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25

형용사 1-2변화 -ως, έᾱ, -ων : 3어미 (아티케식) 형용사 1-2변화 -ως, έᾱ, -ων : 3어미 (아티케식) 1) -ως, έᾱ, -ων형 형용사의 형성 고전 그리스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단모음도치(Metathesis of Quantity) 현상이 있다. εω ↔ ᾱο ↔ ηο εᾱ ↔ ηα 명사에서는 νηός가 νεώς로 바뀌어 ω어간 명사가 형성되었다(참고 : 명사 2변화 ω어간). 형용사에서 πλέος가 πλέως로 바뀐 것도 이와 비슷한 음운현상이다. 부사화 접미사 -ως와 구별해야 한다. 부사화 접미사 -ως는 형용사나 대명사의 어간과 결합하여 부사를 형성한다. ‎ἄξιος (가치있는) + ‎-ως (부사화 접미사) → ‎ἀξίως (가치있게) 2) -ως, έᾱ, -ων형 형용사의 어형변화 πλέως, πλέᾱ, πλέων, 가득한 (아.. 2022. 2. 21.
마가복음 3장 28절-30절 용서할 수 없는 죄 - 헬라어 원문과 해석 마가복음 3장 28절-30절 용서할 수 없는 죄 (참고 : 마태복음 12:31-32) 마가 3:28 (공동번역) 나는 분명히 말한다. 사람들이 어떤 죄를 짓든 입으로 어떤 욕설을 하든 그것은 다 용서받을 수 있으나 (어휘) Ἀμὴν(아멘- ; 진실로, 부사) λέγω(레고- ; 나는 말한다, 현재 1인칭 단수) ὑμῖν(휘민~ ; 당신들에게, 여격 2인칭 복수) ὅτι(호띠 ; ~라고) πάντα(빤따 ; 모두, 대격부사, 중성 대격 복수) ἀφεθήσεται(아페테-세따이 ; 용서될 것이다, 미래 수동 3인칭 복수) τοῖς(또이스) υἱοῖς(휘이오이스 ; 아들들에게, 남성 여격 복수) τῶν ἀνθρώπων(안트로-뽄- ; 사람들의, 남성 속격 복수), τὰ ἁμαρτήματα(하마르떼-마따 ; 죄.. 2022. 2. 21.
형용사 1-2변화 -οῦς, -ῆ, -οῦν형 -οος 축약 형용사 1-2변화 -οῦς, -ῆ, -οῦν형 -οος 축약 1) 형용사 1-2변화 - οος 축약 어간이 οο(2변화)와 οη(1변화)로 끝나는 형용사의 변화이다. 남성 여성 중성형이 각각 , -οος → ους -οη → η -οον→ουν 으로 축약된다. 2) 1-2 변화 -οος 축약 변화 개요(-οῦς, -ῆ, -οῦν형) ἁπλοῦς, ἁπλῆ, ἁπλοῦν : 단순한, 간단한, 정직한(아티케, 1-2변화 형용사) 하쁠루~스, 하쁠레~, 하쁠룬~ 어간 : ἁπλόο- 어원 : ἁ(하나) + πλοῦς(겹, 주름) * 형용사화 접미사 -πλόος는 ~겹, 주름 등의 뜻이 있다. ☞비축약 : ἁπλόος, ἁπλόη, ἁπλόον, 단순한, 간단한, 정직한 (1-2변화 형용사) * ἁπλός(코이.. 2022. 2. 20.
형용사 1-2변화 -οῦς, -ᾶ, -οῦν형과 -οῦς, -ῆ, -οῦν형(-εος 축약) 형용사 1-2변화 -εος 축약 : -οῦς, -ᾶ, -οῦν형과 -οῦς, -ῆ, -οῦν형 1) 형용사 1-2변화 -εος 축약 1-2변화 εος 축약 형용사는 어간이 εο(2변화)와 εη(1변화)로 끝나는 형용사와 εο(2변화)과 εᾱ(1변화)로 끝나는 형용사가 있다. 형용사화 접미사 εος는 ⓐ ~과 관련있는 ⓑ ~로 만들어진 등의 뜻이 있다. 남성 여성 중성형이 각각, ⓐ -εο+ς → ους ⓑ -εη → η 또는 ᾱ ⓒ -εο+ν→ουν 등으로 축약된다. ᾱ로 끝나는 형용사는 앞에 ε, ι, ρ가 온다. (예1) -οῦς, -ῆ, -οῦν형 χρῡσοῦς, χρῡσῆ, χρῡσοῦν : 황금의 (1-2변화) 비축약 : χρῡσέος, χρῡσέη, χρῡσέον (예2) -οῦς, -ᾶ, -.. 2022. 2. 19.
마가복음 3장 20절-27절 분열된 집 _ 헬라어 원문과 해석 마가복음 3장 20절-27절 분열된 집에 대한 비유 (참고: 마태 12:22-30; 누가 11:14-23) 마가 3:20 (공동번역) 예수께서 집에 돌아오시자 군중이 다시 모여들어서 예수의 일행은 음식을 먹을 겨를도 없었다. (어휘) Καὶ(까이) ἔρχεται(에르케따이, 오다, 현재 중수 3인칭 단수) εἰς(에이스 ; ~으로) οἶκον(오이꼰 ; 집, 남성 대격 단수)· καὶ(까이) συνέρχεται(쉬네르케따이 ; 모여들다) πάλιν(빨린 ; 다시) ὁ ὄχλος(오클로스 ; 군중들이), ὥστε(호-스떼 ; 그래서) μὴ(메- ; 않다) δύνασθαι(뒤나스타이 ; 가능하게 되다, 현재부정사 중수) αὐτοὺς(아우뚜-스 ; 그들이,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남성 대격 복수) μηδὲ(.. 2022. 2. 12.
소크라테스,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름의 의미 소크라테스,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름의 의미 고대 그리스 인들은 아이가 태어나면 10일째 되는 날, 어머니쪽과 아버지쪽 친척들을 초대하여 데카테(δεκάτη '열흘쨋날')라는 잔치를 열었는데, 이때 아이의 아버지가 공식적으로 아이의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10일째에 이름을 짓다니.. 영아사망률이 그쪽이나 한국이나 별로 다르지 않았을텐데 이를 대하는 태도가 달랐던 것 같다. 1) 소크라테스(Σωκράτης) 소오스(구하는, 생명을 지키는, 잘 살게하는, σῶς) + 끄라또스(힘, κράτος) + 에스(어미)이다. 이름이 매우 의미심장하다. 당시의 관행이었는지 아니면 아버지의 특별한 뜻이 있었는지 궁금하다. 2) 플라톤 (Πλάτων) 그리스어로 쁠라뛰스(πλατύς)가 '넓은'이라는 뜻이다... 2022. 1. 8.
마가복음 3장 13절-19절 열두 사도들 마가복음 3장 13절-19절 열두 사도들 * 참고 : 마태10:1-4; 누가 6:12-16) 마가 3:13 (공동번역) 예수께서 산에 올라가 마음에 두셨던 사람들을 부르셨다. 그들이 예수께 가까이 왔을 때에 (어휘) Καὶ(까이 ; 그리고) ἀναβαίνει(아나바이네이 ; 올라간다, 현재 능동 3인칭 단수) εἰς(에이스 ; ~로) τὸ(또 ; 정관사 중성 대격 단수) ὄρος(오로스 ; 산, 중성 대격 단수), καὶ(까이 ; 그리고) προσκαλεῖται(쁘로스깔레이따이 ; 가까이로 부르다, 현재 중수 3인칭 단수) οὓς(후-스 ; ~한 사람들을, 관계대명사, 남성 대격 복수) ἤθελεν(에-텔렌 ; 원하고 있었다, 미완료 능동 3인칭 단수) αὐτός(아우또스 ; 그가, 남성 주격 단수), .. 2022. 1. 7.
그리스인들의 이름과 성씨 그리스인들의 이름과 성씨 이름과 성씨의 역사를 보면, 이름이 개인의 구별이라는 목적이 있다면, 성씨는 국가적 통치나 과세 또는 가문의 과시 등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성씨의 보편화는 신분제 철폐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다음은 그리스인들의 성씨에 대한 이야기이다. 1) 고대 그리스 시대 (1) 상고시대, 고전시대 그리고 헬레니즘시대 고대 그리스에서는 기본적으로 1개로 된 ⓐ 이름을 사용하였다. 종종 이름 대신 ⓑ 누구의 아들이라고 부르기도 하였으며, ⓒ 이름 + 누구의 아들 또는 ⓓ 이름 + 출신지나 ⓔ 이름 + 누구의 아들 + 출신지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개인의 이름을 제외한 나머지는 이름을 수식하는 역할만 하였을 뿐, 후손에게 물려주는 성씨 개념은 아니었다. 이런 관행은 미케네 문명시대부터 알렉산드.. 2022. 1. 5.
성씨에 대한 이야기 성씨에 대한 이야기1. 누군가를 지칭할 때, '[부산]에서 온 아무개'라고 하든가, '[광주]에서 사는 아무개' 또는 '[쌀집] 둘째 아들 아무개', '[너럭바위] 근처에 사는 아무개' 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때 부산, 광주, 쌀집, 너럭바위 등등이 고대에는 성씨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라틴어권에서는 쌀집, 너럭바위 등등이 성씨가 되었고, 그리스어권(로마시대에도)에서는 광주 부산 등과 같은 출신지가 '나사렛 예수'와 같이 어떤 사람을 지칭할 때   구별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성이 없었는데, 같은 이름이 많다보니, 부산출신 철수인지 광주출신 철수인지 구별하기 위한 방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근대 이전의 고대 그리스어로 저작을 남긴 사람들이나 그리스어 문화권 출신 유명.. 2022. 1. 4.
격어미 정리표 - 고대 그리스어 (헬라어, 희랍어) 고대 그리스어 격어미 정리 부분을 알면 전체를 이해하기 쉽고, 전체를 알면 부분을 기억하기 쉽다. 격어미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1) 그리스어 격어미의 종류그리스어의 격어미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1변화와 2변화, 그리고 어간이 자음이나 자음성 모음(ι, υ)으로 끝나는 3변화가 있다. 1변화는 여성형이 주를 이루며, 남성형은 있지만 중성형은 없다. 2변화는 남성형과 중성형이 주를 이루며, 여성형도 일부 있다. 3변화는 남성형, 여성형, 중성형이 모두 있다. 2) 고대 그리스어 격어미 정리표(1) 표 1 A Grammar of Attic and Ionic Greek(Frank Cole Babbitt, Havard,1902)에 매우 간략한 정리표가 있다. 위 표를 재정리하면 다.. 2021. 12. 13.
마가복음 3장 7절-12절 많은 군중이 그를 따름 (마르코 복음) 마가복음 3장 7절-12절 많은 군중이 그를 따름 그리스어 (헬라어) 성경 원문 읽기 마가 3:7 (공동번역)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호숫가로 물러가셨을 때에 갈릴래아에서 많은 사람들이 따라왔다. 또 유다와 (어휘) Καὶ(까이, 그리고) ὁ(호) Ἰησοῦς(예-수~스, 예수는) μετὰ(메따, 함께) τῶν(똔~) μαθητῶν(마테-똔~, 제자들, 남성 속격 복수) αὐτοῦ(아우뚜~, 그의, 남성 속격 3인칭 단수) ἀνεχώρησεν(아네코-레-센, 물러갔다, 무정 3인칭 단수) πρὸς(쁘로스, ~로) τὴν(뗀-) θάλασσαν(탈랏산, 바다로,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까이, 그리고) πολὺ(뽈뤼, 많은, 중성 주격 단수) πλῆθος(쁠레~토스, 군중, 중성 주격 단수) ἀπὸ(아뽀.. 2021. 12. 13.
상고 그리스어 시대와 고전 그리스어 시대의 알파벳의 발음 1) 상고 시대와 고전 시대의  그리스어 알파벳의 발음현재 통용되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표준이름은 코이네 시대를 지나 중세 그리스어에서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호머 그리스어 시대부터 플라톤이나 소포클레스가 살던 고전 시대에는 아래와 같이 알파벳을 발음하였다. 이어서 표준 알파벳 이름도 순서대로 모두 제시하였다.  Α α 알파(ἄλφα) alpha ; 단모음 a​(아), 장모음 ᾱ(아-)Β β 베~따(βῆτα) beta ; b(ㅂ)Γ γ 감마(γάμμα) gamma ; g(ng) (ㄱ 또는 응)Δ δ 델따(δέλτα) delta ; d(ㄷ)Ε ε 에이(Εἶ), 표준이름 : 에ㅃ실론(ἒψιλόν) epsilon ; e(에)Ϝ ϝ 와우(Ϝαῦ) Wau ; w(우) 반자음 '우' * 고전시대 이전에 사라짐Ζ ζ .. 2021. 12. 8.
어형과 어휘 _ 마가복음 3장 1절-6절 관련 마가복음 3장 1절-6절 관련 어형과 어휘 고대 그리스어를 공부할 때 읽고 해석할 수만 있다면 문법 지식은 몰라도 된다. 자신의 한국어 습득과정을 살펴보시기 바란다. 아래 내용은 읽으면 재미있으신 분만 읽으시기를~. 1) ξ-로 시작되는 동사 ξ-로 시작되는 동사 중 자주 쓰이는 동사는 매우 드물고, 6개의 기본형이 모두 확인되는 동사도 드물다. 아래는 빈용되는 동사들을 모아놓은 것이다. (1) ξηραίνω 마르게하다, 위축시키다(유비음 동사) ① 기본형 : ξηραίνω, ξηρανῶ, ἐξήρανα (ἐξήρηνα), ─, ἐξήραμμαι, ἐξηράνθην ☞ 완료형 ἐξήραμμαι에서 어간두음중복(κ)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 ☞ 미래 능동 ξηρανῶ는 ξηραίν+εσ+ω에서 모음 사이의 .. 2021. 12. 3.
마가복음 3장 1절-6절 안식일에 치료를 행함 마가복음 3장 1절- 6절_그리스어 성경 마르코의 복음서 원문 읽기 Ἡ Καινή Διαθήκη(헤 까이네- 디아테-께-, 새로운 계약) : 신약 ΚΑΤΑ ΜΑΡΚΟΝ(까따 마~르꼰) 마르코에 따른 안식일에 치료를 행함 (Matthew 12:9-14; Luke 6:6-11) 마가 3:1 (공동번역) 안식일이 되어 예수께서 다시 회당에 들어가셨는데 마침 거기에 한쪽 손이 오그라든 사람이 있었다. (어휘) Καὶ(그리고) εἰσῆλθεν(에이셀~텐 ; 들어갔다, 무정 능동 3인칭 단수) πάλιν(빨린 ; 다시) εἰς(안으로) συναγωγήν(쉬나고-겐- ; 회당, 모임,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그런데) ἦν(엔~ ; 있었다, 미완료, 3인칭 단수) ἐκεῖ(에께이 ; 거기에) ἄνθρωπος(안트로.. 2021. 12. 3.
모음축합(crasis) - 2개의 단어 사이에서 일어남 모음축합(crasis, κρᾶσις, mingling) 1) 모음축합(crasis)이란 모음축합(crasis)은 단어 끝이 모음으로 끝나고, 다음에 오는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할 때, 두 단어가 한 단어로 합쳐지면서 두 모음이 축약되거나 이중모음화되거나 일부 모음이 소실되는 현상을 말한다. (축합의 예)  ἐγᾦμαι ←  ἐγὼ οἶμαι : 나는 ~라고 생각한다 ᾱ̔́ν ← ἅ ἄν ὠγαθέ ← ὦ ἀγαθέ τᾱ̓μά ← τὰ ἐμά ☞ π, τ, κ는 강기식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서 φ, θ, χ로 바뀐다.  θᾱ̓́τερον ← τὸ ἕτερον : 다른 하나는, 둘 중의 하나를  χἠ ←  καὶ ἡ : 그런데 그 χοἰ ←  καὶ οἱ : 그런데 그들  θοἰμάτιον ←  τό ῑ̔μά.. 2021. 10. 24.
일리아스 1권 76행-132행 원문(읽기 연습용) 일리아스 1권 76행-132행 원문(읽기 연습용) 일리아스 1권 76행-80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81행-85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86행-92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93행-100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101행-108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109행-117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118행-125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일리아스 1권 126행-132행 그리스어 원문과 해석 2021. 10. 23.
모음 탈락(Elision) - 2개의 단어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 고대 그리스어의 모음 탈락(Elision) 1) 모음탈락과 모음생략 모음생략과 모음탈락은 우리말로는 구별이 잘 안되지만, 영어의 omission과 elision은 약간 다른 내용을 가리키는데 각각 모음생략과 모음탈락으로 구별하면 좋을 것 같다. 모음생략(omission)은 어형 형성과정에서 모음이 생략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생략의 결과는 지속적이다. 그리스어는 다음 2가지 경우에 종종 모음이 생략된다. ⓐ 자음 사이에 단모음이 올 경우 : ἔσται(~일 것이다)는 ἔσεται에서 ε가 생략된 것이고, ἤλθον(내가 왔다)은 ἤλυθον에서 υ가 생략된 것이다. ⓑ ι나 υ위 다음에 모음이 올 경우 : πλέων(더 많은)은 πλείων에서 ι가 생략된 것이고, βασιλέων(왕들의)은 βασιλ.. 2021. 10. 23.
일리아스 1권 126행-132행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 읽기 일리아스 1권 126행-132행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 읽기“λαοὺς δ' οὐκ ἐπέοικε παλίλλογα ταῦτ' ἐπαγείρειν.ἀλλὰ σὺ μὲν νῦν τήνδε θεῷ πρόες: αὐτὰρ Ἀχαιοὶτριπλῇ τετραπλῇ τ' ἀποτείσομεν, αἴ κέ ποθι Ζεὺςδῷσι πόλιν Τροίην εὐτείχεον ἐξαλαπάξαι.”τὸν δ' ἀπαμειβόμενος προσέφη κρείων Ἀγαμέμνων:   130“μὴ δ' οὕτως ἀγαθός περ ἐὼν θεοείκελ' Ἀχιλλεῦκλέπτε νόῳ, ἐπεὶ οὐ παρελεύσεαι οὐδέ με πείσεις.” (번역 : 아킬레우스의 말이 이어진다) “이미 나눈 전리품.. 2021. 10. 22.
모음 생략(omission) - 1개의 단어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 모음 생략(omission) - 낱말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 지속성 1) 모음 생략(omission)모음생략(omission)은 어형 형성과정에서 모음이 생략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생략의 결과는 지속적이다.  그리스어는 다음 2가지 경우에 종종 모음이 생략된다. (1) 자음 사이에 오는 단모음 ἔσται(~일 것이다)는 ἔσεται에서 ε가 생략  * ἔσ(어간)+ε(연결모음)+ται(어미) ἤλθον(내가 왔다)은 ἤλυθον에서 υ가 생략 (2) 모음 사이에 오는 ι나 υι나 υ가 모음 사이에 올 경우 종종 생략된다.πλέων(더 많은)은 πλείων에서 ι가 생략 βασιλέων(왕들의)은 βασιλεύων에서 ύ가 생략   2) 모음생략(omission)과 모음탈락(elision)모음생략과 모.. 2021. 10. 22.
일리아스 1권 118행-125행_ 호머의 일리아드 그리스어 원문 읽기 일리아스 1권 118행-125행 그런데 아르고스인들 중에서 나 혼자만“αὐτὰρ ἐμοὶ γέρας αὐτίχ' ἑτοιμάσατ' ὄφρα μὴ οἶοςἈργείων ἀγέραστος ἔω, ἐπεὶ οὐδὲ ἔοικε:λεύσσετε γὰρ τό γε πάντες ὅ μοι γέρας ἔρχεται ἄλλῃ.”   120 τὸν δ' ἠμείβετ' ἔπειτα ποδάρκης δῖος Ἀχιλλεύς:“ Ἀτρεΐδη κύδιστε φιλοκτεανώτατε πάντων,πῶς γάρ τοι δώσουσι γέρας μεγάθυμοι Ἀχαιοί;οὐδέ τί που ἴδμεν ξυνήϊα κείμενα πολλά:ἀλλὰ τὰ μὲν πολίων ἐξεπράθομεν, τὰ δέδασται,” .. 2021. 10. 20.
ὅσος, ὅση, ὅσον ~만큼 많은, 그렇게 많은(τόσος) ὅσος, ὅση, ὅσον : ~만큼 많은, 그렇게 많은(τόσος)→ 형용사, 관계형용사, 관계대명사 등으로 사용됨 → 1-2변화 형용사 η 여성형 3어미 ① 남성(주격, 속격, 여격, 대격, 호격 순) ⓐ 단수 : ὅσος, ὅσου, ὅσῳ, ὅσον, ὅσε  ⓑ 복수 : ὅσοι, ὅσων, ὅσοις, ὅσους, ὅσοι ② 여성 ⓐ 단수 : ὅση, ὅσης, ὅσῃ, ὅσην, ὅση ⓑ 복수 : ὅσαι, ὅσων, ὅσαις, ὅσᾱς, ὅσαι ③ 중성 ⓐ 단수 : ὅσον, ὅσου, ὅσῳ, ὅσον, ὅσον ⓑ 복수 : ὅσα, ὅσων, ὅσοις, ὅσᾰ, ὅσα* 1변화 명사와 형용사는 한 가지를 제외하면 액센트 규칙은 서로 같다.  원래의 액센트가 마지막 음절이 아닌.. 2021. 10.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