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의 맹세 때문에 그를 믿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 때문에 그의 맹세를 믿는 것이다.
οὐκ ἀνδρὸς ὅρκοι πίστις, ἀλλ' ὅρκων ἀνήρ. 우-끄 안드로스 호르꼬이 삐스띠스, 알- 호르꼰- 아네-르. 그 사람의 맹세 때문에 그를 믿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 때문에 그의 맹세를 믿는 것이다. - 아이스킬로스 Aeschylus(A. fr. 394) (어휘) οὐκ(아니다) ἀνδρὸς(사람의, 남성 속격 단수) ὅρκοι(맹세들은, 남성 주격 복수) πίστις(보증, 믿음의 징표), ἀλλ'(반대로) ὅρκων(맹세들의, 남성 속격 복수) ἀνήρ(사람이) ㅇ ὅρκος, ὅρκου, ὁ, 맹세(명사 2변화) (직역) 사람의 맹세들이 믿음의 보증이 아니라 사람이 맹세들의 보증이다. (영어번역) his oath is not the warrant of a man, but ..
2022. 6. 1.
마가복음 4장 13절-20절 비유에 대한 설명 _ 그리스어 마르코 복음 원문과 해석
4장 13절-20절 비유에 대한 설명 (마태 13:18-23) 마가 4:13 (공동번역) 예수께서는 이어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너희가 이 비유도 알아듣지 못하면서 어떻게 다른 비유들을 알아듣겠느냐? (어휘) καὶ(까이, 그리고) λέγει(레게이, 그는 말한다, 현재 능동 3인칭 단수) αὐτοῖς(아우또이스, 그들에게, 남성 여격 3인칭 복수) Οὐκ(우-ㄲ, 못하다) οἴδατε(오이다떼, 이해하다, 완료 능동 2인칭 복수) τὴν(뗀-) παραβολὴν(빠라볼렌-, 비유를, 여성 대격 단수) ταύτην(따우뗀-, 이, 지시대명사, 여성 대격 단수), καὶ(까이, 그런데) πῶς(뽀~스, 어떻게) πάσας(빠사스, 모든, 여성 대격 복수) τὰς(따스, 정관사) παραβολὰς(빠라볼라스..
2022. 5. 31.
명사 3변화 - 불규칙 σ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불규칙 σ 어간 명사 1) 변형 εσ어간 명사 ος형 υἱός, υἱέος, ὁ, 아들, 아이 (3변화, 어간 불규칙) cf. ὑός, ὑέος, ὁ, 아들, 아이 (2변화, 어간 불규칙) 어간 : υἱές-, υἱός- ; ὑές-, ὑός-, υἷς- * υἱός는 어형변화에 2개의 어간(υἱές-, υἱός-)을 사용하고 있고, ὑός는 어형변화에 3개의 어간(ὑές-, ὑός-, υἷς-)을 사용하고 있다. 만약 어간이 ο나 ε로 끝난다면 3변화 어미가 올 수 없으므로 σ어간 명사로 보이며, σ는 모음 사이에서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 υἱός는 2변화 규칙 변화형도 있다(υἱός, υἱοῦ, 등, ὑός, ὑοῦ 등). * 어간이 불규칙이며, 어미는 규칙적이다. * 주격 단수와..
2022. 5. 31.
명사 3변화 - σ 어간 명사 (εσ-, ασ-, οσ- 어간)
명사 3변화 - σ 어간 명사 : -ης, -ος, -ας, -ως형 명사(εσ-, ασ-, οσ- 어간) 명사 3변화 - σ 어간 명사Consonant-Declension Nouns: σ-stems 시그마(σ) 어간 명사는 기본형이 -ης, -ος, -ας, -ως(εσ-, ασ-, οσ- 어간)로 끝나는 명사이다. σ 어간 명사는 어간을 기준으로 ⓐ εσ 어간 ⓑ ασ어간, 그리고 ⓒ οσ 어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ε, α, ο는 열린모음들이다(만약 어간이 α, ο로 끝난다면 명사 1, 2변화에 속한다). 명사의 실제 형태를 기준으로 나누면 아래와 같다. ⓐ ης, ος형 명사(εσ 어간) ⓑ ας형 명사(ασ어간) ⓒ ως형 명사(οσ 어간) ☞ ι, υ 등 닫힌모음은 시그마 어간을 형성하..
2022. 5. 31.
명사 3변화 - 불규칙 ν, ρ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유비음 불규칙 ν, ρ어간 명사 유비음 어간 명사는 어간이 유음이나 비음으로 끝나는 명사이다. 1) ρ어간 명사 불규칙 (1) χείρ, χειρός, ἡ, 손, 손바닥 (3변화) 어간 : χειρ-, χερ- * 어간 χερ-는 복수 여격과 쌍수 속격 여격에서만 보인다. * 어간이 χειρ-와 χερ- 등 2가지 형태로 쓰이고 있다. ε와 ει의 상호전환은 그리스어에서는 빈번하게 보인다. * 어미는 매우 규칙적으로 변하고 있다. (2) μάρτυς, μάρτυρος, ὁ, ἡ : 순교자(martyr), 목격자(witniss) 어간 : μάρτυρ- * 단수 주격 μάρτυς ← μάρτυρ + ς ☞ ρς에서 ρ가 생략되었다. 일반적으로 ν, ρ어간명사는 뒤의 ς가 생략된다. 참..
2022. 5. 31.
명사 3변화 - 유비음 ηρ형 명사(ρ, ερ어간)
명사 3변화 - 유비음 ηρ형 명사(ρ, ερ어간) 유비음 어간은 ⓐ ρ어간, ν어간 명사와 ⓑ ηρ형 명사(ρ, ερ어간)로 나누어 설명한다. 3변화 유비음 어간 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수 주격에 ς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ηρ형 명사를 다룬다. 1) 유비음 ερ어간 - ηρ형 명사 ερ어간은 단수 주격 어미가 -ηρ로 변한다. 반면 속격에서는 모음소실로 어간 ερ에서 ε이 생략된다. 2) 유비음 ερ어간 명사(ηρ형 명사)의 어형변화 πατήρ, πατρός 또는 πατέρος, ὁ : 아버지, 아빠 어간 : πατέρ-, πατρ-(어간 불규칙) * -ηρ형 명사는 불규칙 어간을 가지고 있다 : πατέρ-, πατρ- 단수 속격과 여격은 πατέρος와 πατέρι가 규칙 변화형이지만, 후세..
2022. 5. 31.
마가복음 4장 10절-12절 비유의 목적 - 헬라어 마르코 복음 원문과 해석
4장 10절-12절 비유의 목적 - 헬라어 마르코 복음 원문과 해석 (마태 13:10-17) 마가 4:10 (공동번역) 예수께서 혼자 계실 때에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이 열두 제자와 함께 와서 비유의 뜻을 물었다. (어휘) Καὶ(까이, 그리고) ὅτε(호떼, ~때에) ἐγένετο(에게네또, 있었다, 무정 중동 3인칭 단수) κατὰ(까따, 따라, 떨어져) μόνας(모나스, 홀로, 형용사, 여성 대격 복수), ἠρώτων(에-로-똔-, 물어보기 시작하였다, 미완료 능동 3인칭 복수) αὐτὸν(아우똔, 그에게, 그를, 대격 단수) οἱ(호이, ~하는 사람들이) περὶ(뻬리, ~주변의) αὐτὸν(그의) σὺν(쉰, ~과 함께) τοῖς(또이스) δώδεκα(도-데까, 열두 제자와) τὰς(따스) πα..
2022. 5. 30.
명사 3변화 - 유비음 ρ, ν 어간 명사
명사 3변화 - 유비음 ρ, ν 어간 명사 Consonant-Declension Nouns: liquid and nasal stems 유비음 어간은 ⓐ ρ, ν어간 명사와 ⓑ ηρ형 명사(ρ, ερ어간)로 나누어 설명한다. 3변화 유비음 ρ, ν 어간 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수 주격에 ς가 없다는 것이다. 1) ρ, ν(르느)어간 : "주격 단수에 ς가 없다." * 어간이 ν, ρ, σ, ‑οντ‑로 끝나는 명사는 단수 주격 어미 ς가 생략된다. 학자에 따라 ν, ρ 어간 뒤에는 ς가 오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1) ρ어간 명사 변화 ῥήτωρ, ῥήτορος, ὁ : 연설가, 웅변가, 정치가, 변사, 변호사 (3변화) 어간 : ῥητορ * 단수 주격 : ῥήτωρ ← ῥήτορ + ς (ρ 뒤의..
2022. 5. 30.
명사 3변화 - 치경음 중성 τ 어간
명사 3변화 - 치경음 중성 τ 어간 Consonant-Declension Nouns: neuter τ-stems 1) 치경음 중성 τ 어간 명사 치경음은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δ, τ, θ음을 말한다. 잇몸을 치경이라고 한다. 어간이 치경음으로 끝나는 명사의 어형변화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나눈다. (1) 남여성 δ 어간, τ 어간, θ어간 명사 (2) ντ 어간 명사 (3) 중성 τ 어간 ντ 어간 명사를 제외한 τ 어간 명사는 ⓐ남여성 명사와 ⓑ중성명사로 나누는데, 여기서는 중성 τ 어간 명사의 어형변화를 다룬다. 2) 중성 τ 어간 명사의 어형변화 πρᾶγμα, πράγματος, τό : 일, 행위, 행동, 사실 (3변화) 어간 : πράγματ- * 3변화 명사 중 μα로 끝나는 명사는..
2022. 5. 30.
마가복음 4장 1절-9절 씨뿌리는 자의 비유 - 헬라어 마르코 복음 원문과 해석
마가복음 4장 1절-9절 씨뿌리는 자의 비유 - 그리스어 마르코 복음 원문과 해석 마가 4:1 (공동번역) 예수께서 다시 호숫가에서 가르치셨다. 군중이 너무나 많이 모여들었기 때문에 예수께서는 배를 타고 그 안에 앉으신 다음 배를 물에 띄웠다. 그리고 군중은 모두 호숫가에 그대로 서 있었다. (어휘) Καὶ(까이, 그리고) πάλιν(빨린, 다시) ἤρξατο(에-륶사또, 시작하였다, 무정 중동 3인칭 단수) διδάσκειν(디다스께인, 가르치는 것을, 현재부정사) παρὰ(빠라, ~근처에서) τὴν θάλασσαν(탈랏산, 호수, 바다, 여석 대격 단수, θ의 발음) καὶ(그리고) συνάγεται(쉬나게따이, 모인다, 현재 중동 3인칭 단수 ‘역사적 현재’) πρὸς(쁘로스, ~에게로) αὐτὸν..
2022. 5. 30.