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25

동사(18) 미완료시제 뉘미(νυμι) 동사 직설법 변화 미완료시제 νυμι 동사(직설법)1) νυμι 동사νυμι 동사는 μι동사의 일종으로,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면 시제접사 νυ가 추가되고(δείκνῡμι 보여주다, δεικ-), 모음으로 끝나면 ννυ가 추가된다(κεράννῡμι 섞다, κερα-). δείκνῡμι : 보여주다, 전시하다, 설명하다 μῑ́γνῡμι : 섞다, 결합하다, (중동) 섞이다 ἀπόλλῡμι : 파괴하다, 죽이다, (중동) 사라지다, 죽다 κεράννῡμι : 섞다, 희석하다 * 불안정 모음 ᾱ, ῑ, ῡ는 일반적으로 α, ι, υ로 표기한다.2) 자음+νῡμι(1) δείκνῡμι(보여주다) 미완료시제 능동 단수 : ἐδείκνῡν, ἐδείκνῡς, ἐδείκνῡ 복수 : ἐδείκνυμεν, ἐδείκνυτε, ἐδείκν.. 2021. 6. 21.
동사(17) 불규칙 μι동사의 미완료시제 (εἰμί, φημί, εἶμι) 불규칙 μι동사의 미완료시제 (εἰμί, φημί, εἶμι)1) 불규칙 미동사의 미완료 시제(1) εἰμί : ~이다 εἰμί의 직설법 미완료 시제 어근 : εσ- 단수 : ἦ 또는 ἦν, ἦσθα, ἦν 복수 : ἦμεν, ἦτε, ἦσαν 쌍수 : ─, ἦστον, ἤστην ㅇ εἰμί의 미완료시제 어미 ─, -σθα, -ν, -μεν, -τε, -σαν, -στον, -στην (2) φημί : 말하다 어근 : φη-, φα- φημί의 미완료시제 변화능동 단수 : ἔφην, ἔφης [ἔφησθα], ἔφη(ν) 복수 : ἔφαμεν, ἔφατε, ἔφασαν [ἔφαν] 쌍수 : ─, ἔφατον, ἐφάτην 중수 단수 : ἐφάμην, ἔφασο, ἔφατο 복수 : ἐφάμεθα.. 2021. 6. 21.
마가복음 2장 1절-4절_헬라어 성경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 읽기 마가복음 2장 1절-4절_그리스어 성경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 읽기 ☞ 이 글은 어학 공부 차원이며, 정식 번역은 공동번역이나 다른 성경책을 참조하시기 바람. 원문은 에베르하르트 네스틀레(Eberhard Nestle)의 Η Καινή Διαθήκη, The New Testament(1904)를 바탕으로 함 마비 환자를 고치다(마태 9,1-8; 루카 5,17-26) (공동번역) 며칠 뒤에 예수께서는 다시 가파르나움으로 가셨다. 예수께서 집에 계시다는 말이 퍼지자 (어휘) Καὶ(그리고) εἰσελθὼν(에이셀톤- ; 들어갔을 때, 무정분사 능동 주격 남성 단수) πάλιν(빨린 ; 다시, 부사) εἰς Καφαρναοὺμ(까파르나움- ; 여성 대격 단수) δι’(=δια ; ~경과하여) ἡμερῶν(헤메론~.. 2021. 6. 21.
동사(16) 미완료시제 μι동사 직설법(δίδωμι, τίθημι, ἵστημι, ἵημι) 미완료시제 μι동사 직설법(δίδωμι, τίθημι, ἵστημι, ἵημι)미동사는 ⓐ 현재, ⓑ 미완료, ⓒ 무정시제에서 오동사와 어형변화가 다르다. 이들 변화에서 미동사는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미동사는 현재와 미완료에서 능동 단수 어근만 모음강화현상(예: ο→ω 또는 ου)이 있다. 일반적으로 미동사의 능동 단수 어근은 장음절이며, 복수와 쌍수 어근은 단음절이다. 다만, ἵστημι(세우다)의 무정시제 등 예외도 있으니 유의한다.  ἵστημι(세우다, 서다)는 무정시제 능동과 중동에서 단수 복수 쌍수 모두 어근이 장음절 στή-이다. 수동은 στά-이다. 무정 능동 : ἔστησα(단수), ἐστήσαμεν(복수) 무정 중동 : ἐστησάμην(단수), ἐστησάμεθα(복수) 무정 .. 2021. 6. 20.
동사(15) ω동사 미완료시제 (직설법) ω동사의 직설법 미완료시제의 어형변화 1) 미완료시제의 의미와 중요성(1) 미완료시제의 의미 미완료시제는 과거에 진행 중인 사건이나 반복되는 습관 또는 상태의 지속 등을 표현하는 시제이다. 이와 대비하여 단순과거시제는 무정시제로 표현하고, 과거에 완료된 사건이 현재에도 그 영향이 지속되면 완료시제로 표현한다. (2) 미완료 시제의 중요성 어떤 통계에 의하면 그리스어 문헌에서 동사의 시제 중 현재시제는 48.4%를 차지하며, 무정시제(아오리스트 시제)는 28.5%, 미완료시제는 11.8%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 3가지 시제가 무려 88.7%를 차지한다.미완료시제는 현제시제 어간을 사용하므로 둘을 같이 익히는 것이 효율적이다. 2) ω동사의 직설법 미완료시제(1) 어형변화표 예시동사 : λῡ́ω 풀다.  기.. 2021. 6. 20.
동사(14) 주요 μι동사의 현재시제 주요 μι동사의 현재시제 1) 4개의 주요 μι동사 δίδωμι : 주다 τίθημι : 놓다, 유발하다 ἵστημι : 세우다(타동사), 서다(자동사) ἵημι : 던지다 ㅇ 이들 동사는 현재시제 어간을 형성할 때, 어간두음을 중복한 다음 중복된 음 뒤에 모음 ι를 추가(이오타 두음중복)한다. 예) δ+ί+δω+μιㅇ νυμι동사와 다른 점 : - νυμι동사는 어근에 현재시제접사 –νῡ-나 -ννῡ-가 추가되며, 두음중복이 없다. 예) δείκ+νῡ+μι(보여주다), σκεδά+ννῡ+μι(흩뿌리다)ㅇ ω동사와 다른 점 : ω동사의 현재시제는 일반적으로 두음중복이 없으며(예외, γίγνομαι 등 일부동사), 완료형에 두음중복이 있다. 그리고 어미와 결합할 때 연결모음(ο 또는 ε)을 사용한다. ㅇ .. 2021. 6. 20.
동사(13) 불규칙 μι동사의 현재시제 (εἰμί, φημί, εἶμι) 불규칙 μι동사의 현재시제εἰμί와 φημί는 불규칙 활용동사이면서, 직설법 현재형이 후치접어이다. 동사의 액센트 규칙을 따르지 않고, 다른 후치접어처럼 액센트가 맨 뒤에 온다. 동사 중에서 후치접어는 이 2가지 뿐이다. 그리스어는 불규칙도 어떤 규칙을 따르고 있다. 설명이 안되는 불규칙은 드문 편이다.1) εἰμί : ~이다, 있다εἰμί : ~이다, 있다 기본형 : εἰμί, ἔσομαι, —, —, —, — (1) 현재시제 어형변화  어간 : ἐσ 단수 : εἰμί, εἶ, ἐστί(ν) 복수 : ἐσμέν, ἐστέ, εἰσί(ν) 쌍수 : ─, ἐστόν, ἐστόν 현재부정사 : εἶναι 현재분사 : ὤν, οὖσα, ὄν (2) 어형변화 설명 단수 변화 εἰμί ← ἐσμί (μ앞에서 σ가.. 2021. 6. 19.
일리아스 1권 1행-32행 원문(읽기 연습용) 일리아스 1권 1행-32행 원문(읽기 연습용) 일리아스 1권 01행-05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06행-10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11행-16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17행-21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22행-28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29행-32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Homer, Iliad books I-XII - David Binning Monro (1884) 일리아스 제1권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글 목차 일리아스 제1권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글 목차 제1권 일리아스 1권 01행-05행 일리아스 1권 06행-10행 일리아스 1권 11행-16행 일리아스 1권 17행-21행 일리아스 1권 22행-28행 일리아스 1권 29행-32.. 2021. 6. 19.
동사(12) 미동사의 특징과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미 - 고대 그리스어 μι동사의 특징과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미 * 동사의 시제를 어느 정도 익힌 다음 읽어도 됩니다.  1) μι동사의 특징(1) μι동사는 인칭어미가 μι로 끝나는 동사이다.  δείκνῡμι(보여주다), μῑ́γνῡμι(섞다), δίδωμι(주다), τίθημι(놓다, 유발하다), ἵστημι(세우다, 서다), ἵημι(던지다) * μῑ́γνῡμι는 μίγνυμι라고도 쓴다. 이와같이 장음표시를 하지 않기도 하는 모음 α, ι, υ를 불안정 모음이라고 한다.(2) -μι 동사는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어간에 시제접사가 없이 바로 어미가 결합하는 무접사 μι동사 그룹과 현재와 미완료에서 접사 νυ가 있는 νῡμι 동사 그룹이 있다. ⓐ 무접사(suffixless) μι동사 : δίδω-μι(주다), τί.. 2021. 6. 19.
동사(11) μι동사의 현재시제(δείκνῡμι, μῑ́γνῡμι, ἀπόλλυμι) μι동사의 현재시제  1) 현재시제 능동(직설법)(1) μι동사란 μι동사는 어미가 μι로 끝나는 동사이다. 그리스어에는 ω동사와 μι동사가 있다. (2) μι동사 현재시제 능동 인칭어미 * ω동사의 어미는 μι동사 어미가 진화한 것이다.  ☞ 인칭어미는 인칭과 수에 따라 서로 다르므로, 어미 자체가 주어의 뜻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어는 일반적으로 대명사 주어를 생략한다. ☞ 3인칭 복수 어미 -νσι가 오동사에서는 -ουσι로 바뀌고, 미동사에서는 –ᾱσι(ν)로 바뀐다. –μι = 나는 ~하고 있다 –ς = 너는 ~하고 있다 –σι(ν) =그는 ~하고 있다  –μεν = 우리는 ~하고 있다 –τε = 너희는 ~하고 있다 –ᾱσι(ν) = 그들은 ~하고 있다 -τον = 너희 둘은 ~하고 있다.. 2021. 6. 19.
일리아스 1권 29행-32행 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호메로스 일리아스 1권 26행-32행 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전 읽기 μή σε γέρον κοίλῃσιν ἐγὼ παρὰ νηυσὶ κιχείωἢ νῦν δηθύνοντ' ἢ ὕστερον αὖτις ἰόντα,μή νύ τοι οὐ χραίσμῃ σκῆπτρον καὶ στέμμα θεοῖο:τὴν δ' ἐγὼ οὐ λύσω: πρίν μιν καὶ γῆρας ἔπεισινἡμετέρῳ ἐνὶ οἴκῳ ἐν Ἄργεϊ τηλόθι πάτρης   30ἱστὸν ἐποιχομένην καὶ ἐμὸν λέχος ἀντιόωσαν:ἀλλ' ἴθι, μή μ' ἐρέθιζε, σαώτερος ὥς κε νέηαι.(번역)이봐 늙은이! 지금 어슬렁대거나, 아니면 나중에 다시 오거나 해서 안이 오목한 .. 2021. 6. 18.
동사(10) 축약동사 요약, 그리고 축약동사와 비축약동사의 구별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요약, 그리고 축약동사와 비축약동사의 구별 1) 축약동사 현재시제 어형변화 요약(1) 알파(α) 축약 (2) 엡실론(ε) 축약(3) 오미크론(ο) 축약  2) 축약동사 어미 정리 - 현재시제☞ 아래에서 제시한 축약동사의 어미는 연결모음과 어미가 융합된 형태이다. (1) 현재시제 능동태 (2) 현재시제 중수동태  3) 축약 동사와 비축약 동사(1) 비축약 동사 - ω동사 중 ι,  υ어간 동사와  자음어간 동사, μι 동사 ⓐ ω동사 중  ι,  υ어간 동사와  자음어간 동사는 축약되지 않는다.ⓑ μι 동사는 연결모음을 사용하지 않으며, 축약되지 않는다. ☞ ι 어간 동사는 드물다. χρίω : 기름을 바르다, 향수를 문지르다 기본형 : χρῑ́ω, χρῑ́σω, ἔχρῑσον, κέ.. 2021. 6. 18.
동사(9) 오미크론(ο)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동사(8) 오미크론(ο)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1) 축약동사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어미와 연결될 때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 각각 ⓐ 알파축약 동사, ⓑ 엡실론 축약동사, ⓒ 오미크론 축약동사라고 한다.여기서는 오미크론 축약동사의 현재시제 어형변화를 살펴본다.2) 오미크론(ο) 축약(1) 오미크론(ο) 축약의 예 어간이 o로 끝나는 ω동사는 아래와 같이 축약이 일어난다. ο + ω = ω ο + ει = οι ο + ο = ου ο + ε = ου ο + ου = ου ο + αι = οι ο + η = ω ο + ῃ = οι ο + οι = οι (2)  능동태 변화 ① 예시동사 δηλόω : 밝히다, 분명하게 하다. 기본형 : δηλόω, δηλώσω,.. 2021. 6. 18.
일리아스 1권 22행-28행 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 읽기 호메로스 일리아스 1권 22행-28행 ἔνθ' ἄλλοι μὲν πάντες ἐπευφήμησαν Ἀχαιοὶαἰδεῖσθαί θ' ἱερῆα καὶ ἀγλαὰ δέχθαι ἄποινα:ἀλλ' οὐκ Ἀτρεΐδῃ Ἀγαμέμνονι ἥνδανε θυμῷ,ἀλλὰ κακῶς ἀφίει, κρατερὸν δ' ἐπὶ μῦθον ἔτελλε:   25μή σε γέρον κοίλῃσιν ἐγὼ παρὰ νηυσὶ κιχείωἢ νῦν δηθύνοντ' ἢ ὕστερον αὖτις ἰόντα,μή νύ τοι οὐ χραίσμῃ σκῆπτρον καὶ στέμμα θεοῖο:(번역) 진실로 거기에 있는 다른 모든 아카이아인들은   사제를 두려워하고 화려한 몸값을 받는 것에 기꺼이 동의하였다. 그러나 아트레우.. 2021. 6. 17.
동사(8) 엡실론(ε)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동사(7) 엡실론(ε)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1) 축약동사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 각각 알파축약 동사, 엡실론 축약동사, 오미크론 축약동사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어간이 ε로 끝나는 엡실론 축약동사의 현재시제 어형변화를 살펴본다. 2) 엡실론(ε) 축약 동사(1) 엡실론(ε) 축약의 예 어간이 ε로 끝나는 ω동사(ποιέ+ω)의 엡실론(ε) 축약 아래와 같다. ε + ω = ω ε + ει = ει ε + ο = ου ε + ε = ει ε + ου = ου ε + η = η ε + ῃ = ῃ ε + οι = οι (2) 능동태 변화 ① 예시동사 ποιέω : 만들다 기본형 : ποιέω ποιήσω ἐποίησα πεποίηκα .. 2021. 6. 16.
동사(7) 알파(α)축약 동사 - 직설법 현재시제 알파(α)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 직설법 현재시제  1) 축약동사에 대하여(1) 축약동사 - 알파 축약, 엡실론 축약, 오미크론 축약 축약동사는 어간이 α, ε, o 등으로 끝나면서, 어미와 연결될 때 연결모음(ο, ε)을 사용하는 ω동사를 말한다.예를 들면, ⓐ τιμάω(명예롭게 하다)의 현재시제 1인칭 단수는 τιμῶ이고, ⓑ ποιέω(만들다)의 현재시제 1인칭 단수는 ποιῶ이며,  ⓒ δηλόω(밝히다, 분명하게 하다)는 δηλῶ이다. 이와 같이 άω → ῶ, έω → ῶ, όω → ῶ 등으로 변하는 것을 축약이라 하고, 이런 동사들을 축약동사라고 한다.(2) 축약동사의 어형변화 축약변화는 1번째 기본형의 어간을 사용하는 현재시제와 미완료시제에서 주로 나타난다. 미래시제에서는 일부 α, ε, .. 2021. 6. 16.
일리아스 1권 17행-21행 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 읽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1권 17행-21행☞ 일리아스(Ίλιάς, 일-리아스, Ilias)는 '일리온(Ῑ̓́λιον, 일-리온 ← Ϝίλιον, 윌리온 )의 노래'라는 뜻이다. 영어로는 일리아드(Iiad)라고 한다. 일리온은 트로이(Τροίᾱ, 뜨로이아~)의 다른 이름이다.   ☞ 호머(Homer)의 그리스어 이름은 호메로스(Ὅμηρος, 호메-로스, Homeros)이다. Ἀτρεί̈δαι τε καὶ ἄλλοι ἐϋκνήμιδες Ἀχαιοί,ὑμῖν μὲν θεοὶ δοῖεν Ὀλύμπια δώματ' ἔχοντεςἐκπέρσαι Πριάμοιο πόλιν, εὖ δ' οἴκαδ' ἱκέσθαι:παῖδα δ' ἐμοὶ λύσαιτε φίλην, τὰ δ' ἄποινα δέχεσθαι,   20ἁζόμ.. 2021. 6. 16.
명사 2변화 축약 (오미크론 축약) 상세 설명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희랍어) 명사 2변화 축약 (오미크론 축약) 상세 설명1) 오미크론 축약 명사명사 2변화는 어간모음이 오미크론으로 끝나는 명사이다. 2변화 축약명사는 νόος → νοῦς와 같이 어간이 -oo나  -eo로 끝나는 모음축약을 하는 명사이다.☞ 참고 : 그리스어 모음 축약2) 오미크론 축약 명사의 변화 (1) οῦς형 축약 -  οο 축약 명사νοῦς, νοῦ, ὁ, 마음, 정신, 영혼, 유서 (2변화)cf. νόος, νόου, m. 마음, 정신, 영혼, 유서 (2변화)어간 : νόο-ㅇ 모음변화 명사(1. 2변화 명사)는 어간모음과 격어미가 융합된 형태를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격어미를 소개한다.☞ 명사 2변화 남/여 격어미단수 : ς, ο [ιο]), ι, ν, ─  복수 : ι, ων,.. 2021. 6. 14.
정지음 자음의 발음 - 고전 그리스어 정지음 자음의 발음에 대하여 1) β(ㅂ), π(ㅃ), φ(ㅍ), δ(ㄷ), τ(ㄸ), θ(ㅌ), γ(ㄱ), κ(ㄲ), χ(ㅋ) 등의 구별 (1) 폐쇄음(정지음) 자음의 분류 β(ㅂ) π(ㅃ) φ(ㅍ) δ(ㄷ) τ(ㄸ) θ(ㅌ) γ(ㄱ) κ(ㄲ) χ(ㅋ) 파열음(Plosive)은 소리를 낼 때 공기가 멈췄다가 일시적으로 터져나오면서 내는 소리라서 멈춤을 강조할 때는 폐쇄음 또는 정지음(Stops 또는 Mutes)이라고도 한다. 이 중 기식음은 φ(ㅍ), θ(ㅌ), χ(ㅋ) 등이고, 무기식음은 β(ㅂ), π(ㅃ), δ(ㄷ), τ(ㄸ), γ(ㄱ), κ(ㄲ) 등이다. 위 자음들의 발음은 소리를 내는 위치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기도 한다.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양순음 ㅂㅃㅍ)와 잇몸과 혀끝 사이에서 나는 소.. 2021. 6. 13.
일리아스 1권 11행-16행 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 읽기 호머 일리아스(일리아드) 1권  11행-16행 οὕνεκα τὸν Χρύσην ἠτίμασεν ἀρητῆραἈτρεί̈δης: ὃ γὰρ ἦλθε θοὰς ἐπὶ νῆας Ἀχαιῶνλυσόμενός τε θύγατρα φέρων τ' ἀπερείσι' ἄποινα,στέμματ' ἔχων ἐν χερσὶν ἑκηβόλου Ἀπόλλωνοςχρυσέῳ ἀνὰ σκήπτρῳ, καὶ λίσσετο πάντας Ἀχαιούς, 15Ἀτρεί̈δα δὲ μάλιστα δύω, κοσμήτορε λαῶν:(번역)왜냐하면 사제인 크리세스를 아트레우스의 아들이 모욕했기 때문이었다. 사실은 그 사제는 딸을 풀려나게 하려고 셀 수 없이 많은 몸값을 가지고서멀리쏘는 신인 아폴론의 황금 홀과 함께 화환을 손에 들고  빠르.. 2021. 6. 12.
동사(6) 탈형동사의 현재시제 직설법 동사(5) 탈형동사의 현재시제 직설법 1) 탈형동사란탈형동사(deponent)는 기본형의 형태가 중동태이면서 항상 능동의 뜻으로 쓰이는 동사를 말한다.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능동태 동사와 차이가 없다. 문맥을 통해 그 심리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 뿐이다. 탈형동사나 일반동사의 중동태는 동사가 표현하는 상황에 대해 주어의 심리적 태도나 주어의 이해관계 등을 특별히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만 실제로는 능동태와 의미구별이 모호할 때도 많으며, 일종의 언어습관의 측면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고전시대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탈형동사는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신약성경에 나온 중동태 동사 중에서 대략 75%가 탈형동사라고 한다.  2) ω동사의 탈형동사탈형동사는 중동태와 어형이 같으므로, 현재시제는 현재시.. 2021. 6.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