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머 그리스어, 호 헤 또 ὁ, ἡ, τό
호머 그리스어, 호 헤 또 ὁ, ἡ, τό 1) ὁ, ἡ, τό의 의미(1) ὁ, ἡ, τό의 여러 뜻 ① 정관사 : 이, 그, 저 ② 인칭대명사 : 그, 그녀, 그것, (복수) 그들, 그것들 ③ 지시대명사 : 이것, 그것, (복수) 이것들, 그것들 ④ 관계대명사 : ⓐ ~인, ~한 ⓑ 그런데 그는..등등, 그런데 그 사람들은 .. 등등(2) 어형 변화표 청색으로 표시한 것들은 호머 시대 그리스어에서만 나온다. * 복수 주격 τοἱ와 ταἱ는 대명사(그들, 그것들)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주로 지시사나 관계사로 사용된다. * 가까운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접미사 -δε를 추가한 ὅδε, ἥδε, τόδε(이것, 여기)는 지시사(대명사 또는 형용사)로 쓰인다. ὅδε는 ὁ와는 달리 인칭대명사나 관계대명사 ..
2021. 7. 14.
이오타 하기(이오타 서브스크립트) ᾳ, ῃ, ῳ(ĀI ΗI ΩI)의 발음
이오타 하기(이오타 서브스크립트) ᾳ, ῃ, ῳ(ĀI ΗI ΩI)의 발음 1) ĀI ΗI ΩI(ᾱι, ηι, ωι)의 발음 (1) 고전 그리스어 ᾳ, ῃ, ῳ : 아-이, 에-이, 오-이 상고 그리스어에서 호머시대 그리스어(기원전 8세기)를 포함하여 고전그리스어 시기를 지나 기원전 1세기 전(코이네 초기)까지 이중모음으로 발음하였다. πρωΐ(쁘로-이, 새벽)에서 ΐ 의 점 2개는 '분음부호'이며, ωΐ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지 말라는 표시이다. 역으로 보면 ωι는 이중모음이라는 의미이다. 현대에 출판된 고전 그리스어 교재에도 ᾱι, ηι, ωι 등의 표기법이 종종 보인다. (2) 코이네 후기 그리스어 ᾳ, ῃ, ῳ : 아-, 에-, 오- 기원전 1세기 이후에 이오따의 발음은 생략되었으며 현재도 발음하지 ..
2021. 7. 8.
능동태 분사와 형용사의 1-3변화의 어미 정리
분사(능동)와 형용사의 1-3변화의 어미 정리 1) 분사와 형용사의 1-3변 어미능동태 분사의 1-3변화나 형용사 1-3변화의 세세한 설명은 싫고, 요점만 알고 싶다면, 아래 격어미를 먼저 기억해 두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예외가 있으니 유의한다. 그리스어에는 개별적으로 기억해 달라는 낱말이 많은 편이다.능동태 분사는 1-3변화만 있고, 형용사는 1, 2, 3변화가 모두 있다.① 남성 변화 (3변화)단수 : ς, ος, ι, α [ν], ─(스, 오스, 이, 아, 무)복수 : ες, ων, σι, ας [νς], ες (에스, 온-, 시, 아스, 에스) * 3변화 호격은 원칙적으로 어간과 같다. 그러나 분사의 호격은 주격을 사용한다.② 여성 변화 (1변화 중 단모음 α 변화)단수 : α, ης, ῃ,..
2021. 7. 7.
분사 (14) εἰμί(이다) 동사의 분사 정리
분사 (14) εἰμί(이다) 동사의 분사 정리εἰμί 동사의 현재분사는 능동 분사어미를 사용하고 미래분사는 중수동태 분사어미를 사용한다.1) εἰμί(이다) 동사의 현재분사 ὤν, οὖσα, ὄν : ~ 인 (1-3 변화) 어간 : ὄντ-구조 : ὤν ← 어간 ὄντ + ς (ν 뒤의 τς 생략 후 ο는 ω로 보상성 장음화)* εἰμί의 현재분사는 숨표와 액센트를 제외하면, ω동사의 현재 능동 분사어미와 같다.* 일반적으로 단음절어는 액센트가 마지막 음절에 오지만, 분사의 단음절어는 이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ὤν, ὄντος (not ὀντός), στᾱ́ς, στάντος ㅇ ὤν = ἐών, ὄντα = ἐόντα ☞ εἰμί의 어간이 εσ-이므로 ἐών, ἐόντα 등이 원형이며, ὤν, ὄν..
2021. 7. 7.
일리아스 1권 39행-42행 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39행-42행 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 읽기 (번역) 쥐의 신이시여, 만약에 제가 당신을 위하여 일찍이 신전에 멋지게 지붕을 덮어 준 일이 있다면 또는 만약에 진실로 당신에게 황소와 염소의 살진 넓적다리를 태워드렸다면, 저를 위하여 이 소망을 이루어주소서! 당신의 화살로 다나오스인들이 제 눈물의 대가를 치르게 해주소서. 1권 39행 (번역) 쥐의 신이시여, 만약 제가 당신에게 일찍이 신전에 멋지게 지붕을 덮어준 적이 있다면 (어휘) Σμινθεῦ(스민테우 ; 쥐의 신이시여, 호격 단수) εἴ(에이, 만약) ποτέ(뽀떼 ; 일찍이) τοι(또이 ; 당신을 위하여, 여격 2인칭 단수, '혜택의 여격') χαρίεντ'(카리엔ㄸ=χαρίεντα, 멋지게, 형용사 남성 대격 단수, *여..
2021. 7. 6.
분사 (13) -μένος, -μένη, -μένον형(완료 중동태와 수동태)
(13) -μένος, -μένη, -μένον형 분사(완료 중동태와 수동태, ω 동사, μι 동사) Participles in -μένος, -μένη, -μένον (perfect middle-passive) 1) 완료분사 중수동태(1) 모든 중수동태 분사는 분사 형태소 μεν을 사용한다(다만, 무정분사 수동태는 분사형태소 ντ를 사용한다)(2) 다른 -μενος형 분사는 μεν앞에 액센트가 오지만, 완료분사는 분사 형태소 자체에 액센트가 온다. 완료분사는 능동과 중수동 모두 분사형태소에 액센트가 온다. (예) πεμπόμενος(보내지고 있는, 현재분사), πεπεμμένος(보내진, 완료분사) λῡόμενος(풀려지고 있는, 현재분사 중수), λελυμένος(완료분사 중수)(3) 완료분사는 μ..
2021. 6. 26.
분사 (12) -μενος, -μένη, -μενον형(중수동과 중동 분사, 완료분사 제외)
분사 (12) -μενος, -μένη, -μενον형 분사(중수동과 중동 분사, 완료분사 제외, ω 동사, μι 동사)Participles in -μενος, -μένη, -μενον (all middle-passive and middle except perfect) 1) 중수동태 분사와 중동태 분사(1) 모든 중수동태 또는 중동태 분사는 중동태 분사 형태소 μεν을 공통으로 사용한다.(2) 완료분사는 분사 형태소에 액센트가 오는 점만 다르다. 다른 분사는 액센트가 분사 형태소 앞에 온다. (예) πεμπόμενος(보내지고 있는, 현재분사), πεπεμμένος(보내진, 완료분사)λῡόμενος(풀려지고 있는, 현재분사 중수), λελυμένος(완료분사 중수)(3) 무정분사 수동태는 능동분사와..
2021. 6. 26.
분사 (11) -ώς, -ῶσα, -ός형 분사(일부 μι 동사 완료분사)
분사 (11) -ώς, -ῶσα, -ός형 분사(일부 μι 동사 완료분사 능동) Participles in -ώς, -ῶσα, -ός (some athematic perfects) 1) 기본 특징 (1) μι 동사 중 완료동사 어간이 ε로 끝나는 동사의 완료분사 능동형이다. (2) ε + οτ(분사형태소)가 ωτ로 축약되면서 생긴 변형이다. 2) 어형변화 설명 (1) ἑστώς, ἑστῶσα, ἑστός : 세운(완료분사 능동, μι 동사) ⓐ 예시동사 : ἵστημι, στήσω, ἔστησα (ἔστην), ἕστηκα, ἕσταμαι, ἔστάθην: 세우다 ⓑ ἑστώς, ἑστῶσα, ἑστός (발음 : 헤스또-스, 헤스또~사, 헤스또스) ⓒ 참고 : ἵστημι의 다른 형태의 완료분사 ἑστ..
2021. 6. 25.
분사 (10) -ώς, -υῖα, -ός형 분사(완료 능동, ω 동사, μι 동사)
(10) -ώς, -υῖα, -ός형 분사(완료분사 능동, ω 동사, μι 동사) Participles in -ώς, -υῖα, -ός (perfect active) 1) 완료분사 능동형의 기본 특징(1) ω 동사와 μι 동사 모두 분사어미 -ώς, -υῖα, -ός를 사용한다. (2) 어간은 ότ이다. 다른 능동 분사는 어간이 ντ이다. (3) 중성 주격이 ς로 끝나는 것은 완료 능동 분사가 유일하다. 2) ω 동사 완료분사 능동 (1) κότ 어간 완료분사 (제1완료)λελυκώς, λελυκυῖα, λελυκός : 풀어 준 ⓐ 예시동사 : λύω, λύσω, ἔλυσα, λέλυκα, λέλυμαι, ἐλύθην : 풀다 ⓑ λελυκώς ← 기본형 완료능동어간 λέλυκ + ώς* 완료분사의 남..
2021. 6. 25.
분사 (9) -είς, -εῖσα, -έν형(μι 동사 현재와 무정 능동, ω동사와 μι동사의 무정 수동)
(9) -είς, -εῖσα, -έν형 분사 (μι 동사 현재와 무정 능동, ω동사와 μι동사의 무정 수동)Participles in -είς, -εῖσα, -έν (μι-verb present and aorist active, aorist passive)1) 기본특징(1) 일부 μι 동사의 현재분사 능동과 무정분사 능동에서 사용되는 유형이다. (2) ω동사와 μι동사의 무정분사 수동에 사용되는 유형이다. (3) 공통점은 동사 어간이 모두 η로 끝난다. 분사어간 형성시 η가 ε로 바뀐 후 ντ 생략 후 εί로 장음화된 형태이다. τίθημι(놓다, μι동사 현재 능동, 어간 τίθη) ἔθηκα(놓았다, μι동사 무정 능동, 어간 ἔθη) ἐλύθην(풀렸다, ω동사 무정 수동, 어간 ἐλύθη) ἐτ..
2021.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