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25

마가복음 1장 21절-28절 악령을 몰아내다 - 헬라어 성경 원문과 해석 마가복음(마르코의 복음서) 1장 21절-28절_헬라어 성경Ἡ Καινή Διαθήκη(헤 까이네- 디아테-께-) : 신약ΚΑΤΑ ΜΑΡΚΟΝ(까따 마르꼰 ; 마르코에 의한)εὐαγγέλιον κατα Mαρκον(마로코에 의한 좋은 소식)κατα(까따 ; ~로부터, ~에 따른, ~에 의한)악령을 몰아내다(1장 21절-28절)(공동번역) 예수의 일행은 가파르나움으로 갔다. 안식일에 예수께서는 회당에 들어가 가르치셨는데(어휘) Καὶ(까이) εἰσπορεύονται(에이스뽀레우온따이 ; 가고 있다, εἰσπορεύομαι의 현재 중수 3인칭 복수) εἰς(에이스) Καφαρναούμ(까파르나움- ; 대격 여성)). Καὶ(까이) εὐθὺς(에우튀스 ; 곧 바로) τοῖς(또이스 ; 여격[처격]) σάββασ.. 2021. 2. 3.
마가복음 1장 16절-20절 _ 그리스어, 헬라어 성경 원문과 해석 마가복음 1장 16절-20절 _ 그리스어 마르코의 복음서  처음으로 사도를 부르다(16절 - 20절)(공동번역) 예수께서 갈릴래아 호숫가를 지나가시다가 호수에서 그물을 던지고 있는 어부 시몬과 그의 동생 안드레아를 보시고 (어휘) Καὶ(까이) παράγων(빠라곤- ; 지나가다가, 현재분사 남성 단수) παρὰ(빠라 ; 옆에서) τὴν θάλασσαν(뗀- 탈랏산 ; 바다, 대격 여성 단수) τῆς Γαλιλαίας(떼~스 갈릴라이아스 ; 갈릴래아의, 속격) εἶδεν(에이덴 ; 보았다, 무정시제 3인칭 단수) Σίμωνα(시모-나 ; 시몬을, 대격) καὶ(까이) Ἀνδρέαν(안드레안 ; 안드레아, 대격) τὸν ἀδελφὸν Σίμωνος(똔 아델폰 시모-노스 ; 시몬의 형제) ἀμφιβάλλον.. 2021. 2. 3.
그리스어 동사의 1차시제와 2차시제(primary and secondary tense) 동사의 1차시제(primary tense)와 2차시제(secondary tense) 1) 동사의 1차시제와 2차시제그리스어 동사의 시제는 1차시제와 2차시제로 나뉜다. 1차시제는 현재나 미래의 일을 나타내는 시제이고, 2차시제는 과거의 일을 나타내는 시제이다. 아마도 처음으로 언어가 형성되던 시기에 원시인들은 현재시제와 과거시제로 사건을 표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어의 7가지 시제 중에서 1차시제는 현재, 미래, 완료, 미래완료 등이고, 2차 시제는 미완료, 무정, 과거완료 등이다. 완료시제가 1차시제에 속하는 것은 과거에 발생한 일의 결과가 현재에 영향을 미치고 있거나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반면에 라틴어 완료시제는 현재완료용법과 단순과거용법이 모두 있어서 용법에 따라 1차.. 2021. 2. 3.
그리스어 ἀγαθός ἀγαθή ἀγαθόν 좋은, 착한 (1-2변화 형용사) ἀγαθός, ἀγαθή, ἀγαθόν : 좋은, 착한 (1-2변화 형용사, η여성형 3어미 모음변화)(아가토스, 아가테-, 아가톤 )단수(Singular) 격/성 남성, 여성, 중성 주격 : ἀγαθός, ἀγαθή, ἀγαθόν 속격 : ἀγαθοῦ, ἀγαθῆς, ἀγαθοῦ 여격 : ἀγαθῷ, ἀγαθῇ, ἀγαθῷ 대격 : ἀγαθόν, ἀγαθήν, ἀγαθόν 호격 : ἀγαθέ, ἀγαθή, ἀγαθόν 복수(Plural) 격/성 남성, 여성, 중성, 주격 : ἀγαθοί, ἀγαθαί, ἀγαθά 속격 : ἀγαθῶν, ἀγαθῶν, ἀγαθῶν 여격 : ἀγαθοῖς, ἀγαθαῖς, ἀγαθοῖς 대격 : ἀγαθούς, ἀγαθᾱ́ς, ἀγαθά 호격 : ἀγαθοί, ἀγαθ.. 2021. 1. 21.
형용사 1-2변화 -ος, -η, -ον형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형용사 1-2변화 -ος, -η, -ον형 (2-1-2, 3어미, 모음변화) ㅇ 어간이 ο와 η로 끝나는 형용사이다. καλός(아름다운, 남성)와 καλόν(중성)은 어간이 καλό-이고 어미는 -ς와 -ν이며, καλή(여성)는 어간이 καλή이고 격어미는 없다. -ος, -η, -ον는 어간모음과 어미가 결합된 형태이며, 흔히 이를 격어미 대신 어미로 활용한다.(참고 : 명사 1변화, 명사 2변화) ㅇ 1변화(여성)의 어간모음 앞에 ε, ι, ρ가 있거나 ρο가 오면 어간은 ᾱ로 끝난다(ἀθρόᾱ 모인, 모두의). 그 외에는 어간이 η로 변한다. ㅇ 형용사 나열 순서는 기이하게도, 2변화 남성, 1변화 여성, 2변화 중성 순이다. 정상적으로 볼 때는 1변화(여성), 2변화(남성, 중성) 순으로 나열.. 2021. 1. 21.
형용사 1-2변화 -ος, -ᾱ, -ον형 (2-1-2형, 3어미) _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 1-2변화 -ος, -ᾱ, -ον형 (2-1-2형, 3어미) 1) 기본특징ㅇ 형용사 1-2변화에서 여성변화인 1변화는 -ᾱ형과 -η형 등 장모음 변화이다. 반면에 형용사 1-3변화의 1변화는 단모음 α변화이다.☞ 참고 : 1변화의 종류는 6가지이다. ㅇ 1변화(여성)의 어간모음 앞에 ε, ι, ρ가 있거나 ρο가 오면 어간은 ᾱ로 끝난다(ἀθρόᾱ 모인, 모두의). 이 외의 장모음 어간은 η로 변한다.ㅇ 여성형 어간이 ᾱ로 끝나는 형용사는 η로 끝나는 형용사보다 적다.ㅇ 2변화 남성과 중성 어미는 명사 2변화 남성 중성 어미와 같다. 참고 : 명사 2변화 2) 3어미 모음변화 ᾱ 여성형ἄξιος, ἀξίᾱ, ἄξιον, 균형잡힌, 적절한 (1.2변화 형용사) 단수(남성, 여성, 중성 순)어간 : .. 2021. 1. 21.
형용사의 종류 _ 고대 그리스어(헬라어, 희랍어) 형용사의 종류 _ 고대 그리스어 ㅇ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는 형태상 크게 5가지로 분류한다. ⓐ 형용사 1-2 변화형 (2-1-2)ⓑ 형용사 2 변화형 (2-2)ⓒ 형용사 1-3 변화형 (3-1-3)   ⓓ 형용사 3 변화형 2어미(3-3)ⓔ 형용사 3 변화형 1어미(3)19세기까지 많은 고대 그리스어 문법책들은 명사(Noun)를 실명사(substantive, 실질사), 형용사(adjective), 대명사(pronoun)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즉 실명사(실질사)가 우리가 알고 있는 명사이다.  그리스어에서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거나 서술하는 용도로 쓰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성수격의 변화가 명사와 비슷하다. 형용사를 명사로 취급하는 이유일 것이다.따라서 명사의 변화를 .. 2021. 1. 21.
주요 탈형동사 - 고대 그리스어 주요 탈형동사 - 고대 그리스어 1) 탈형동사의 의미 탈형동사란 뜻은 능동이면서 기본형의 형태는 중동태인 동사를 말한다. 한국어로 능동태 동사와 구별하여 번역하기는 어렵다. ‘그 스스로’ 또는 ‘그 자신이 직접’ 또는 ‘자신을 위하여’ 등등의 수식어를 붙이면 문맥에 맞지않거나 어색한 문장이 되기 쉽다. 탈형동사도 일반동사처럼 쓰인다. 자동사로도 쓰이지만, 타동사로 쓰일 때는 목적어도 취하며,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기도 한다. 2) 탈형동사와 주어의 관계 대부분 습관적으로 탈형동사를 사용하겠지만, 주로 주어의 심리적인 태도나 주어의 이해관계 등을 강조하는 동사가 많다. 예시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ἀπολογέομαι [ἀπολογούμαι] : 변론하다, 반박하다 βούλομαι : ~하려고 하다(wi.. 2021. 1. 18.
오디세이와 나우시카(ὁ Ὀδυσσεὺς καὶ ἡ Ναυσικάα) ὁ Ὀδυσσεὺς καὶ ἡ Ναυσικάα(호 오뒷세우스 까이 헤- 나우시까아) - 고대 그리스어에 익숙해지기 위한 기초 문장 연습용 출처 -[Teach Yourself Ancient Greek] - Gavin Betts & Alan Henry(2008) 15~16쪽 1. ὁ Ὀδυσσεὺς ἀπὸ τῆς Τροίας ἥκει, ἀλλὰ ὁ Ποσειδῶν ἐν τῇ Σχερίᾳ τὴν ναῦν διαφθείρει. (발음) 호 오뒷세우스 아뽀 떼~스 뜨로이아스 헤-께이, 알-라 호 뽀세이돈~ 엔 떼~이 스케리아-이 뗀- 나운~ 이앞테이레이. ἀπὸ τῆς Τροίας, 트로이로부터, ἀπὸ + 탈격(속격) : ~로부터 ἥκει 나오다 (기본형 : ἥκω) ἀλλὰ 그러나 τὴν ναῦν 그 배를 δ.. 2021. 1. 15.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의 기본적인 용법 - 고대 그리스어 1) 헬라어 형용사 용법 고전 그리스어 형용사의 기본 용법은 3가지이다. ⓐ 한정적 용법은 '아름다운' 사람과 같이 명사를 수식하는 용법이고, ⓑ 서술적 용법은 그 사람은 '아름답다'와 같이 명사를 설명하는 용법이며, ⓒ 명사적 용법은 형용사가 그 자체로 명사로 쓰이는 용법이다. (1) 한정적 용법 ὁ ἀγαθός θεός 그 선한 신 ὁ θεός ὁ ἀγαθός 그 선한 신, 그 신 그 선한 분 * ἀγαθός θεός 착한 신, 또는 신은 착하다(한정용법과 서술용법은 문맥에 따라 결정) * θεός ἀγαθός 착한 신, 또는 신은 착하다(한정용법과 서술용법은 문맥에 따라 결정) (2) 서술적 용법 ὁ θεός ἐστιν ἀγαθός 그 신은 선하다. ἀγαθ.. 2021. 1. 15.
형용사 카테고리 글 목차 - 고대 그리스어, 희랍어, 헬라어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 어형변화 카테고리 글 목차 1) 형용사의 기본 용법과 종류고대 그리스어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의 종류  2) 형용사 1-2변화형용사 1-2변화 -ος, -ᾱ, -ον형 (2-1-2형, 3어미)   형용사 1-2변화 -ος, -η, -ον형 (2-1-2형, 3어미)  ὅσος, ὅση, ὅσον ~만큼 많은, 그렇게 많은(τόσος)   형용사 1-2변화 -οῦς, -ᾶ, -οῦν형과 -οῦς, -ῆ, -οῦν형(-εος 축약)    형용사 1-2변화 -οῦς, -ῆ, -οῦν형 (-οος 축약)   형용사 1-2변화 -ως, έᾱ, -ων (3어미 아티케식)   형용사 1-2변화 불규칙3) 형용사 2변화(2-2형)☞ ⓐ 여성형은 남성형을 사용한다는 것과 ⓑ 역행성(recessive.. 2021. 1. 15.
마가복음 1장 14절-15절 _ 헬라어 성경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 읽기 마가복음(마르코의 복음서) 1장 14절-15절 갈릴리에서 전도하다 Ἡ Καινή Διαθήκη(헤 까이네- 디아테-께-) : 신약ΚΑΤΑ ΜΑΡΚΟΝ(까따 마르꼰 ; 마르코에 의한) εὐαγγέλιον κατα Mαρκον(마로코에 의한 좋은 소식)κατα(까따 ; ~로부터, ~에 따른, ~에 의한) 갈릴리에서 전도하다(14절-15절) (공동번역) 요한이 잡힌 뒤에 예수께서 갈릴래아에 오셔서 하느님의 복음을 전파하시며(어휘) Καὶ(까이) μετὰ(메따, ~후에) τὸ(또) παραδοθῆναι(빠라도테~나이, 넘겨졌음, 이송되었음, 무정시제 부정사 수동) τὸν Ἰωάνην(똔 요-아넨-, 대격 남성 단수) ἦλθεν(엘~텐, 왔다) ὁ Ἰησοῦς(호 예-수~스) εἰς τὴν Γαλιλαίαν(에이.. 2021. 1. 14.
고대 그리스어로 본 그리스어 문법 용어 그리스어로 본 그리스어 문법 용어고대 그리스어를 고대 그리스어로 된 문법서로 공부할 일은 거의 없으므로 그렇게 유용한 정보는 아닐 수 있다. 참고로 적어둔다.γραμματική (그람마띠께-) : 문법(어휘) γραμματική, γραμματικῆς, ἡ, 문법(명사 1변화)γραμματική의 기본적인 의미는 글자나 글과 관련있는 (것)이며,  '문법'이라는 뜻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γραμματική의 어원은 형용사 γραμματικός의 여성형의 명사적 용법이다.따라서 최초의 문법서인 Τέχνη Γραμματική는 '문법의 기술'이 아니라 '글자와 글에 관련된 실용적 지식' 즉 '문법'이라는 뜻이다. Τέχνη(라틴어로는 ars)를 지식이라는 뜻으로 사용한 예는 히포크라테스에게서도 보인다. γρα.. 2021. 1. 10.
고대 그리스어 명사에 대한 기초 사항 고대 그리스어 명사에 대한 기초 사항 1) 그리스어의 종류 ㅇ 그리스어의 종류를 대충이라도 알면 좋다. 어느 그리스어를 기준으로 공부를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ㅇ 그리스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역사에 비하면 언어의 변화가 매우매우 적다고 한다. 현대 영어를 하는 사람들이 중세의 앵글로색슨어를 읽는 것보다는 현대 그리스어를 하는 사람들이 고대 그리스어를 읽는 것이 더 쉽다고 한다. ㅇ 그리스어의 문법은 크게, ① 호메로스식 그리스어(서사시 그리스어 Epic Greek, Homeric Greek) ② 고전 그리스어(아티케 그리스어 Attic Greek) ③ 코이네 그리스어(Koine Greek) ③ 중세 그리스어(동로마제국어, Ῥωμαϊκή '로-마이께-, Romaic Greek) ④ .. 2021. 1. 10.
마가복음 1장 12절-13절 _ 헬라어 성경 마르코의 복음서 마가복음(마르코 복음서) 1장 12절-13절_헬라어 성경Ἡ Καινή Διαθήκη(헤 까이네- 디아테-께-) : 신약ΚΑΤΑ ΜΑΡΚΟΝ(까따 마르꼰 ; 마르코에 따른) εὐαγγέλιον κατα Mαρκον(마로코에 따른 좋은 소식)에서 κατα Mαρκον만 따로 떼어 책 제목으로 삼은 듯하다. κατα(까따 ; ~로부터, ~에 따라서)☞ 에우앙겔리온(εὐαγγέλιον)의 발음에 대하여 - 고대부터 현대까지 그리스어 역사상 ευ가 ‘유’로 발음된 적은 없다.  유혹을 당하다(12절-13절)(공동번역) 그 뒤에 곧 성령이 예수를 광야로 내보내셨다.(어휘) Καὶ(까이) εὐθὺς(에우튀스 ; 곧) τὸ πνεῦμα(또 쁘네우마 ; 성령이, 주격 중성 단수) αὐτὸν(아우똔 ; 그를) ἐκβάλλ.. 2021. 1. 9.
그리스어 πᾶς πᾶσα πᾶν 모든(1-3 변화 형용사 ) πᾶς, πᾶσα, πᾶν 모든 (1-3 변화 형용사)(1) 단수변화( 남성, 여성, 중성 순)주격 : πᾶς, πᾶσα, πάν : 모든 ~이 속격 : παντός, πάσης, παντός : 모든 ~의 여격 : παντί, πάσῃ, παντί : 모든 ~에게 대격 : πάντα, πᾶσαν, πάν : 모든 ~을 호격 : πάν, πᾶσα, πάν : 모든 ~아!* 남성과 중성은 3변화, 여성은 1변화를 따름* πᾶς ← παντ + ς : ς앞에서 ντ 생략됨* πάν ← παντ : 어미없이 어근이 중성 주격이며,  τ는 단어 끝에 오지 못함.* πάσης : 여성변화 속격 여격에서 어간 끝모음 앞에 ε, ι, ρ가 오면 α가 되고 그 외에는 η가 되는 1변화 특성을 따름참고 : 형용사 1-3.. 2021. 1. 9.
마가복음 1장 9절-11절 세례를 받다. 그리스어 성경 마가복음(마르코 복음서) 1장 9절-11절 세례를 받다_헬라어 성경 원문과 해석 세례를 받다(9절-11절)(공동번역) 그 무렵에 예수께서는 갈릴래아 나자렛에서 요르단 강으로 요한을 찾아와 세례를 받으셨다. (어휘) Καὶ(까이 ; 그리고) ἐγένετο(에게네또 ; 그 일이 일어났다, 무정시제 3인칭 단수) ἐν(엔) ἐκείναις(에께이나이스 ; 그, 여격 여성 복수) ταῖς(따이스, 정관사 여성 여격 복수) ἡμέραις(헤-메라이스 ; 날들, 여격 여성 복수), ἦλθεν(엘-텐 ; 왔다, 무정시제 3인칭 단수) Ἰησοῦς(예수~스 ; 주격) ἀπὸ(아뽀 ; ~로부터) Ναζαρὲτ(낟사레뜨 ; 나자렛으로부터, 속격[탈격]) τῆς Γαλιλαίας(떼~스 갈릴라이아스 ; 갈릴래아의) καὶ(.. 2021. 1. 9.
마가복음 1장 1절-8절 _ 헬라어 성경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과 해석 마가복음(마르코의 복음서) 1장 1절-8절 _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Ἡ Καινή Διαθήκη(헤 까이네- 디아테-께-, 새로운 계약) : 신약ΚΑΤΑ ΜΑΡΚΟΝ(까따 마-르꼰) 마르코에 따른εὐαγγέλιον κατὰ Μᾶρκον(에우앙겔리온 까따 마-르꼰) 마로코에 따른 좋은 소식κατά(까따, ~로부터, ~에 따라서)ㅁ 저자Ἰωάννης Μάρκος (요-안네-스 마르꼬스, 그리스어), 마가, 마르코, 요안네스 마르코스. Iōannēs Mārcus(요-안네-스 마-르꾸스, 라틴어) ☞ Μᾶρκος(주격), Μᾱ́ρκου(속격), Μᾱ́ρκῳ(여격), Μᾶρκον(대격), Μᾶρκε(호격)☞ 라틴어 : Mārcus(주격), Mārcī(속격), Mārcō(여격), Mārcum(대격), Mārcō(탈격.. 2021. 1. 7.
동사(4) 오동사 현재시제 중수동태 직설법 동사(4) ω동사 현재시제 중수동태 직설법 1) 중수동태란 중수동태 (mediopassive voice)는 같은 형태로 문맥에 따라 중동태(middle voice)로도 쓰이고 수동태(passive voice)로도 쓰이는 동사의 변화형을 말한다. 그리스어의 미래시제와 무정시제는 중동태와 수동태의 어형이 별도로 존재하지만, 나머지 시제에는 하나의 어형으로 두 가지 태를 표현한다. 현재시제는 중동태가 수동태로도 사용되므로 흔히 중수동태라고 한다. * 중동태라는 용어에 대하여 : 초급 중급 고급 대신에 초급 중간 고급이라고 하지 않듯이 태의 측면에서 말할 때는 능동 중간 수동보다는 능동 중동 수동이 더 자연스럽다. 2) 현재시제 중수동태 직설법의 변화 (1) 현재시제 중수동태 예시동사 : λῡ́ω 풀다 기본형 .. 2021. 1. 7.
동사(3) 오동사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 동사(3) ω동사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그리스어에는 ω동사와 μι동사가 있다. 표제형(기본형)이 ω로 끝나면 ω동사이고 μι로 끝나면 μι동사이다. 우선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ω동사 변화를 먼저 살펴본다. 1) 현재시제 능동태 직설법 어형변화 (1) 현재시제 능동태예시동사 : λῡ́ω 풀다 기본형 : λῡ́ω, λῡ́σω, ἔλῡσα, λέλυκα, λέλυμαι, ἐλύθην ⓐ 단수  1 : λῡ́ω 나는 풀어준다 2 : λῡ́εις 너는 풀어준다 3 : λῡ́ει 그는 풀어준다 ⓑ 복수  1 : λῡ́ομεν 우리는 풀어준다 2 : λῡ́ετε 너희는 풀어준다 3 : λῡ́ουσι(ν) 그들은 풀어준다 ⓒ 쌍수  2 : λῡ́ετον 너희 둘은 풀어준다 3 : λῡ́ετον 그들 둘은 풀어준다.. 2021. 1. 4.
마가복음, 마르코의 복음서 헬라어 원문과 해석 글 목록 마가복음, 마르코의 복음서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목차 1) 제1장   마가복음 1장 1절-8절  세례자 요한이 나타나다마가복음 1장 9절-11절  세례를 받다마가복음 1장 12절-13절 유혹을 당하다마가복음 1장 14절-15절 갈릴리에서 전도하다마가복음 1장 16절-20절 처음으로 사도를 부르다마가복음 1장 21절-28절 악령을 몰아내다 마가복음 1장 29절-34절 베드로의 집에서 질병을 치료하다  마가복음 1장 35절-39절 기도하고 설교하다  마가복음 1장 40절-45절 나병환자를 치료하다마가복음 1장 헬라어(그리스어) 원문만 읽기 연습용 2) 제2장 마가복음 2장 1절-4절 마비 환자를 고치다(1)  마가복음 2장 5절-12절 마비 환자를 고치다(2) 마가복음 2장 13절-17절 레위를 부르다마가복.. 2020. 12.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