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 고대 그리스어 동사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서법 - 고대 그리스어 동사 1)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와 법 사용빈도 측면에서 볼 때 그리스어 고대 문헌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동사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어떤 통계에 의하면, 현재시제는 48.4%이고, 무정시제는 28.5%이며, 미완료시제는 11.8%이다. 이 3가지를 모두 합하면 88.7%나 된다. 기타 완료시제가 5.9%, 미래시제가 4.4% 그리고 과거완료시제가 0.5% 등이다. 서법(Mood)별로 낸 사용빈도 통계를 보면, 직설법이 44.9%이고, 분사가 25.6%이며, 부정사가 17.9%이다. 이를 모두 더하면 88.5%이다. 기타 접속법은 4.3%, 희구법은 4.2%, 명령법은 2.7%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우리가 동사를 공부할 때 어느 부분을 먼저 익혀야 할지..
2020. 12. 15.
그리스어 발음의 한글표기를 제안하며
그리스어 발음의 한글표기를 제안하며. 1) 고전 그리스어 발음은 한글로 표기가 가능하다. 놀랍게도 고전 그리스어(헬라어) 발음은 한국어로 다 표현할 수 있다. 먼저 그리스 자모에 대한 한글발음표기는 다음과 같다. α(아), β(ㅂ), γ(ㄱ, 또는 응), δ(ㄷ), ε(에), ζ(ㄷㅅ, 또는 ㅅㄷ), η(에-), θ(ㅌ), ι(이), κ(ㄲ), λ(ㄹ), μ(ㅁ), ν(ㄴ), ξ(ㄲㅅ), ο(오), π(ㅃ), ρ(ㄹ), σ, ς(ㅅ), τ(ㄸ), υ(위), φ(ㅍ), χ(ㅋ), ψ(ㅃㅅ,) ω(오-) 모음 2개가 모여 이중모음을 이루는 발음도 한글로 표기가 가능하다. αι(아이), αυ(아우), ει(에이), ευ(에우). ηυ(에-우), οι(오이), ου(우-), υι(위이) ᾱι(아-이), ηι(에..
2020. 12. 9.
능동태, 중수동태, 중동태(중간태), 수동태, 그리고 탈형동사 (이태동사, 이상동사, 디포넌트동사)
능동태, 중수동태, 중동태(중간태), 수동태, 그리고 탈형동사 (이태동사, 이상동사, 혼동태, 디포넌트동사) 1) 3가지 태(voice)문법에서 태는 양태라고도 한다. 동사가 표현하는 행위나 상태에 대한 주어의 역할이 어떠한지를 나타내는 동사의 표현법이다.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3가지의 태가 있다. (1) 능동태(active voice) - 주어가 동사의 주체가 되는 것. 어떤 행위를 하는 것.(2) 수동태(passive voice) - 주어가 어떤 행위의 대상이 되는 것. 동사의 행위를 당하는 것.(3) 중동태(middle voice, 중간태) - 행위의 과정이나 결과가 주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중간태라고도 한다. 중동태는 동사의 활용형태는 수동태이면서 뜻은 능동이다. 일부 시제에서는 중동태와 수..
2020. 11. 20.
그리스어 문장 부호 - 숨표, 구두점, 인용부호 등
고대 그리스어 문장 부호 - 숨표, 구두점, 인용부호 등 1) 숨표와 구두점 등 문장 부호에 대하여고대의 그리스어는 모두 대문자였고, 구두점이나 숨표 등 특별한 문장 부호는 없었다. 알렉산드리아 그리스어(코이네 그리스어) 시대부터 부호와 구두점이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현재와 같은 구두점과 부호는 현대에 들어 정착되었다. 2) 숨표(Breathing Mark, 기음부호)그리스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에 숨표를 표시한다. 그리고 ρ로 시작하는 낱말에서 ρ는 항상 기식음이므로 글자 위에 강숨표를 표시하기도 한다.(1) 숨표의 종류 (가) 강숨표(rough breathing) : 기식음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낱말 앞의 υ나 ρ는 항상 기식음이다.(예) ἑορτή(헤오르떼-, 축제), ὕος(휘-오스, 아..
2020. 11. 18.
그리스어 문법의 3대 영역 - 어형론, 구문론, 운율론
고대 그리스어 문법의 3대 영역 - 어형론, 구문론, 운율론 1) 문법이란 문법은 언어에 내재한 규칙을 정리한 것이다. 언어가 먼저 있고, 그 다음에 문법이 있다. 언어가 바뀌면 문법도 바뀐다. 문법이 언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언어의 변화가 문법의 변화를 이끈다. 2) 고대 그리스어 문법서의 특징 그리스어 문법서는 크게 3가지 영역으로 나뉜다. 그리스어로는 각각 에튀몰로기아 ἐτυμολογία(etymology), 쉰탁시스 σύνταξις(syntax), 프로소이디아 προσῳδία(prosody)라고 한다. (1) 어형론(Accidence, Words and Forms, Morphology) 어형론은 알파벳, 자음과 모음, 액센트, 발음규칙, 여러 품사의 변화형태, 어휘의 형성 등을..
2020. 8. 25.
고대 그리스어 자음의 종류와 발음 (고대 헬라어)
고대 그리스어 자음의 종류와 발음 1) 그리스어 자음의 종류와 발음 α, β(ㅂ), γ(ㄱ), δ(ㄷ), ε, ζ(ㄷㅅ, 또는 ㅅㄷ), η, θ(ㅌ), ι, κ(ㄲ), λ(ㄹ), μ(ㅁ), ν(ㄴ), ξ(ㄲㅅ), ο, π(ㅃ), ρ(ㄹ), σ, ς(ㅅ), τ(ㄸ), υ, φ(ㅍ), χ(ㅋ), ψ(ㅃㅅ,) ω 2) 강기식과 약기식(기식음과 무기음) 발음할 때 '하'나 '크'처럼 ㅎ음(h sound)을 포함하여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스어에는 기식음이 매우 풍부하였으며, 그리스어의 모든 말의 시작은 기식음인지 아닌지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자음은 글자 자체가 기식음 유무를 나타내고 있고, 모음은 기식음 유무를 모두 표시하였다. 즉, 모음의 경우 기식음(῾)만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무기음 숨표(᾿)도 모..
2020.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