고전 그리스어 발음(고전 헬라어), 코이네 헬라어 발음(코이네 그리스어), 신약발음 고전 그리스어 발음(고전 헬라어), 코이네 헬라어 발음(코이네 그리스어), 신약발음1) 고전 헬라어 발음과 코이네 헬라어 발음의 비교 라틴어는 '고전발음'과 '교회발음'으로 나누어서 발음 설명을 한다. 그러면 헬라어도 '고전발음'과 '신약발음'으로 나눌 필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신약은 서기 1세기 경(아마도)에 그리스어로 성립되었다. 따라서 기원전 5세기 고전 그리스어 시기의 발음과 코이네 그리스어 시기의 발음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 결론만 알고 싶으신 분을 위해 - "이오타 서브스크립트의 묵음화를 제외하고는 거의 차이가 없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헬라어 문자, 고전발음, 1세기경의 발음, 한글발음표시 등의 순서로 제시하였다.   (1) ᾳ ῃ ῳ에서 이오타.. 2020. 12. 6.
헬라어 ευ의 발음에 대하여 헬라어 ευ의 발음에 대하여 1) 헬라어 ευ의 발음 헬라어 ευ나 라틴어 eu의 발음은 '유'가 아니라 '에우'이다. 미국의 헬라어 신학자들은 대부분 '유'라고 발음하는데, 발음문제도 주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창세기 4장 21절에 등장하는 인물인 히브리어 '유발(יוּבָ֑ל)'은 70인역 헬라어 성경에서는 유발('Ιουβάλ)로 음역되어 있고, 라틴어 성경에서는 유발(Iubal)로 음역되어 있다. 고대 헬라어 구약을 번역할 때도 히브리어 원본을 바탕으로 하였고, 요즘 쓰이는 라틴어 성경도 히브리어 원본을 바탕으로 번역하였다. 만약 라틴어 eu나 헬라어 ευ가 '유' 발음이라면 유발은 ευβάλ과 eubal로 음역되었을 것이다. 2) ευ 발음의 변천과정 - ευ는 '유'로 발음된 적이 없다.. 2020. 12. 5.
동사의 6가지 기본형(Principal parts)과 그 의미 _ 고대 헬라어 (그리스어) 동사의 6가지 기본형과 그 의미 1) 동사의 6가지 기본형(Principal parts : 사전에 제시되는 형)의 의미 그리스어 동사는 시제 법 태 인칭 수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하는데, 여기에서 제시하는 기본형들을 미리 기억하고 있어야 여러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6가지 형태가 있는데, 특정 동사는 일부만 존재한다. 모두 직설법 단수 1인칭이다. 이 중에서 사전의 맨 앞에 제시되는 표제형(lemma)은 현재시제 능동태(또는 중동태) 단수 1인칭이다.①현재시제 능동②미래시제 능동③무정시제 능동④완료시제 능동⑤완료시제 중동-수동⑥무정시제 수동* 1, 2, 3번째 기본형은 능동태가 없으면 중동태가 제시된다. * 그리스어에는 과거에 일어난 일을 나타내는 시제가 4가지이다. ① 미완료시제(과거 어느 .. 2020. 11. 30.
능동태, 중수동태, 중동태(중간태), 수동태, 그리고 탈형동사 (이태동사, 이상동사, 디포넌트동사) 능동태, 중수동태, 중동태(중간태), 수동태, 그리고 탈형동사 (이태동사, 이상동사, 혼동태, 디포넌트동사) 1) 3가지 태(voice)문법에서 태는 양태라고도 한다. 동사가 표현하는 행위나 상태에 대한 주어의 역할이 어떠한지를 나타내는 동사의 표현법이다.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3가지의 태가 있다. (1) 능동태(active voice) - 주어가 동사의 주체가 되는 것. 어떤 행위를 하는 것.(2) 수동태(passive voice) - 주어가 어떤 행위의 대상이 되는 것. 동사의 행위를 당하는 것.(3) 중동태(middle voice, 중간태) - 행위의 과정이나 결과가 주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중간태라고도 한다. 중동태는 동사의 활용형태는 수동태이면서 뜻은 능동이다. 일부 시제에서는 중동태와 수.. 2020. 11. 20.
고전 그리스어 법(mood, 서법, 敍法)의 종류 고전 그리스어 서법(mood) - 동사의 활용1) 문법에서 법이란문법에서 말하는 법은 서법(mood)의 준말이다. 케임브리지 영어사전에서는 서법을 '말하는 사람의 의도가 사실을 말하는지, 명령을 하는지, 의지를 말하는지, 아니면 희망사항을 말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동사의 형태'라고 설명하고 있다. 국어사전에서는 서법(敍法)을 '동작·상태에 대한 말하는 이의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 동사의 어형 변화'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서(敍)는 펼치다는 의미이고, 법(法)은 방법이라는 뜻이다.  쉽게 말하면 서법은 '말의 의도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른 동사의 변화형' 정도의 의미이다. mood는 기본 뜻이 '분위기'이므로 '말하는 분위기'라고도 볼 수 있다.  여기까지 읽으면 '그래서 어쨌다고?'라는 느낌이 들 것이다. .. 2020. 11. 20.
고대 그리스어 시제(Tense), 시간(Time)과 시상(Aspect) 고전 헬라어 시제(Tense), 그리고 시간(Time)과 시상(Aspect)고대 그리스어에는 7가지 시제가 있으며, 이들이 9가지 시간적 상황을 나타낸다. 영국인이나 미국인들도 아오리스트 시제(무정시제)를 aorist past tense(부정 과거 시제) 또는 simple past tense(단순 과거 시제)라고는 하지 않는다. 그들도 아오리스트 시제(aorist tense)라고 한다. 1)  시제(Tense)와 시상(Aspect)의 의미(1) 시상(Aspect)영어나 한국어를 공부할 때는 시상(aspect)이라는 개념을 잘 몰라도 된다. 시제를 공부하다 보면, 시상에 대해서는 별 다른 의식없이 자연스럽게 그 개념을 체득한다. 그리스어를 공부할 때는 시상에 대한 개념도 알아두면 좋다.그리스어의 시상(as.. 2020. 11. 20.
곡용과 접용, 명사의 변화와 동사의 활용 - 문법용어 곡용과 접용, 명사의 변화와 동사의 활용 - 문법용어 ​1) 개요 우리는 어형변화를 말할 때, ‘동사의 변화’ 또는 ‘동사의 활용’이라고 하거나, ‘명사의 변화’ 또는 ‘명사의 활용’이라고 한다. 그런데 동사의 변화와 명사의 변화에 대해 별도의 용어를 가지고 있는 유럽인들은 이렇게 ‘동사의’ 라든가 ‘명사의’라는 수식어를 붙히지 않고 바로 표현한다. 매우 경제적이다. 그들은 동사의 인칭변화는 콘쥬게이션(conjugation)이라 하고, 명사 등의 격변화는 디클렌션(declension)이라고 한다. 이에 해당하는 우리말이 있다. 명사의 변화인 디클렌션(declension)은 곡용(曲用)이고, 동사의 변화인 콘쥬게이션(conjugation)은 접용(接用)이다. 변화라는 말이나 활용이라는 말은 어느 경우에나 .. 2020. 11. 18.
그리스어 문장 부호 - 숨표, 구두점, 인용부호 등 고대 그리스어 문장 부호 - 숨표, 구두점, 인용부호 등 1) 숨표와 구두점 등 문장 부호에 대하여고대의 그리스어는 모두 대문자였고, 구두점이나 숨표 등 특별한 문장 부호는 없었다. 알렉산드리아 그리스어(코이네 그리스어) 시대부터 부호와 구두점이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현재와 같은 구두점과 부호는 현대에 들어 정착되었다. 2) 숨표(Breathing Mark, 기음부호)그리스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에 숨표를 표시한다. 그리고 ρ로 시작하는 낱말에서 ρ는 항상 기식음이므로 글자 위에 강숨표를 표시하기도 한다.(1) 숨표의 종류 (가) 강숨표(rough breathing) : 기식음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낱말 앞의 υ나 ρ는 항상 기식음이다.(예) ἑορτή(헤오르떼-, 축제), ὕος(휘-오스, 아.. 2020. 11. 18.
그리스어 모음의 종류와 발음(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그리스어 모음의 종류와 발음1)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모음 아래 알파벳 중 빨간색 글자들이 모음이다.​대문자 :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소문자 :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ς) τ υ φ χ ψ ω 헬라어 모음에 대한 내용은, 스티븐 데이츠의 고전 그리스어 발음법, 옥스포드대 고전 그리스어 문법, 예일대 고대 그리스어 교재, 하버드대 고전 그리스어 문법책 등등을 주로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 ​2) 단모음과 장모음(1) 그리스어 모음은 장모음 5개 단모음 5개 이렇게 2세트가 있다. (2) 장모음은 단모음보다 2배 더 길게 발음한다.  (3) 그리스어의 모든 낱말은 기식음으로 시작하는지 아닌지를 알 수 .. 2020. 11. 12.
고전 그리스어 격변화의 종류와 의미 고전 그리스어 격변화에 대하여 1) 고전 그리스어 격변화의 종류와 의미 그리스어는 원래 8개의 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 중 몇 개의 격이 서로 통합되어 현재는 5개의 격으로 나누지만, 그 역할은 아직도 남아있다. 즉 속격은 문맥에 따라 속격일 수도 있고 탈격일 수도 있다. 명사 형용사 대명사는 이 변화를 따른다. (1) 주격(nom.) ~이, ~가. -> 주어를 나타낸다. (2) 속격(gen), 탈격(abl.) - 속격으로 통칭한다. 속격 : ~의. 소유격 탈격 ; ①~밖으로, ~로부터 . ② ~에 대하여, ~에. 기원 분리 원인 등을 나타낸다. (3) 여격(dat.) 구격(ins.) 처격(loc.) - 여격으로 통칭한다. 여격 : ~에게, ~를 위하여. 간접목적어. 행위의 결과를 받는 대상을 나타낸다... 2020. 11. 12.
그리스어 문법의 3대 영역 - 어형론, 구문론, 운율론 고대 그리스어 문법의 3대 영역 - 어형론, 구문론, 운율론 1) 문법이란 문법은 언어에 내재한 규칙을 정리한 것이다. 언어가 먼저 있고, 그 다음에 문법이 있다. 언어가 바뀌면 문법도 바뀐다. 문법이 언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언어의 변화가 문법의 변화를 이끈다. 2) 고대 그리스어 문법서의 특징 그리스어 문법서는 크게 3가지 영역으로 나뉜다. 그리스어로는 각각 에튀몰로기아 ἐτυμολογία(etymology), 쉰탁시스 σύνταξις(syntax), 프로소이디아 προσῳδία(prosody)라고 한다. (1) 어형론(Accidence, Words and Forms, Morphology) 어형론은 알파벳, 자음과 모음, 액센트, 발음규칙, 여러 품사의 변화형태, 어휘의 형성 등을.. 2020. 8. 25.
고대 그리스어 자음의 종류와 발음 (고대 헬라어) 고대 그리스어 자음의 종류와 발음 1) 그리스어 자음의 종류와 발음 α, β(ㅂ), γ(ㄱ), δ(ㄷ), ε, ζ(ㄷㅅ, 또는 ㅅㄷ), η, θ(ㅌ), ι, κ(ㄲ), λ(ㄹ), μ(ㅁ), ν(ㄴ), ξ(ㄲㅅ), ο, π(ㅃ), ρ(ㄹ), σ, ς(ㅅ), τ(ㄸ), υ, φ(ㅍ), χ(ㅋ), ψ(ㅃㅅ,) ω 2) 강기식과 약기식(기식음과 무기음) 발음할 때 '하'나 '크'처럼 ㅎ음(h sound)을 포함하여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스어에는 기식음이 매우 풍부하였으며, 그리스어의 모든 말의 시작은 기식음인지 아닌지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자음은 글자 자체가 기식음 유무를 나타내고 있고, 모음은 기식음 유무를 모두 표시하였다. 즉, 모음의 경우 기식음(῾)만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무기음 숨표(᾿)도 모.. 2020. 8. 11.
고전 그리스어 동사활용의 종류 고대 그리스어 문법에서 다루는 동사활용의 종류 1) 고전 그리스어 문법에서 다루는 동사활용의 종류와 범위 고전 그리스어에서 동사를 설명할 때 아래와 같은 분류에 따라서 설명한다. 각각의 분류에 따라 사용하는 동사의 형태가 다르다. 동사의 형태를 익히고 그 쓰임새를 익히는 것이 곧 동사를 공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문법서는 현재시제 직설법 능동태 일반동사와 탈형동사의 어형변화로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직설법은 언어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어법이고 기본이 되는 서법이기 때문이다. 그 변화가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고대 그리스인들이 감당할 수 있는 정도였을 것이다. 2) 언어는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배우고 익힐 수 있다. 고전 그리스어 동사의 변화를 보면 일견 복잡해 보이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언어는 그 .. 2020. 8.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