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25

마가복음 2장 그리스어 원문만 _ 읽기 연습용 마가복음 2장 그리스어 원문만 _ 읽기 연습용 마가 2:1 마가 2:2 마가 2:3 마가 2:4 마가복음 2장 1절-4절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마가 2:5 마가 2:6 마가 2:7 마가 2:8 마가 2:9 마가 2:10 마가 2:11 마가 2:12 마가복음 2장 5절-12절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마가 2:13 마가 2:14 마가 2:15 마가 2:16 마가 2:17 마가복음 2장 13절-17절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마가 2:18 마가 2:19 마가 2:20 마가 2:21 마가 2:22 마가복음 2장 18절-22절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마가 2:23 마가 2:24 마가 2:25 마가 2:26 마가 2:27 마가 2:28 마가복음 2장 23절-28절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마가복음, 마르코의 복음서 그리스어 .. 2021. 6. 25.
분사 (8) -ύς, -ῦσα, -ύν형 분사(μι 동사 능동) 2) μι 동사 능동, 무정수동(일부 ω 동사) (8) -ύς, -ῦσα, -ύν형 분사(μι 동사 능동) Participles in -ύς, -ῦσα, -ύν (μι-verb active) ⓐ 예시동사 : δείκνυμι, δείξω, ἔδειξα, δέδειχα, δέδειγμαι, ἐδείχθην : 보여주다 ⓑ δεικνύς, δεικνῦσα, δεικνύν : 보여주는 (현재분사 능동) ㅇ 완료분사를 제외한 모든 능동 분사와 제1무정시제, 제2무정시제 수동분사는어간에 -ντ- 를 가진다. 남성과 중성은 3변화형이고, 여성은 1변화형이다. ㅇ οντ어간 분사는 ων으로 끝난다. 일부 οντ어간 분사와 αντ, εντ, υντ 어간이 ς와 결합하면 ντ가 생략되고 그 보상으로 앞의 모음은 ους, .. 2021. 6. 25.
분사 (7) -ούς, -οῦσα, -όν형(μι 동사 능동) (7) -ούς, -οῦσα, -όν 형 분사(μι 동사 능동) Participles in -ούς, -οῦσα, -όν (μι-verb active) ㅇ 예시동사 : δίδωμι, δώσω (διδώσω), ἔδωκα, δέδοκα, δέδομαι, ἐδόθην: 주다 ㅇ διδούς, διδοῦσα, διδόν : 주는(μι 동사 현재분사 능동) ㅇ δούς, δοῦσα, δόν : 준(μι 동사 제2무정분사 능동) *구별법 : μι 동사는 현재시제에서 어근두음 중복이 일어난다. ㅇ 완료분사를 제외한 모든 능동 분사와 제1무정시제, 제2무정시제 수동분사는 -ντ- 어간을 가진다. 남성과 중성은 3변화형이고, 여성은 1변화형이다. ㅇ 어간이 οντ인 능동분사는 ων으로 끝난다. 그러나 μι 동사의 현재.. 2021. 6. 24.
분사 (6) -άς, -ᾶσα, -άν 형 분사(μι 동사 현재능동, μι 동사와 ω 동사의 무정 능동) 2) μι 동사 현재능동, μι 동사의 무정 능동 (6) -άς, -ᾶσα, -άν 형 분사(μι-동사의 현재분사 능동, μι 동사의 무정분사 능동) Participles in -άς, -ᾶσα, -άν (μι-verb present and aorist active) * 참고 : -ᾱς, -ᾶσα, -αν형 분사(ω 동사 무정 능동 1형) -ών, -οῦσα, όν형 분사(무정 능동 2형, εἰμί와 εἶμι의 현재분사) 1) μι 동사 현재분사 능동 ἱστάς, ἱστᾶσα, ἱστάν : 세운(현재분사 능동) 동사기본형 : ἵστημι, στήσω, ἔστησα (ἔστην), ἕστηκα, ἕσταμαι, ἔστάθην : 세우다 ㅇ 어간이 οντ인 능동분사는 ων으로 끝난다. 그러나 μι 동사의 .. 2021. 6. 24.
분사(5) -ών, -οῦσα, όν형(제2무정 능동, εἰμί와 εἶμι의 현재) (5) -ών, -οῦσα, όν형 분사(제2무정 능동, εἰμί와 εἶμι의 현재) Participles in -ών, -οῦσα, -όν (strong aorist active; present of εἰμί and εἶμι) 1) 제2무정분사 능동 (1) λιπών, λιποῦσα, λιπόν : 떠난(무정분사 능동) ⓐ 예시동사 : λείπω, λείψω, ἔλιπον, λέλοιπα, λέλειμμαι, ἐλείφθην : 떠나다, 남겨놓다. ⓑ 주격 단수 λιπών ← λιπ + ών(무정어간 + 분사어미) ⓒ 어간 : λιποντ- (어간이 자음 τ로 끝나므로 3변화를 따른다) * 제2무정분사를 강 무정분사(strong aorist)라고도 한다. * 무정시제 능동 2형의 분사어미는 현재분사 능.. 2021. 6. 24.
마가복음 2장 23절-28절 _ 헬라어(그리스어)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 읽기 마가복음 2장 23절-28절 _ 헬라어(그리스어)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 읽기안식일에 대해 말하다(사무엘상 21:1-9; 마태 12:1-8; 누가 6:1-5) 마가 2:23  (직역) 그가 어느 안식일에 경작지를 가로질러 가는 일이 있었는데, 그의 제자들이 이삭들을 잡아 뜯으면서 길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공동번역) 어느 안식일에 예수께서 밀밭 사이를 지나가시게 되었다. 그 때 함께 가던 제자들이 밀 이삭을 자르기 시작하자 (어휘) Καὶ(그리고) ἐγένετο(에게네또, ~이 일어났다, 무정 중동 3인칭 단수) αὐτὸν(그, 대명사,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남성 대격 3인칭 단수) ἐν τοῖς σάββασιν(삽바신, 안식일에, 중성 여격 복수) παραπορεύεσθαι(빠라뽀레우에스타이, 곁으로.. 2021. 6. 24.
분사 (4) -ᾱς, -ᾱσα, -αν형 분사(ω 동사 무정시제 능동 1형) 1) 분사 어형표 - ω 동사 능동 (4) -ᾱς, -ᾱσα, -αν형 분사(ω 동사 무정시제 능동 1형) Participles in -ᾱς, -ᾱσα, -αν (weak aorist active) ⓐ 예시동사 : λύω, λύσω, ἔλυσα, λέλυκα, λέλυμαι, ἐλύθην : 풀다 ⓑ λύσᾱς, λύσᾱσα, λῦσαν : 풀어 준 (약 무정분사 능동) ㅇ 완료분사(οτ, κοτ어간)를 제외한 모든 능동 분사와 제1무정시제, 제2무정시제 수동분사는 -ντ- 어간을 가진다. 남성과 중성은 3변화형이고, 여성은 1변화 단모음 알파형이다. ㅇ 어간이 οντ인 능동분사는 ν로 끝난다(οντς에서는 τς가 생략). 그러나 μι 동사의 현재분사와 무정분사, 그리고 어간이 αντ, εντ, υντ인.. 2021. 6. 24.
분사 (3) -ῶν, -ῶσα, -ῶν형 분사 (α 축약, 현재와 미래분사, 능동) (3) -ῶν, -ῶσα, -ῶν형 분사 (α 축약, 현재와 미래분사, 능동)Participles in -ῶν, -ῶσα, -ῶν (present and future active, α-contract)(1) 현재분사 능동 α 축약① 예시동사 : ὁράω, ὄψομαι, εἶδον, ὄπωπα (ἑώρακα), ἑώραμαι, ὤφθην : 보다☞  ὁρῶν, ὁρῶσα, ὁρῶν : 보는 (현재분사 능동)분사 능동형 기본변화 -ων, -ουσα, -ον이 α와 만나 단축변화를 일으킨 것이다.ὁρῶν, ὁρῶσα, ὁρῶν ← ὁράων, ὁράουσα, ὁράον[참고] 그리스어 모음축약 정리ㅇ ὁράω는 미래형이 탈형동사(중동태)이므로 미래분사 능동형은 없다.  ☞ ὁράω의 미래분사 중동 : ὀψόμ.. 2021. 6. 24.
분사 (2) -ῶν, -οῦσα, -οῦν형 분사 (현재와 미래 능동, ε-, ο-축약) (2) -ῶν, -οῦσα, -οῦν형 분사 ( ε-, ο-축약 동사 현재와 미래 분사, 능동) Participles in -ῶν, -οῦσα, -οῦν (present and future active, ε- and ο-contract) 1) -ῶν, -οῦσα, -οῦν형 분사의 기본 특징 (1) ε- 와 ο-어간에 -ων, -ουσα, -ον이 이어지면서 축약이 일어난 형태이다. (2) 유비음동사의 미래분사 능동형도 분사어미와 축약된다. (3) 축약된 기본형은 어간과 어미가 융합되어 있어서 어간을 분리하기가 힘들다. 분사구조를 알면 도움이 된다. 예) καλῶ(미래 능동) : καλῶν ← καλέων ← καλέσων ← καλε+σ+ο+ντ+ς (οντς에서 τς의 생략과 ω 장음화, 모음사이 σ.. 2021. 6. 23.
분사 (1) -ων, -ουσα, -ον형 분사( ω동사 현재와 미래 능동, μι동사 미래 능동) 분사 (1) -ων, -ουσα, -ον형 분사(ω동사 현재와 미래 능동, μι동사 미래 능동)Participles in -ων, -ουσα, -ον (present and future active, uncontracted) 1) -ων, -ουσα, -ον형 분사의 기본 특징(1) ω동사의 현재분사와 미래분사 능동형의 기본적인 분사어미는 -ων, -ουσα, -ον이다. (2) 미래분사는 ω동사와 μι동사의 변화형이 같다. (3) 단수 주격과 호격이 서로 같다. 일반적으로 3변화 명사와 형용사의 호격은 어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분사의 호격은 다르다. 2) ω 동사 현재분사 능동 (1) 현재분사 능동 어형변화ἄγων, ἄγουσα, ἄγον : 이끄는(현재분사 능동, 1, 3변화). 어간 : ἄγοντⓐ.. 2021. 6. 23.
마가복음 2장 18절-22절 _ 헬라어(그리스어)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 읽기 마가복음 2장 18절-22절 _ 그리스어 마르코 복음서 단식에 대한 질문에 답하다(마태 9:14-15; 누가 5:33-35) 마가 2:18  (공동번역) 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사이파 사람들이 단식을 하고 있던 어느 날, 사람들이 예수께 와서 "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사이파 사람의 제자들은 단식을 하는데 선생님의 제자들은 왜 단식을 하지 않습니까?" 하고 물었다.(어휘) Καὶ(그리고) ἦσαν(에~산, ~이었다, 미완료 3인칭 복수) οἱ(호이) μαθηταὶ(마테-따이, 제자들이, 남성 주격 복수) Ἰωάνου(요-아누-, 요한의) καὶ(과) οἱ Φαρισαῖοι(파리사이오이, 바리사이파 사람들, 남성 주격 복수) νηστεύοντες(네-스떼우온떼스, 단식하는, 현재분사 능동 남성 주격 복수) καὶ(.. 2021. 6. 23.
분사 어형변화 모아보기 _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그리스어 분사 변화표(Paradigm)  글 순서 1) ω 동사의 현재와 미래 능동, μι 동사 미래능동(1) -ων, -ουσα, -ον형 분사(현재와 미래 분사 능동, 비축약)(2) -ῶν, -οῦσα, -οῦν형 분사(현재와 미래 분사 능동, ε와 ο 축약)(3) -ῶν, -ῶσα, -ῶν형 분사(현재와 미래 분사 능동, α 축약)2) ω 동사의 무정분사 능동 (4) -ᾱς, -ᾱσα, -αν형 분사(무정 능동 1형 - ω동사)(5) -ών, -οῦσα, όν형 분사(무정 능동 2형, εἰμί와 εἶμι의 현재)3) μι 동사 현재와 무정 능동, ω동사와 μι동사의 무정 수동(6) -άς, -ᾶσα, -άν형 분사 (μι 동사 현재 능동, μι동사의 무정 능동)(7) -ούς, -οῦσα, -όν형.. 2021. 6. 23.
ω동사의 분사와 μι 동사의 분사 _ 그리스어 (헬라어) ω동사의 분사와 μι 동사의 분사 _ 그리스어 (헬라어) 1) ω동사와 μι 동사 분사의 차이 ◈ 현재분사와 무정분사 능동형에서 차이가 있다. (1) ω동사의 분사 현재분사 능동: παύων, παύουσα, παύον 멈추고 있는 현재분사 능동: λαμβάνων, λαμβάνουσα, λαμβάνον 잡고 있는 무정분사 능동 1형 : παύσας, παύσασα, παύσαν 멈춘 무정분사 능동 2형 : λαβών, λαβοῦσα, λαβόν 잡은 → 무정분사는 무정시제 어간에서 접두어를 빼고나서 어미를 추가한다. (2) μι 동사의 분사 현재 능동 ἱστάς, ἱστᾶσα, ἱστάν 세우는 현재 능동 τιθείς, τιθεῖσα, τιθέν 놓고 있는 현재 능동 ῑ̔είς, ῑ̔εῖσα, ῑ̔έν .. 2021. 6. 23.
그리스어 분사의 기본적인 어형변화 그리스어 분사의 기본적인 어형변화 ⓐ 이 글은 분사의 어형변화의 기본적인 특징을 보여주려고 쓴 것이다. 다음 글에서 구체적인 변화형들을 다룰 예정이다. ⓑ 호머식 그리스어에서 쓰였고 고전 그리스어 이후 잘 쓰이지 않은 쌍수변화는 여기서는 생략하였다. 여기에 올리는 표는 읽어보고 이해하는 용도이다. 표를 외우는 것보다는 문장을 한 번 더 읽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장은 어휘와 함께 어형론과 구문론 등을 동시에 익히게 해준다.  1) 분사의 시제와 태별 분류예시동사의 기본형 :  παύω, παύσω, ἔπαυσα, πέπαυκα, πέπαυμαι, ἐπαύσθην ; 정지시키다 ⓐ 현재분사 (현재시제어간,  기본형 1번째)  능동 : παύων, παύουσα, παύον : 정지시킨( 주동사의 시제와 .. 2021. 6. 22.
마가복음 2장 13절-17절 _ 헬라어(그리스어) 마르코 복음서 원문 읽기 마가복음 2장13절-17절 _ 마르코 복음서 ☞ 이 글은 어학 공부 차원에서 쓴 것이며, 정식 번역은 공동번역이나 다른 성경책을 참조하시기 바람. 원문은 에베르하르트 네스틀레(Eberhard Nestle)의 Η Καινή Διαθήκη, The New Testament(1904)를 바탕으로 함 레위를 부르다(마태 9:9-13; 누가 5:27-32) 마가 2:13 (공동번역) 예수께서 다시 호숫가로 나가셨다. 군중도 모두 따라왔으므로 예수께서는 그들을 가르치셨다 (어휘) Καὶ(그리고) ἐξῆλθεν(엒셀~텐 ; 나갔다, 무정 능동 3인칭 단수) πάλιν(빨린 ; 다시) παρὰ(주변으로) τὴν θάλασσαν(탈랏산 ; 바다,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그리고) πᾶς(모든, 남성 주격 단수) ὁ ὄ.. 2021. 6. 22.
분사의 기본적인 용법 _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그리스어 분사의 기본적인 용법분사는 동사의 성질과 형용사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분사라고 한다(디오니시오스). 원문에서는 형용사 대신 명사라고 되어있다. 그리스어 정통문법에서는 명사와 형용사를 모두 명사로 분류하였다. 1) 기본적인 용법의 종류분사는 형용사와 같으므로 형용사의 용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독특한 형태의 부사적 용법이 있다. (1) 형용사적 용법 ⓐ 한정적 용법 - 명사를 수식하는 용법이다. ⓑ 서술적 용법 - 명사를 설명하는 용법이다. 보어적 분사(Supplementary Participle)도 여기에 속한다. (2) 명사적 용법 분사가 단독으로 쓰이거나 서술적 용법으로 쓰일 때, 문장 안에서 명사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3) 부사적 용법 ⓐ 시간(~할 때, ~후에), ⓑ 이유.. 2021. 6. 22.
분사 어형론 카테고리 목차 고대 그리스어 분사의 어형변화(곡용) 1) 그리스어 분사의 기초분사의 기본적인 용법 그리스어 분사의 기본적인 어형변화 ω동사의 분사와 μι 동사의 분사       2) 분사의 어형변화분사 어형변화 모아보기    1) ω 동사의 현재와 미래 능동, μι 동사 미래능동분사 (1) -ων, -ουσα, -ον형 분사( ω동사 현재와 미래 능동, μι동사 미래 능동) 분사 (2) -ῶν, -οῦσα, -οῦν형 분사 (현재와 미래 능동, ε-, ο-축약) 분사 (3) -ῶν, -ῶσα, -ῶν형 분사 (현재, 미래, 능동, α-단축) 2) ω 동사의 무정분사 능동 분사 (4) -ᾱς, -ᾱσα, -αν형 분사(ω 동사 무정시제 능동 1형)     분사 (5) -ών, -οῦσα, όν형(제2무정 능동, εἰμί.. 2021. 6. 22.
책을 원어로 읽으면 얻게 되는 소소한 것들 _ 마가복음 2장 9절의 의미 책을 원어로 읽으면 얻게 되는 소소한 것들 책을 원문으로 읽으면 여러가지로 얻는 것들이 많다. 그 중의 한 가지는 원저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아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2개의 성경책에서 인용한 내용이다. 마가복음 2장 6절-12절이다. 초심자라면 9절과 10절의 내용에서 ‘무엇이 더 쉽다’는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예수께서 마비환자에게 ‘내가 네 죄를 용서하노라’라고 하자, (1) 성경 1 6. 어떤 서기관들이 거기 앉아서 마음에 생각하기를 7. 이 사람이 어찌 이렇게 말하는가 신성모독이로다 오직 하나님 한 분 외에는 누가 능히 죄를 사하겠느냐 8. 그들이 속으로 이렇게 생각하는 줄을 예수께서 곧 중심에 아시고 이르시되 어찌하여 이것을 마음에 생각하느냐 9. .. 2021. 6. 22.
기독교의 역사에 대한 간단한 정리 - 동서대분열을 중심으로 기독교의 역사에 대한 간단한 정리 - 동서대분열을 중심으로 1) 머리말 기독교의 역사는 단순히 일개 종교의 역사가 아니라 인류 역사의 일부이며 한때는 서유럽 역사의 본류였다. 2016년 로마 가톨릭 교회의 프란치스코 교황이 쿠바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끼릴 총대주교를 1천년만에 처음으로 만났다는 기사를 보면서, 동방정교회와 그리스 교회는 무슨 뜻이고, 러시아 정교회와는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콘스티노폴리스의 정교회는 어떤 위치에 있는지 등등이 종종 궁금하였다. 톨스토이 소설이나 영화에서 보이는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궁금증도 해결하고 싶었다. 그래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지금까지 러시아 정교회는 로마 교황의 지위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하며, 이 만남을 준비하는데 20년이 걸렸다고 한다. 역대 교황들이 터키를.. 2021. 6. 22.
마가복음 2장 5절-12절 _ 헬라어(그리스어)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과 해석 마가복음(마르코의 복음서) 2장 5절-12절 _ 헬라어(그리스어) 성경 마가 2:5 (공동번역) 예수께서는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에게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하고 말씀하셨다. (어휘) καὶ(그런데) ἰδὼν(이돈-, 보고, 무정분사 능동 직설, 남성 주격 단수) ὁ Ἰησοῦς(예수는) τὴν πίστιν(삐스띤, 믿음을, 여성 대격 단수) αὐτῶν(그들의) λέγει(말한다, 현재 3인칭 단수) τῷ παραλυτικῷ(빠랄뤼띠꼬-, 마비환자에게)· Τέκνον(떼끄논, 아들아, 중성 호격 단수), ἀφίενταί(아피엔따이, 내보내지고 있다, 현재 수동태 3인칭 복수) σου(너에게서, 탈격.속격 2인칭 단수) αἱ ἁμαρτίαι(하마르띠아이, 죄들이, 여성 주격 복수) ㅇ τέκνο.. 2021. 6. 22.
그리스어 번역문에서 보이는 문제 카테고리 글 목록 그리스어 번역문에서 보이는 문제 1. 책을 원어로 읽으면 얻게 되는 소소한 것들 _ 마가복음 2장 9절의 의미2. 일리아스 1권 1-5행 번역 - 천병희와 이준석의 번역문 살피기3.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유래한 고유명사의 표기에 대하여플라톤의 책을 읽다가 문맥과는 어울리지 않는 뜬금없는 말이 갑자기 나온다고 생각되면 어떻게 할까? 일반 독서가라면 그냥 지나가면 된다. 문맥의 힘은 위대하기 때문에 말의 요지는 놓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런데 그 이상하게 여기는 부분을 확실하게 알고 싶다면? 원문을 찾아 읽어보아야 한다. 그런데 그리스어를 모른다면? 여러 번역서들을 대조해가면서 읽어본다. 그래도 답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실제로 답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많은 번역가들은 비슷비슷한 실수를 반복하기.. 2021. 6.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